•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시설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1초

Sensor Network과 RFID를 이용한 노약자 관리 시스템 제공 방안 (Silver Management System Using Sensor Network and RFID)

  • 이시우;박주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3
    • /
    • 2005
  • 요즘 사회에 이슈가 되는 것을 꼽으라면 사람들은 주저 없이 Ubiquitous를 말할 것이다. Ubiquitous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한다. Sensor Network과 RFID는 Ubiquitous 환경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현된 Sensor Network과 RFID의 기술을 이용하여 Ubiquitous Healthcare system의 일환으로 '노약자 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노약자(어린아이, 치매성 질환을 가진 노인, 정신지체 장애인 등)를 대상으로 보호자와 응급센터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반시설과의 연동을 통해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서술한다. Sensor Network과 RFID의 기본적인 개념, 노약자 관리시스템의 필요성, 제안된 관리시스템에 관해 서술한다.

  • PDF

node js를 활용한 의료용 실시간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Real-time location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use using node js)

  • 김병진;이임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68
    • /
    • 2018
  • 최근 병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수가 증가보다 노령화가 들어 서면서 환자의 수가 더 많이 증가함으로 한명의 의료 근로자가 담당해야 하는 환자수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시설에서 실시간으로 환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응급 상황을 보다 신속하게 내용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하는 웹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모니터링 시스템은 웹기술인 node js와 ajax, mysql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 황면에서 위치와 상태를 나타내어 확인을 한다.

  • PDF

안전 경로 추천 서비스 (Safe Route Recommendation Service)

  • 손민주;이현;김가희;최필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39-340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치안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안전 경로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을 제안한다. 안전시설 위치 정보 제공 및 안전 경로 추천 기능으로 인해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른 후속 조치를 가능하도록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거주성 관점의 미국 이재민 임시대피시설 공간계획 관련 지침분석 (Analysis of the Space Planning Guidance about the Temporary Shelter Emphasizing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in U.S.)

  • 김미경;최선미;최유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2-5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temporary shelter space planning guidance described in the U.S. shelter guidelines in terms of the habitability for disaster victims and to address the implications and potential impacts of its find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helter design standards and guidelines in Korea. The researchers reviewed four feder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shelter field and design guidelines and attributes regarding the shelter space planning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our habitability categories: Safety, Health, Convenience, and Comfort. Three major findings emerged from this study: 1)A total of 72 items about the shelter space planning were extracted from guidelines, and the majority of items are concerned with dormitory areas and sanitary spaces. Other items were about accessibility, children respite care area, signage, health service areas,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areas, parking and drop-off areas, registration and waiting areas, shelter manager and staff areas, lounge and storage areas, and household pets area. 2)Most of these items are strongly related to the convenience category(66.7%), followed by comfort(40.3%), safety(30.6%), and health(25.0%). 3)The habitability of the disaster temporary shelter can be established with considerations on the needs of disaster victims and vulnerable people, minimum occupancy space per person, separate sanitary spaces for the privacy, safe and convenient access routes to the shelter, and the provision of children areas for safety and comfort. The study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saster shelter guidelines in Korea by suggesting shelter space planning indicators related to the habitability for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mmediate and systematic responses to the disaster.

요양시설과 재가방문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관리의식과 응급상황대처능력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 김수연;김순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7-35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and affecting factors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conveniently extracts nursing caregivers who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S and G provinces, Korea. Data collection was done by structural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8. A total of 204 responses consisting of 103 nursing homes and 101 home visiting caregiv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SPSS Win 22.0. Results: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of nursing homes caregivers with each $4.24{\pm}0.50$, $74.26{\pm}09.57$ was each higher than that of the home visiting caregivers with $3.68{\pm}0.49$, $68.02{\pm}12.12$ (p<.001).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patient safety awareness were working place, safety education, and daily average working hours with 12 or more (F = 27.30, p<.001) and that of emergency response ability were number of patients per personnel with 9 or more and emergency situation experience (F=14.00,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share indirectly experience emergency situations that occur on the job site.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주증과 원인에 대한 후향분석: 3,180례 (Retrospective Analysis of Chief Complaints and Causes of Dogs and Cats during Emergency Visits: 3,180 Cases)

  • 이혜경;손원균;서지민;김현욱;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0-94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개와 고양이의 흔한 주증과 원인을 파악하고, 응급진료를 제공하는 한국의 응급 동물병원에 필요한 최소한의 준비 사항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의 응급실에 2012년 3월부터 2013년 8월 사이에 내원한 2,368마리의 개와 347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중, 255마리의 개와 35마리의 고양이는 두 번 이상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이들은 각각의 내원을 하나의 증례로 취급하였다. 따라서 개에서 총 2,784증례와 고양이에서 396증례를 분석하였다. 진료 기록에서는 품고, 주증, 진단, 입원 여부, 생존여부를 분석하였다. 개의 주증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호흡곤란, 외상, 발작, 기력저하 순이었다. 개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소화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경계 질환, 심혈관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혈액 질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의 주증으로는 호흡곤란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 외상, 배뇨곤란, 기력저하 순이었다. 고양이에서 가장 많이 진단된 질환은 비뇨기계 질환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화기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감염성 질환, 심혈관계 질환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구토, 설사 혹은 두 가지 모두와 호흡곤란, 외상이 개와 고양이 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주증이었으며, 이 세가지가 전체 증례의 주증 중에서 약 48.6%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흔히 진단되는 질환은 종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응급한 환자를 진단하고 안정시킬 수 있는 적절한 응급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준비 사항은 충분한 지식을 갖춘 숙련된 인력과 응급 처치와 진단이 가능한 시설을 갖추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아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교육에 대한 지식과 수행정도 (The Teacher's Knowledge and Performance State of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at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이효철;장용수;유병국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7-6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ived safety management in teachers work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grasp the state and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at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develop programs for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Results: 1. For the perception items of accident possibility in daycare centers, career with more than 10 years had higher response in 'very high' and 'moderately high' than 'moderately or very low'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2. For the perception items of accident prevention in daycare centers, no teaches with at least college education thought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revent' and most of them thought that 'it was totally possible to preve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3. For the performance level of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items, forty and over(4.73) showed higher than age of 20-29(4.32) and 30-39 of age(4.26)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4. For the knowledge level of safety management and first aid items, the highest religion was found as Christian(16.96), followed by Catholic(15.33), Buddhism(14.91), and no religion(15.8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5. For the items of confidence in safety management and first aid, performance level, and knowledge level, teachers who competed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4,48) had higher performance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4.17)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6. For the items of confidence in safety management and first aid, performance level, and knowledge level, teachers who competed first-aid education(2.77) had higher confidence than those who did not(2.3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p < .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in teachers working for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knowledge and performance levels.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safety management and first-aid education for teachers working for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regular in-service training. Also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all subjects and various regions who contact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PDF

ZigBee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 모니터링 시스템 (Bio-Signal Detection Monitoring System Using ZigBee and Wireless Network)

  • 김국세;방선광;이정기;안성수;이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77-481
    • /
    • 2007
  • 유비쿼터스 시대에 병원뿐만 아니라 가정과 요양 시설 내에서도 불규칙적이고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응급 환자는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 져야 한다. 특히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현${\cdot}$미래 시대에는 환자나 노인의 몸에 생체 신호 센서를 부착하여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환자나 노인의 몸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실시간으로 대처하여 응급 환자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지게 한다. 병원 내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최대한 이용하고 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인 저 전력 지그비(ZigBee) 시스템을 활용한다. 전체적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고 심전도, 혈압, 혈당 그리고 체온 등의 바이오센서 모니터링을 위해 ZigBee(IEEE 802.15.4)를 이용하여 응급환자 및 노인 등의 이동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 및 노인의 실시간 생체신호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축 시 전송세션의 수와 노드 발생률에 따른 전송률 및 지연을 통해 그 효율성을 검증한다.

  • PDF

제주특별자치도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교육요구 조사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황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겪고 있는 요구 중에서 지식, 기술, 태도의 결핍과 관련된 교육요구를 밝히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교육체계의 수립 및 향후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교육요구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 필요한 상위 10개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위기(응급)상황 대처기술의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이해와 실천(특성, 인권, 안전, 건강 등), 사례관리(심화), 상담기법(기본), 사례관리(기본), 상담기법(심화),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민원대응 및 감정노동 관리, 의사소통 능력향상(직원 간, 클라이언트 등), 사업성과(사업 계획, 실행, 관리 및 평가 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은 직무전문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도내 직무교육의 다양성과 체계적 훈련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체계적 교육훈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교육의 질적 성장,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확대, 전문성 있는 우수한 강사진의 확보 등 다양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건강관리 중요도 인식이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ealth Management Importance Awareness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Basic Fitness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손성민;전병진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31-51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이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거주 지적장애인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07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총 12주 동안 주 2회 탄성밴드를 활용한 부위별 근력운동을 실시하였다.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평가로 프로그램 참여 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 도구를 활용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매우높음) 집단과 중요도(보통)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건강관리 중요도에 따른 중요도(매우높음), 중요도(보통) 집단의 수행도, 만족도, 근력, 유연성의 집단내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참여 전, 후 증가하였으며, 집단간 분석결과 수행도, 만족도의 사후분석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분석결과 근력, 유연성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에 있어서 중요도 인식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건강관리활동의 참여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