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 중재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Lyric Analysis) 활동을 통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연구 (Study of Lyric Analysis Using a Mind-map o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 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2호
    • /
    • pp.23-45
    • /
    • 2010
  •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양육스트레스 검사의 수치가 높은 장애아동 어머니 6명을 선별하여 노래가사분석 중심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총 14회기 진행 전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QRS(Questionnaire on Resource and Stress)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상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회기평가 설문지 실시 및 프로그램 진행 과정 중 마인드 맵핑에 나타나는 대상자들의 언어적, 행동적 반응 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 중재 이후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특히 세션 중 나타난 대상자의 반응 분석결과, 각자의 생각을 정리하고, 다른 동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가사분석 활동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사례 연구 (Effects of Group Piano Playing on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s Self-Efficacy; A Case Study)

  • 우현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2호
    • /
    • pp.1-22
    • /
    • 2010
  • 본 연구는 심리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이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N 다문화 지원 기관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 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주 1회 10회기의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이 함께 사용된 혼합적 연구 방법 설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 평균 점수는 비모수 검증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냈으며, 질적 내용 분석에서도 세션 초기보다 세션 후기에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이 언어적 행동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에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도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 PDF

환자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척추 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 활력 징후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Using Spinal Anesthesia)

  • 정향미;박말영;이수진;김남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9-2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ferred music intervention on anxiety, vital signs and blood sugar of surgical patients undergoing spinal anesth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carried out. Subjects consisted of 40 patients (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During the operation, music individual patients preferred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4 to November 10, 2011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square test, ANCOVA and repeated measured ANCOVA using SAS (ver 9.2). Results: 1) Patient anxiet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F=93.77, p<.00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F=.00, p=.979), Systolic blood pressure (F=.19, p=.668), heart rate (F=.00, p=.955), and blood sugar (F=.73, p=.399)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Letting patients hear their preferred music during surge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anxiety of patients undergoing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중재가 부분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ilored Music Intervention on Intra-operative Anxiety among Those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 김주희;백설향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1호
    • /
    • pp.187-198
    • /
    • 2008
  • Purpose: Music intervention has long been used in research of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operation in reducing anxiety level and improve surgical outcom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considered a patient's music preferenc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ailored music intervention which chose music according to the patient's preference on anxiety level and vital signs. Method: The subjects were 50 patients who received regional anesthesia for surgical operation at D hospital in Pohang city from April, 2006 to November, 2006. All of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music group (30 subjects) or non-music group (20 subjects). As the patients arrived in the operating room, vital signs were monitored until the subjects were transferred to the recovery room, while Spielberger's STAI-KYZ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wice to measure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by 2-test, t-test, one-way ANCOVA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12.0/PC+.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vital signs. All of the vital signs increased when the subjects arrived in the operating room, but decreased quickly once the operation began, regardless of the groups. However, the music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ess intra-operative anxiety, compared to the non-music group (F=15.208, p<.000), when preoperative anxiety was treated as a co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the use of music which was chosen by patients during the surgery significantly reduced patient's intra-operative anxiety during regional anesthesia.

  • PDF

거래 비용 절감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재능거래 플랫폼 (Implementation of a Blockchain-based Talent Trading Platform to Reduce Transaction Costs)

  • 양성훈;진회용;김상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22-934
    • /
    • 2020
  • 재능거래 플랫폼은 프로그램 코딩이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동영상, 음악, 발표자료 등), 디자인, 학습, 수리 등의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이다.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버를 운영하는 비용과 거래에 대한 중재 인건비가 발생하여 이용자들이 높은 서비스 수수료를 부담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 분산앱(dApp)으로 시스템을 통해 거래 정보를 블록에 올려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스마트콘트랙트를 통해 거래 중재자 인건비를 절감하여 거래수수료를 낮추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록체인 기반 재능거래 플랫폼과 기존 재능거래 플랫폼의 비용 처리 절차 및 거래수수료의 크기를 비교 분석한다.

일반 성인의 키보드 연주 손가락 타력 MIDI 표준치 연구 (Normative Data of The Finger Strength Measured by Keyboard Playing with MIDI : Focusing on Adults)

  • 한인희;김수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79-97
    • /
    • 2013
  • 본 연구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프로그램을 연결한 키보드 연주 시 일반인의 각 손가락 타력 표준치를 측정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충청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총 92명(남성 46명, 여성 46명)으로 평균 연령은 만 18세부터 28세였다(평균나이: 21.7, 표준편차: 1.8). 연구 대상자의 음악교육경험 및 기간에 관한 조사를 선행한 후, 연구대상자의 각 손가락을 이용하여 키보드 건반을 상행 및 하행으로 타건하도록 하였다. 개인별 타건의 MIDI값을 분석해 본 결과 최대 강도 127 중 77~97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남성의 경우 최대값은 우세손 손가락의 검지에서 96.9를 기록했고, 최저값은 비우세손 약지에서 78.5 나타났다. 여성은 우세손 중지의 타력값이 92로 가장 높았으며 최저값은 남성과 유사하게 비우세손 약지에서 77.5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우세손과 비우세손 손가락 타력의 차이는 엄지를 제외한 모든 손가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p < .05) 성별과 악기 연주 경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5). 본 연구에서 측정된 손가락 타력의 표준치는 건반악기와 MIDI프로그램의 사용이 손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손기능 중재 방안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현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71-9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이 달라지는지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활용 가능한 악기연주 및 노래부르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시 2회기에 걸쳐 실험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만을 수행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라 피로도,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타력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전자 드럼 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자 드럼 연주와 노래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가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노래부르기로 전환시키고 참여 동기를 증진시켜 지속적인 움직임 유도 시에도 피로도 또는 운동자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 재활 시 반복적인 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하장애 위험 여성노인의 노래중재 적용 효과 (The Effect of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with Dysphagia Risk)

  • 윤옥종;이영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0-38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isk of dysphagia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ly in community. Methods: One-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29 women over the age of sixty and residing in a local area. A sing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breathing, vowel production and singing. The one hour intervention occurr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variables of dysphagia risk, a swallowing test, and nutritional status were measured. Analysis was done by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 of dysphagia risk (p<.001).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wallowing test scores [modified water swallowing test (p=.032), food test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tional status (triceps skin fold thickness,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at a singing intervention can be helpful in reducing the risk of dysphagia may improve deglutition for the women elder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use of a singing intervention for women elders with dysphagia risk.

음악중재 청소년 금연교실 파일럿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th Music Therapy)

  • 황명희송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31-139
    • /
    • 2010
  • Objectives: This pilo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th harmonica therapy was effective or not. It was qualitatively explored perceived smoking consequences, cessation and relapse experience, specific harmonica help to overcome smoking urge, preference of harmonica toward cessation, and harmonica intervention planning to quit. Methods: The treatment program was conducted 30-minute, 6-session, and once a week basis. Qualitative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llected at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with 6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Krueger's systematic process. Results: Participants were smoking daily and consumed 3-10 cigarettes. They recognized undesirable smoking consequences in terms of co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ealth that might lead to cessation attempts in the past. Participants who did not want to quit smoking at the program beginning changed their attitude to quit after exploring partial cessation efforts with the help of harmonica therapy. They believe harmonica's consistent help of quitting and leading to success. Conclusion: Adolescent attitudinal change toward smoking cessation has promising insight of motivation enhancement through harmonica therapy that was a major barrier to successful quit.

말소리가 제한된 아동을 위한 말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Nanta program using speech rhythm for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 박영혜;최성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67-76
    • /
    • 2021
  • 난타는 북과 같은 타악기를 이용한 "두드리기"라는 뜻으로 한국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의 리듬이다. 말소리 산출이 제한된 아이들을 위해 난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난타 음성 리듬 중재 프로그램은 말리듬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난타 프로그램은 청각 자극, 다양한 소리와 박자, 리듬을 제공했으며, 리듬과 함께 호흡, 발성, 조음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말소리 목록이 제한된 6명의 아이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아동들에게 소리와 박자를 탐색하고 소리와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듬과 함께 단어를 모방하고 모방하는 단어에서 음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다양한 말소리를 산출하도록 격려하였다. 매 회당 40분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치료 전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점수를 비교하였다. Wilcoxon rank test 결과, 중재 후 PRES에서 수용언어 점수(p=.027)와 표현언어 점수(p=.024) 및 수용어휘력(p=.028)과 표현어휘력 (p=.028)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난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은 수용적이고 표현적인 어휘와 언어 발달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발견들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이 제한된 음성 소리 생성을 가진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과 어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