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ing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th Music Therapy

음악중재 청소년 금연교실 파일럿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 Received : 2010.11.22
  • Accepted : 2010.12.11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Objectives: This pilo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with harmonica therapy was effective or not. It was qualitatively explored perceived smoking consequences, cessation and relapse experience, specific harmonica help to overcome smoking urge, preference of harmonica toward cessation, and harmonica intervention planning to quit. Methods: The treatment program was conducted 30-minute, 6-session, and once a week basis. Qualitative data using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llected at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with 6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Krueger's systematic process. Results: Participants were smoking daily and consumed 3-10 cigarettes. They recognized undesirable smoking consequences in terms of co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ealth that might lead to cessation attempts in the past. Participants who did not want to quit smoking at the program beginning changed their attitude to quit after exploring partial cessation efforts with the help of harmonica therapy. They believe harmonica's consistent help of quitting and leading to success. Conclusion: Adolescent attitudinal change toward smoking cessation has promising insight of motivation enhancement through harmonica therapy that was a major barrier to successful quit.

Keywords

References

  1. 강노아. 음악심리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교육 2009;6(2):4-26.
  2. 고은주.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학습부진 아동의자신감과 자기존중감의 증진.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김경래.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 훈련효과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 김명식, 권정혜. 흡연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및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 2006;25(1):1-23.
  5. 박소연, 황은영.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치료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06;8(1): 37-53.
  6. 여정윤.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개별 음악치료 사례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10;12(1):16-40
  7. 이미정. 인터넷 게임중독 청소년의 정서 자아개념을 위한 노래 만들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
  8. 이영미. 게임 중독 청소년의 충동성과 불안 감소를 위한 노래만들기 기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이주영.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 감소를 위한 분노조절음악 프로그램 연구. 한국음악치료교육 2008;5(2):17-44.
  10. 임은석 2010 5&6 금연프로그램과 5일 교실 금연프로그램의 청소년 금연효과,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7(2),95-108.
  11. 임진석.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학위논문의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007;9(1): 1-22.
  12. 정미라. 응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006;15(2):241-255.
  13. 조재승.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 습관에 미치는 영향.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3
  14. 조혜련.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5. 주혜윤.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즉흥연주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 질병관리본부. 제5차(2009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2010.
  17.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흡연실태조사 보고서. 2008.
  18. Eaton DK et al. Youth risk Behavior Surveillance-United States, 2009.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2010;59(SS-5)
  19. Smeister H. Music Therapy helping to work through grief and finding a personal identity. Journal of Music Therapy 1999;36:222-252.
  20. Standley MJ.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music as reinforcement for education/therapy objective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996;44:105-133. https://doi.org/10.2307/3345665
  21. Sussman S. Effects of sixty-six adolescent tobacco use cessation trials and seventeen prospective studies of self-initiated quitting. Tobacco induced diseases 2002;1(1):3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