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 중재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 정성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65-7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neurological patients.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d literature from 2005 to 2010. The existing literature was searched in the electronic databases of RISS and KISS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music, rhythmic movement, stroke, brain injury, dementia, Parkinson, spinal cord injury. Seventy-seven studies were founded through the database. After The exclusion of duplicates,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irrelevant studies, nine studies were included for analysis. Results: They included nine quasi-experimental studies. The medical diagnos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troke, dementia, brain injury, and spinal cord injury. Among nine studies, only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nursing area. Eight studies used comprehensive music programs composed of health education, gait training, vocal training, or relaxation therapy, and these comprehensive programs were effective in the areas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treatment. Seventeen sessions were provided on average throughout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49.4 minutes. Conclusion: Comprehensive music inter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problem.

남녀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또래애착 및 휴대폰 이용관련 특성이 휴대폰의 기능별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융복합시대의 SNS와 메신저, 인터넷, 음악기능 사용을 중심으로 - (Effects on mobile phone functional use of ego resilience,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related characteristics i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uses of SNS & messenger, music and internet in era of convergence-)

  • 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83-391
    • /
    • 2016
  • 남녀 중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의 하위영역 특성, 휴대폰 이용관련 특성이 휴대폰의 기능별 사용정도, 즉 SNS와 메신저, 인터넷, 음악기능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남녀중학생의 68.6%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기능은 SNS와 메신저이었다. 휴대폰 SNS & 메신저기능 사용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활력성 수준이 낮을수록 높았고, 여학생은 또래애착의 의 사소통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휴대폰 인터넷기능 사용정도는 남녀학생 모두 자아탄력성의 호기심 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또한 여학생은 학년과 성적이 영향요인이었다. 이를 통하여 휴대폰 기능별 사용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를 하위영역별로 적용하여 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 (Harmonic Compositions and Progressions for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Emotion Vocabulary)

  • 이수연;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65-2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8명의 음악중재전문가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정서 어휘의 의미와 선율을 반영하는 화음 구성과 전개를 작곡하고 근거에 대해 서술하게 하였다. 자료 분석은 화음 구성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정서 어휘별로 비교하고, 유사한 답변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124명의 음악치료와 음악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 1의 결과에 따른 정서 어휘별 화음 구성과 전개의 적합성을 조사하고, 타당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쁨의 어휘는 장화음, 주화음, 연속적인 화음 변화, 화남의 어휘는 단화음, 증화음, 9 11화음, 미해결된 7화음의 전개, 슬픔의 어휘는 단화음, 감화음, 반음계 전개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타당도 검증 결과, 기쁨(97.2), 화남(75), 슬픔(80.6)으로 나타나 기쁨의 어휘에서만 유의성이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노래의 선율 창작시 가사가 전달하는 정서적 측면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화음 사용의 근거자료를 제시한다.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 리듬청각자극(RAS) 보행 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Exploring the Use of Melody During RAS Gait Training for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Study)

  • 박혜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36
    • /
    • 2015
  •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리듬청각자극(RAS) 적용 시 선율의 유무에 따른 보행 훈련 효과를 비교하고, 보행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평가를 제외한 총 8회의 보행훈련을 진행하였다. 회기별 중재 시 선율 유무에 따른 보행 속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훈련 효과에 따른 시공간적 지표 및 운동 형상학적 지표 변화 비교를 위해 VICON 370 Motion Analysis System을 사용하여 보행 지표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RAS 보행 훈련 시 제공한 음악 자극 형태에 따라 보행 속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으므로, 선율의 사용 유무는 보행 훈련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RAS 보행 훈련 후 분속수, 보행 속도, 활보장, 활보장 시간, 보행 대칭성이 공통적으로 개선되었으며, 대상자 모두 공통적으로 고관절 및 슬관절의 움직임에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굴곡이나 신전이 감소함에 따라 양측의 비대칭성 감소 및 움직임의 안정성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리듬 적용과 리듬 자극에 선율을 반영한 음악 자극 적용에 따른 보행 속도 간 차이를 비교한 본 연구 결과는 운동기능을 위한 RAS 적용 시, 일정한 간격의 리듬자극에 의한 리듬-운동 동조화가 핵심 기제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RAS 보행 훈련을 통한 보행 기능뿐만 아니라 보행 패턴의 개선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그룹 랩만들기의 치료적 적용: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 향상 사례 (Case Study on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 Group Rap Making)

  • 김은하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45-66
    • /
    • 2021
  •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그룹 랩만들기가 해당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된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도지적장애로 진단받은 만 14-15세의 청소년 3명이다. 본 연구에서 그룹 랩만들기는 랩의 구성요소인 비트, 벌스, 훅, 추임새를 치료적으로 활용하여 소통 맥락 구성, 소통 내용 완성 및 창작, 소통 내용의 적용이라는 3단계로 구성되었고, 회기별 50분씩, 주 2회, 총 6회기 진행되었다. 랩만들기가 적용된 후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들이 구성하고 부른 랩 가사를 분석하였고, 음악 활동 안에서 나타나는 요구·질문하기 및 정보제공하기 행동을 사건 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전후 대상자의 보호자들이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랩 가사에서 대상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랩 구성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요구하거나 질문하는 행동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에서도 대상자의 기능수준에 따라 개별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평정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일부 임상 대상군에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랩만들기가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과 의견을 공유하고 조율하는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환자의 호흡, 구강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 of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on Respiration, Oral Motor and Articula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 Case Study -)

  • 김태연;박신애;이용석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33-252
    • /
    • 2017
  • 본 연구는 호흡근의 지속적 훈련이 필요한 경수손상 환자에게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호흡, 구강 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행되었던 프로그램의 참여자 중 경수 손상환자 군에 해당하는 3명의 결과를 선별하여 사후 데이터 분석 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할 취주악기로 호기와 흡기를 모두 활용하는 하모니카를 선택하였다. 기간은 총 6주간 주 1회 30 ~ 40분씩 시행하였고, 소그룹으로 진행 후 개별적으로 연습을 유지하도록 당일 진행내용이 자료로 제공되었다. 평가는 호흡관련 요소인 최대 호기량과 취주악기의 특징을 반영한 구강운동 그리고 조음검사로 시행하였고, 이에 대해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최대 호기량이 사전보다 평균 25ml 증가하였으며, 조음은 3.16점 증가하였다. 구강운동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11.67점 움직임이 증가하였고, 세부항목 비교 시 입을 제외한 턱과 혀에 대한 점수에서 구강운동기능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 환자의 호흡재활 분야에 실천적이고 효과적 중재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노래 만들기를 통한 완화의료 청소년의 자기수용 증진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Use of Songwriting to Promote Self-Acceptance in Adolescents in Palliative Care)

  • 윤하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55-80
    • /
    • 2022
  • 본 연구는 노래 만들기 활동이 완화의료 청소년의 자기 수용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완화의료 청소년의 심리 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초기 개발 현장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소재 대학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고 제출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총 3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6회(주 1-2회, 1회기 당 50분)로 매회기 도입, 노래 만들기, 마무리의 순서로 중재당일 참여자의 수준에 따라 노래 만들기 활동을 단계적으로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자기수용과 관련된 변화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검사와 참여 과정에서의 음악적 표현 및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대상자 모두 자기 수용력 척도 점수에서의 향상이 도출되었다. 또한, 참여자들 모두 노래 만들기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타인의 판단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해 자신만의 수용적 힘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참여자들의 부정적 정서가 환기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참여자들이 녹음된 결과물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완화의료 청소년들이 본 프로그램을 통해 긴 치료과정에 함몰되지 않고 올바른 자기수용을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in Decreasing Adolescent Test Anxiety)

  • 임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81-109
    • /
    • 2009
  • 본 연구는 시험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해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의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시험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대전 소재 D중학교에 재학 중인 4명의 중학생을 선별하여 척도 검사에 의한 양적연구방법과 내용 분석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시험불안 척도(TAI-K) 검사를 실시하여 양적 분석을, 대상자들의 회기별 노래 자료에 대한 언어적 반응을 3회에 걸쳐 반복 실시한 질문지를 정리하여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시험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회 반복 실시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자들의 기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노래심리치료는 시험불안 청소년의 불안, 걱정, 긴장감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래심리치료는 시험불안과 연관이 있는 학업에 대한 부담감이나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래심리치료는 청소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중재이며, 시험불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험불안으로 인한 인지적, 정서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시험불안 청소년에게 노래를 통한 치료적 중재가 시험불안을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lodic Percussion Playing Group Program on Team Cohesion and Team Efficacy of Youth Soccer Players)

  • 김희진;문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558-566
    • /
    • 2019
  • 본 연구는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중학교 소속 축구선수 57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n=28)은 주 4회, 45분씩, 총 8회기의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n=29)은 별도의 중재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팀응집력 척도와 팀효능감 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t검정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팀응집력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도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집단 간 팀효능감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 차이 검정에서도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선율타악기 연주중심 집단프로그램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팀응집력과 팀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중재 도구임을 시사한다.

프롬프트(PROMPT) 치료기법에 관한 문헌 분석(1984-2020년) (Literature Analysis on PROMPT Treatment (1984-2020))

  • 김화수;이리우;이지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47-456
    • /
    • 2021
  • 본 연구는 1984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외 프롬프트(Prompts for Restructuring Oral Muscular Phonetic Targets, PROMPT)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우리말에 적합한 프롬프트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1984년부터 2020년까지의 프롬프트 치료기법과 관련된 국외 연구 27편과 국내 연구 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프롬프트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84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방법은 중재연구가 16편으로, 말소리장애가 가장 많았으며 대상 연령은 3-5세로 유아기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중재프로그램은 16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프로그램 활동은 무발화 자폐스펙트럼장애 대상을 제외하고 운동구어계층(Motor Speech Hierarchy, MSH)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을 분석한 결과, '구어산출'이 가장 많았으며, '말 운동제어', '조음', '구어명료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국외에서는 구어산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운동 구어 치료법인 프롬프트가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우리말에 알맞은 프롬프트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 말·언어장애 아동에게 프롬프트를 적용하여 구어산출 및 조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우리말 프롬프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