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on Respiration, Oral Motor and Articulation for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 Case Study -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환자의 호흡, 구강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 Received : 2017.01.31
  • Accepted : 2017.03.23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respiration, oral motor and articulation using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who need continuous train of respiratory muscle. Three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who needed continuous training of respiratory muscle were selected and post data was analyzed. The harmonica using both exhalation and inspiration was selected as an wind-instrument. Each session was taken 30 ~ 40 minutes, once a week from total 6 weeks with small group. Material about every session's work was provided for individual to maintain practice after program. Oral motor and articulation test was done to assess reflecting features of maximal expiratory flow and wind-instrument of factor related breath. Maximal expiratory flow has increased by average 25ml more, articulation has increased by 3.16 points more and the movement of oral motor has increased 11.67 points more than pre-test from the analyza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details, the increase of oral motor function was confirmed from scores on the jaw and tongue except for the li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wind-instrument centered music therapy will be a practical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본 연구는 호흡근의 지속적 훈련이 필요한 경수손상 환자에게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호흡, 구강 운동 및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행되었던 프로그램의 참여자 중 경수 손상환자 군에 해당하는 3명의 결과를 선별하여 사후 데이터 분석 하였다. 프로그램에 사용할 취주악기로 호기와 흡기를 모두 활용하는 하모니카를 선택하였다. 기간은 총 6주간 주 1회 30 ~ 40분씩 시행하였고, 소그룹으로 진행 후 개별적으로 연습을 유지하도록 당일 진행내용이 자료로 제공되었다. 평가는 호흡관련 요소인 최대 호기량과 취주악기의 특징을 반영한 구강운동 그리고 조음검사로 시행하였고, 이에 대해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최대 호기량이 사전보다 평균 25ml 증가하였으며, 조음은 3.16점 증가하였다. 구강운동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11.67점 움직임이 증가하였고, 세부항목 비교 시 입을 제외한 턱과 혀에 대한 점수에서 구강운동기능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취주악기를 사용한 음악치료가 경수손상 환자의 호흡재활 분야에 실천적이고 효과적 중재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