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융복합 기술

검색결과 2,392건 처리시간 0.033초

융복합 공간정보의 국토계획 분야 활용가능성 분석 - LH 국토·주택관련 미래사업 예시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for Using Converged Spatial Information(CSI) 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 The Case Study of LH's Future Business about Land and Housing)

  • 최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71-81
    • /
    • 2013
  • 공간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공간정보 활용 기술의 발전으로 국토의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정보와 도시계획 및 부동산 정보 융복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융복합 공간정보의 장래 국토공간 계획 및 이용 활용도를 전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토, 주택분야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장래 2029년까지 6대 분야별 미래사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한 7종의 융복합 공간정보의 미래사업 분야별 활용도를 설문조사하여 국토주택개발 분야의 미래 활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3D, 모바일 데이터, 정형 빅데이터, 지오센서, 참여형 공간정보 순으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업분야에서는 도시 및 지역개발이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융복합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지이용 이외에 해양이용, 연안이용, 지하공간 등 균형있는 국토이용 공간정보의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LS-SEM 기반 IPM 방법 활용 - 수출 경쟁력 요인 대상 (On utilizing PLS-SEM based IPM method - Focused on export competitiveness factor)

  • 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3-47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경쟁력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통하여 전략적 정책을 파악하는 기존 방법인 중요도-성과도 분석(IPA)을 확장하여 PLS-SEM 기반 IPM(Importance-Performance Map) 방법을 적용하여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융 복합 산업의 전략 요인들 분석하여 글로벌한 세계 경쟁에서 살아남고 파급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과 관련된 연구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보기술(IT) 융 복합 산업의 육성은 관련된 산업의 발전과 고용 활성화를 활성화는 효과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 복합 산업의 중소기업들의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적 요인을 탐색하는 연구를 대상으로 본 연구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그 분석 결과 IT 융 복합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T 융 복합 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요인들을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가운데 하나의 전략 수단으로서 본 연구 방법론을 다른 분야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중소기업에서 기술융복합 지능형 로봇 도입을 통한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Adoption of Technology Convergence Intelligent Robot Among Medium-Sized Manufacturing Firms)

  • 최문종;이동하;김상현;박현선;안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01-313
    • /
    • 2015
  • 현대의 기업경영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조 현장에 로봇기술의 도입은 핵심적인 기업경영사항 중에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지능형 로봇 기술 도입이 기술, 조직, 환경특성의 총 6개 변수(인지된 직접적 유익성, 인지된 간접적 유익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인지된 산업압력, 인지된 정부압력)가 기업의 프로세스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총 77개의 중소 제조기업의 자료로 Partial Least Square(PLS)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변수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된 정부압력을 제외한 총 5가지 요소들이 기업 프로세스 혁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능형 로봇을 도입하여 기업 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및 활용 (Big Data Processing and Utilization)

  • 이성훈;이동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67-271
    • /
    • 2013
  • 우리사회는 점점 더 융/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광범위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중심축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자리잡고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일례로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산업의 융합의 결과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등장하였으며, 모든 분야에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주변에는 수많은 디지털 데이터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대중화 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와 카메라, 게임기기등을 통하여 다양한 데이터들이 생성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빅데이터에 대한 활용 상태를 알아보고 빅데이터 플랫폼의 한 축인 처리 프로세스들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MLCC용 유전체 소재의 연구개발 동향 (Recent Progress in Dielectric Materials for MLCC Application)

  • 서인태;강형원;한승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5권2호
    • /
    • pp.103-118
    • /
    • 2022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MLCCs)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core component. In particular, the next-generation MLCC with extremely high reliability is requir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electric ceramic materials with high dielectric properties and reliability. During the decades, electrical properties of BaTiO3 based dielectric ceramic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MLCC industrial field, have been improved by microstructure and defect chemistry control. However, electrical properties of BaTiO3 have reached their limits, and new types of dielectric materials have been widely studied.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report presents the recent development trends of BaTiO3-based dielectric materials for the next-generation MLCCs, and suggests promising candidates to replace BaTiO3 ceramics.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Convergenc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self efficac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Nursing students)

  • 정추영;서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71-280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운영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5일에서 12월 13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1개 대학교 1학년 중 실험군 41명, 대조군 42명으로 총 83명이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 실시 전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t=15.23, p<.001), 의사소통 능력(t=11.42, p<.001) 및 대인관계(t=19.24,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에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융복합 서비스를 위한 시맨틱 웹 서비스 기술 (Semantic Web Services Technologies Towards Future Converged Services)

  • 박유미;문애경;유현경;정유철
    • 정보와 통신
    • /
    • 제27권5호
    • /
    • pp.30-35
    • /
    • 2010
  • 인터넷의 발전 과정에서 데이터 중심의 시맨틱 웹 기술과 서비스 중심의 웹 서비스 기술은 시맨틱 웹 서비스라는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시맨틱 웹 서비스의 핵심 기술인 어노테이션, 발견, 조합, 실행, 중재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산업계와 학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더불어 시맨틱 웹 서비스 기술이 융복한 서비스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간략히 고찰하고자 한다.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재활동기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and the Empowerment on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 강효정;권수혜;윤순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91-303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재활병원 및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138명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는 임파워먼트(r=.467,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지각한 스트레스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회귀분석 시 재활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파워먼트(${\beta}=.432$, p<.001)였고, 다음으로 주간호자(${\beta}=.175$, p=.023)로 확인되었으며, 이 변인들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를 총 2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이들 영향요인을 고려한 융복합적 치료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64x64형 옥내외 LED 전광판 사이니지에 접목 가능한 무선광통신용 RGB LED 제어 및 소재분석 연구 (A Study on RGB LED Control and material analysis for transmit wireless optical information using 64#x0078;64 Matrix based indoor and outdoor LED signage)

  • 이민우;이범희;차재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3
    • /
    • 2017
  • 최근 IT 및 사이니지 기술을 포함한 여러 기술의 발전 형태가 융복합적 기술의 방향으로 전환됨으로서, 기술 간 장벽이 허물어지고, 상호 연관성을 갖게 됨에 따라 사이니지 및 IT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융복합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LED 광원의 일종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학계, 연구소 및 관련 산업체 등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ED 전광판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무선광통신이 용이한 LED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LED 전광판 사이니지를 이용한 무선광통신 기술은 LED 광원이 지닌 특성을 토대로 RF방식 대비 높은 주파수 대역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잠재력과 파급력을 통하여 무선통신 분야에서의 새로운 통신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무인항공기 개발 현황 및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s of Drones)

  • 윤철용;강왕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0-311
    • /
    • 2015
  • 최근 스마트폰등 ICT기반의 전자제품들이 보편화 되면서 무인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전자기술들이 급속히 개발되어, 항공 기술과 ICT 기반 전자 기술이 융복합되어 무인항공기는 군용위주의 활동 영역을 넘어 민간분야에서 까지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전통적인 항공 선도 업체들이 군용무인기 중심의 고가의 무인기를 생산하여 시장을 장악하였으나, 이제는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무인기를 상업화하기 위한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어 민수영역에서 무인기 시장은 급성장세에 있다. 국내의 무인기 기술은 기술혁신과 시장창출 주도가 가능한 선진권 수준이며, 무인기의 핵심인 ICT기반 전자부품 기술은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두 분야의 기술을 융복합화하여 경쟁력 있는 무인기 개발을 신속히 진행하면,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무인기 개발 시장은 우리에게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자율비행, 상황인식 및 회피 기능 등 미래 무인기 선도기술을 개발하고, 국산화지연 또는 외국의 수출제한 품목에 대한 국산화 개발 및 핵심 부품의 국산 경쟁력 강화를 통하여 무인기 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