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무효전력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th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interconnected with Power Distribution System (배전계통에 연계된 전지전력저장시스템의 유.무효전력 제어)

  • 김재철;문선호;최준호;김응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3 no.4
    • /
    • pp.127-133
    • /
    • 1999
  • Ths paper deals with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during its interconnection operation to power distribution system When an interconnection operation of BESS to power distribution system, it is well suited for peak load shaving and distribution voltage compensation by controlling the real and reactive power. Equivalent mxiel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he BESS is derived and power flow equations are presented to control the real and reactive power of BESS. In this paper, to control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of BESS, $P-\delta$ and Q-V control method and ntJIrerical description is presented. To verify the proposed control method, using PSCAD/EMTDC program simulates the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BESS.f BESS.

  • PDF

Analysis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Variation according to Line Impedance Characteristics for Inverter Parallel Operation in an Isolated Grid (고립된 계통에서 인버터 병렬운전 시 선로 임피던스의 특성에 따른 유.무효전력 변동 분석)

  • Choi, Hyeong-Jin;Song, Seung-Ho;Kim, Kwang-Seob;Kim, Hyeong-S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6-129
    • /
    • 2009
  • 두 대 이상의 전원이 부하를 분담하는 경우 전원간의 통신이 없다면 여러 가지의 오차요인으로 인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발전기 시스템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droop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분산전원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2대 이상의 분산전원이 병렬운전하여 고립된 계통에서 부하를 분담해야하는 경우 이들 간 통신이 없다면 문제가 된다. 그러나 발전기와는 달리 분산전원은 저압선로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선로의 임피던스 특성에 따른 유 무효전력의 변동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전원의 병렬운전 시의 오차요인 계산하고 선로에 임피던스에 따른 유 무효전력의 변동을 분석하여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고 저압선로에서의 분산전원 droop제어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PDF

Virtual impedance based droop control for proper power sharing of parallel inverters in islanded microgrid (마이크로그리드 독립운전 시 병렬 운전 인버터의 적절한 전력분담을 위한 가상임피던스 기반의 드룹제어 연구)

  • ko, Seungwoo;Lim, Kyungbae;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25-126
    • /
    • 2016
  • 여러 분산 발전 시스템으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연계 모드에서 부하의 수요에 담당하게 되고, 계통 사고가 발생할 시 독립 운전 모드로 동작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운전 모드 동작 시 제어 방식 중에서 유, 무효 전력제어를 통한 적절한 전력 분담을 실현하기 위한 드룹제어 방식을 다룬다. 이 방식은 선로 임피던스가 복합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불 평형 일 경우 여러 문제로 유,무효 전력 분담의 오차를 발생 시킨다. 이에 대하여 가상임피던스를 추가함으로써, 복합적 불 평형 임피던스에 기인한 유,무효 전력 분담의 오차를 해결 하여, 시스템의 유,무효 전력 분담을 개선 하고자 하였다. 가상 임피던스에 따른 출력 임피던스에 대해서 연구하고 이에 따른 드룹제어를 분석하고, PSIM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PDF

Droop control considering harmonic reduction in the nonlinear load sharing of parallel operation inverter (병렬 운전 인버터의 비선형 부하 분담 시 고조파 저감을 고려한 드룹제어 연구)

  • Ko, Seungwoo;Lim, Kyungbae;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69-170
    • /
    • 2016
  • 여러 분산 발전 시스템으로 구성된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 연계 모드에서 부하의 수요에 담당하게 되고, 계통 사고가 발생할 시 독립 운전 모드로 동작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운전 모드 동작 시 제어 방식 중에서 유, 무효 전력제어를 통한 적절한 전력 분담을 실현하기 위한 드룹제어 방식을 다룬다. 이 방식은 선로 임피던스가 복합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불 평형 일 경우 여러 문제로 유,무효 전력 분담의 오차를 발생 시킨다. 이에 대하여 가상임피던스를 추가함으로써, 복합적 불 평형 임피던스에 기인한 유,무효 전력 분담의 오차를 해결 하여, 시스템의 유,무효 전력 분담을 개선 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선형 부하 시 고조파의 문제를 비례-공진 제어기를 이용하여 고조파를 저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PSIM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ower Factor (부하역율 분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Tae-Ok;Chang, Jae-Won;Kwon, Ta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41-43
    • /
    • 2002
  • 전력계통 해석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는 배전용변압기 1차측 기준의 정확한 부하역율 데이터 입력이 요구되나, 현재 역율산정을 위한 유 무효전력 측정설비가 변압기 2차측에만 설치되어 변압기 자체에서 소모되는 무효전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고려방법 모색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고에서는 변압기 OLTC 변화에 따른 소모 무효전력 변화량 고려방법, 변압기 2차측 유, 무효전력 측정치 및 조상설비 운전실적 등 제반 요소를 고려한 변압기 1차측 기준의 역율 산정방법을 제시하고, 현재 우리계통에서 운전되고 있는 154kV 전 변전소 전 변압기 및 154kV 직거래고객에 대하여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총 44개 케이스의 부하역율 특성분석 결과를 이용 계통해석시 적용되는 부하데이터의 정밀도 향상방안과 부하역율 변경 적용시 계통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우리나라 실 계통 대상 모의 결과를 다루었다.

  • PDF

Control and Experiment of Railway Power Compensator System (전기철도용 전력보상장치 제어 및 실험)

  • Woo, Jehun;Jo, Jongmin;Park, Sanghae;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34-335
    • /
    • 2019
  • 본 논문은 전기철도용 전력보상장치로 사용되는 단상 3레벨 인버터를 제작하였으며, 단상 3레벨 인버터의 유 무효 전력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단상 3레벨 인버터는 유 무효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가상 동기좌표계 축 상에서 PI 제어기를 통해 전류제어를 수행한다. DC 링크 제어는 3레벨 인버터를 고려할 때 DC 링크 전압의 상단부와 하단부 전압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하는 밸런싱 제어기를 포함한다. 10kVA 단상 3레벨 인버터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으며, 안정한 유 무효전력제어 특성 실험 결과를 통해 단상 3레벨 인버터의 설계 및 제어 동작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ctive/Reactive Power Control of Doubt Fed Induction Generator (가변속 권선형 유도 발전기의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동시제어)

  • Lee, H.J.;Park, S.J.;Kim, Y.S.;Kwon, Y.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4-226
    • /
    • 2003
  • 권선형 유도 발전기는 고정자뿐만 아니라 회전자에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중여자의 구조를 가지므로 제어의 폭이 넓은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구성하는 권선형 유도발전기 시스템은 계통 연계형으로 유도발전기의 고정자는 계통에 직접 연결되고, 회전자는 AC/DC/AC 컨버터를 통해 계통과 연결된다. 간 연구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가변속의 동력아래 고정자측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회전자의 d-q 독립제어에 의하여 동시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유도발전기 시스템에서 터빈의 속도가 동기속도 이상이 되어야만 일정한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최대전력 점 트래킹 방식 보다 넓은 운전 범위인 동기속도 이하의 영역에서도 회전자 전력변환장치 용량이내에서 일정 전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Method for Grid-Connected Three-Phase PWM Inverter (계통 연계형 3상 PWM 인버터의 유·무효전력제어 방법)

  • Ahn, Hyun-Jin;Jung, Young-Gook;Lim, Young-Cheol;Oh, Seung-Yeol;Kim, Kwang-He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263-26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3상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유 무효전력제어를 통해 부하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며 계통과 인버터를 안정적으로 연계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부하 변동 및 계통전압과 인버터 전압의 위상차 ${\theta}$에 따라 PSIM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for HVDC Application (직류송전 적용을 위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유·무효 전력제어)

  • Kim, Do-Hyun;Yang, Won-Mo;Yu, Seung-Yeong;Han,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59-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직류송전 적용을 위해 전력계통과 연계된 모듈형 멀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의 유 무효 전력제어에 대해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고려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한 암당 12개의 서브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모듈레이션은 NLC (Nearest Level Control)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DC 커패시터의 밸런싱은 버블소팅 방식을 적용하였고 순환전류를 억제하는 알고리즘을 고려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유 무효전류제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10kVA DC 1000V 하드웨어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교류전압 불평형 보상과 순환전류 제어, 컨버터 보호에 대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도출할 예정이다.

  • PDF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Doubly-Fed Induction-type Wind Generator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의 유.무효전력 제어)

  • Jeong, Byoung-Chang;Chung, Yong-Ho;Kim,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c
    • /
    • pp.205-20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권선형 유도기를 사용한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용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제어기는 발전기의 회전속도와 발전량, 기리고 계통 전압 등의 조건에 따라서 발전기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발전이 가능한 조건에서는 발전기의 유효전력은 최적값이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무효전력은 계통 운영자의 요구, 계통 전압, 그리고 발전량 등을 고려하여 무효전력 제어 모드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