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형 분류

Search Result 3,76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Question Analysis using Lexico Information and Noun Semantic Information (어휘정보와 명사의미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질의문장 분석)

  • 정규철;서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5-189
    • /
    • 2003
  • 고성능의 질의 응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질의 유형 분류기의 성능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분류규칙이나 대용량의 사전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질의문에서 의문사에 해당하는 어휘들을 이용하여 질의 유형을 결정하고, 의문사 주변에 출현하는 명사들의 의미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정답유형을 결정할 수 있는 질의 유형분류기를 제안한다. 의문사에 해당하는 어휘가 생략된 경우는 질의문의 마지막 어절의 의미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유형을 분류한다. 의문사 주변의 명사들이 마지막 어절에 출현하는 명사들에 대해 동의어 정보와 접미사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유형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질의 유형에 대한 분류는 97.4%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Comparisons of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국내 주요 도시의 비오톱유형 분류체계 비교)

  • Choi, Jin-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1
    • /
    • pp.78-86
    • /
    • 2010
  •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major Korean cities was made based on the land use concept rather than the ecological concept of the land as the habitat of biological communities. Therefore, biotope type need to be reclassified according to ecological concer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ttempts to clearly define various critical concepts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such as classification hierarchy, classification criteria, classification factor, classification indicator, classification key, and classification standard. Furthermore, it also attempts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by sampling the cases of major Korean citi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biotope type is required to have a coherent system that provides basic guidelines, standards and hierarchy with regard to biotic, abiotic and anthropotic factors, as well as classification indicators and classification keys.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전국적 적용을 위한 비오톱유형분류 제안)

  • Choi, Il-Ki;Oh, Choong-Hyeon;Lee, Eun-Heu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66-678
    • /
    • 2008
  • The needs for drawing up of biotope map is rapidly spreaded over each local government recently in Korea, according as enhancing of interest about biotope, which is recognized to practical instrument for concretely being able to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n all sorts of development plan. However, there are not yet the standard suggestion on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erefore, each other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each of local autonomies. First, under such critical mind the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were drafted by a review on biotope types,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preceded case studies until now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iotope types and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pplicable to the whole Korean region through continual feed back such as field surveys in selected representative areas and consultat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ase examples, firs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were mixed two steps system with three steps system and those were composed mostly of the structure of two steps: large and small. Second, land-use, soil pavement ratio, green cover ratio, and vegetation usually were applied to the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is consisted of four steps system: large(biotope class), medium(biotope group), small(biotope type) and detail(sub-biotope type), and the biotope types are classified into 13 types of large step, 45 types of medium step and 127 types of small step.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 biotope types on small step or detail step should be continually supplemented with the found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because the biotope type classification should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 Question Type Classifier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지지 벡터 기계를 이용한 질의 유형 분류기)

  • An, Young-Hun;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129-136
    • /
    • 2002
  • 고성능의 질의응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질의 유형의 난이도에 관계없이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질의유형 분류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질의 유형 분류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질의 유형 분류기의 분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질의에 포함된 어휘, 품사, 의미표지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로부터 자질들을 추출한다. 이 과정에서 질의의 구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윈도 기법을 이용한다. 또한, 다량의 자질들 중에서 유용한 것들만을 선택하기 위해서 카이 제곱 통계량을 이용한다. 추출된 자질들은 벡터 공간 모델로 표현되고, 문서 범주화 기법 중 하나인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질의 유형을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질의 유형 분류 문제에지지 벡터 기계를 이용한 자동문서 범주화 기법을 도입하여 86.4%의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질의 유형 분류기를 통계적 방법으로 구축함으로써 lexico-syntactic 패턴과 같은 규칙을 기술하는 수작업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응용 영역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처리와 빠른 이식성을 보장한다.

  • PDF

Comparison of Hydrologic Soil Groups with Classification Method (분류방법에 따른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 Jung, Kang-Ho;Hur, Seung-Oh;Sonn, Yeon-Kyu;Park, Chan-Won;Ha, Sang-Keun;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7-105
    • /
    • 2007
  • 수문학적 토양유형은 복잡하게 세분되어 있는 토양의 종류를 수문학적인 목적에 따라 단순화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미농무성 토양보전국에서 고안한 개념이다. 우리나라 토양을 이 방법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몇번의 시도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정 등(1995)이 분류한 수문학적 토양군이다. 이는 토양의 침투 투수특성에 대한 실측자료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감안하여 토성속(textural family), 배수등급(drainage class), 불투수층(impermeable layer), 투수성(permeability)의 네가지 토양특성을 분류특성으로 하여 각각에 1-4점 범위로 점수를 매긴 후 합산한 점수를 기준으로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토양의 한계침투속도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할 때 기존의 방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 등(1995)의 분류방법은 개념상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토양의 수리특성은 같은 토성속이라 하여도 토양생성 과정과 토지이용 방법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다음으로 지표유거가 많아 배수가 양호한 토양의 강우 유출을 과소평가한다. 또한 얕은 토심에 존재하는 불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토양의 수리특성에 관계없이 적은 양의 강우에도 유출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제한인자로 간주하여야 한다. 토양의 한계 침투속도를 이용한 분류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다. 토양의 한계침투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현장에서 지표 한계침투속도와 투수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자료를 확장하여 해석하기 위해 입자특성을 이용한 Pedo Transfer Function을 개발하였다. 토심 50 cm 포화시 토양 투수성을 한계 침투속도로 가정하였으며 50 cm 이내에 암반층과 지하수위가 존재할 경우 투수성에 관계없이 D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한 결과 기존의 분류와 몇가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가장 큰 차이는 대부분의 논토양이 느린 한계침투속도의 영향으로 D유형에 속한 것이다. 산림토양과 밭토양은 기존 방법과 마찬가지로 A, B유형이 많았으며 암반층을 고려하기 전에는 기존 분류에 비해 강우 유출 가능성이 적은 쪽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암반층이 존재하는 토양을 고려한 결과 A 또는 B 유형에 속하던 상당수의 산림토양이 새로운 분류에서 D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Word Semantic Categories for Natural Language Question Type Classification and Answer Extraction (자연어 질의 유형판별과 응답 추출을 위한 어휘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 Yoon Sung-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141-144
    • /
    • 2004
  • 질의응답 시스템이 정보검색 시스템과 다른 중요한 점은 질의 처리 과정이며, 자연어 질의 문장에서 사용자의 질의 의도를 파악하여 질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 주-형을 분류하기 위해 복잡한 분류 규칙이나 대용량의 사전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질의 문장에서 의문사에 해당하는 어휘들을 추출하고 주변에 나타나는 명사들의 의미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정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는 질의 유형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의문사가 생략된 경우의 처리 방법과 동의어 정보와 접미사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유형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ing Standard Clas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 Ko Young-Man;Seo Tae-Sul;Cho S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3
    • /
    • pp.151-17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draft fo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named "Knowledge Classification 'KC' is suggested. KC consists of 3 classification systems classification by subject, type of resources and type of media.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has 12 main classes, and each main class has divisions. Main classes consist each of major discipline or group of related disciplines. The type of resources is classified by 10 types of content, likewise numbered 0-9, and the media of knowledge are classified by 8 types. likewise 0-7. In the Practice the notation always consists of 2 characters and 2 digits. The first character designate main class and the second character designate division. The first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resources and the second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media.

Tyue Classification of Korean Characters Considering Relative Type Size (유형의 상대적 크기를 고려한 한글문자의 유형 분류)

  • Kim, Pyeoung-K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99-106
    • /
    • 2006
  • Type classification is a very needed step in recognizing huge character set language such as korean characters. Since most previous researches are based on the composition rule of Korean characters, it has been difficult to correctly classify composite vowel characters and problem space was not divided equally for the lack of classification of last consonant which is relatively bigger than other graphemes.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type classification method in which horizontal vowel is extracted before vortical vowel and last consonant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one of five small groups based on horizontal projection profile. The new method uses 19 character types which is more stable than previous 6 types or 15 types. Through experiments on 1.000 frequently used character sets and 30.614 characters scanned from several magazines, I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useful classifying Korean characters of huge set.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WangDungJae wetland type at Chiri National Park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유형분류와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on;Kim, Yong-Sik;Cha, Yoon-Jung;Lee, Byung-Hee;Ko, Kwan;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64-164
    • /
    • 2000
  • 지리산왕등재 습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하여 미국야생생물보호청(US Fish & Wildlife Service)에서 개발한 습지 유형 분류방법론을 적용하여 유형분류와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왕등재 습지는 계(System), 아계(Subsystem), 강(Class), 아강(Subclass), 수영역(Water Regime), 수문지형 단위 (Hydrogeomorphic Units), 저질/우점유형 (Substrate/Dominants Type)의 계층적 분류체계에 따라 소호소습지생태계(Palustrine wetland system), 정수습지생태계 강, 영속형 정수식물 습지생태계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범주성 수화학(pH 6.1), 산악의 영구적인 초원 수문지형,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사초과와 고랭이속이 우점하는 습지로 분류되었다. 지리산 왕등재 습지와 비교하여 대암산 용늪의 분류체계는 이끼/지의류 강, 이끼 아강, 영구적으로 습윤한 수영역, 산성의 수화학, 저질은 유기체 유형(이탄토)으로 물이끼가 우점하고 관속식물이 혼재하는 유형으로 분류되어 많은 차이가 난 반면, 무제치늪은 매우 유사한 습지유형으로 우점유형(진퍼리새 우점)과 특정 종에서만 차이가 났다.

  • PDF

Case Studies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of Public Caves (공개동굴의 유형분류에 관한 사례연구)

  • Hong, Hyun-Chul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3
    • /
    • pp.13-25
    • /
    • 2009
  • This study, which includes case studies that provide information of cave tour resources, considered a variety of selected variable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arts of caves with the expanded factors of the academic classification in caves. It uses the cluster analysis, one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s, and applied the results for review. As a result, public caves can present multiple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he surrounding area's human environment. The result, classified by the region in public caves, is derived from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