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수문성분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강우데이터를 필요로 안하는 홍수정보(2)

  • 일야간웅;김치홍
    • Water for future
    • /
    • v.17 no.4
    • /
    • pp.269-272
    • /
    • 1984
  • 우선 홍수유량은 강우가 수문유출계를 통하여 변환된 것이므로, 원리적으로는 유량데이터만으로, 즉 강우데이터 없이도 홍수예측이 가능함을 기술한다. 다음에는 강우유출계의 강한 비선형성은 유량을 수치휠터에 의해 2~3의 성분으로 분리할 때 각성분계부터는 제거되는 것(단, 강우의 분리법칙이 비선형이 된다. "휠터 분리 AR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삼으로, 실측유량과 예측유량의 오차가 가장 신뢰도가 높은 정보임을 지적하고, 이 오차를 이요하는 휠터링의 방법으로서 세가지의 고찰법이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역산강우에 칼만.휠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방법을 효과적으로 하는 여러 가지 기법을 기술한다. 기법을 기술한다.

  • PDF

Development of SWAT-AGRIMAN model (SWAT-AGRIMAN 모형의 개발과 적용)

  • Kim, Nam-Won;Shin, Seong-Cheol;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5-69
    • /
    • 2005
  • SWAT 모형은 우리나라 논 지역에서의 수리관행을 이행할 수 있도록 관개용수의 공급과 담수지역에 대한 성분해석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갖추고 있으며, 각종 물관리 체계의 조작이 가능한 우수한 모형이다. 그러나, 실제 우리나라 농업지역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담수상태의 논 지역을 충분히 모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SWAT 모형의 관개용수공급과 관련한 내부 모듈의 전면적인 수정$\cdot$보완과 교체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SWAT 모형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 는 농사의 특징인 담수를 고려하고, 관개량 및 관개일정을 제어하여 담수 논에 대한 수문성분이 전체 하천유출을 포함하는 수문순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WAT-AGRIMAN(SWAT-AGRIculture MANagement)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SWAT-AGRIMAN 모형을 보청천 기대교 상류유역에 적용하였고, 적용결과를 SWAT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와 비교$\cdot$평가하였다. 관개용수의 수원의 제기능 여부 및 담수상태의 유지여부와 논의 침투량 및 증발산량, 유역 출구에서의 유출량의 변화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관측유량과의 유출율, 평균제곱근오차(RMSE), 모형효율계수(ME), 상관계수(CORRL), 결정계수($R^2$)의 비교$\cdot$분석을 통해 모형을 평가하였다.

  • PDF

Effect of agriculture water use on streamflow (농업용수 이용이 하천유출에 미치는 영향)

  • Kim, Nam Won;Shin, Seong Cheol;Kim, Cheol Gy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24-629
    • /
    • 2004
  • 농업지역에서의 유출 및 물사용에 대한 정확한 계측이 이루미지지 않고 있으며,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관개와 회귀에 따른 정확한 수자원 평가가 어려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 수자원의 파악은 물론 효율적인 물관리, 수자원 계획 등 수자원 관련 제분야에 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농업용수 사용이 하천 유출을 중심으로 수문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WAT-AGRIMANAGEMENT 모형의 농업용수이용과 관련한 입력자료의 특성 및 구성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그 입력자료를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구축하여 우리나라 농업지역 특성인 담수상태의 논에 대해 모의 하였다. 농업용수 사용에 따른 각종 입력자료를 구축하여 농업용수의 관개일정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비교를 통해 농업용수가 하천유출, 증발산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유역 전체의 물수지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농업지역의 순물 소모량과 회귀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농업용수로 인한 수문자료의 불확실성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on the Large-Scale Basin (대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 개발)

  • Bae, Deg-Hyo;Lee, Byong-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
    • /
    • pp.51-64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prediction on a large-scale basin. For this study, the hourly surface runoff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variable retention parameter and runoff curve number is developed. This model is composed that the soil moisture to continuous rainfall can be simulated with applying the hydrologic components to the continuous equation for soil moisture. The runoff can be simulated by linking the hydrologic components with the storage function model continuously. The runoff simulation to large basins can be performed by using channel storage function model. Nakdong river basin is selected as the study area. The model accuracy is evaluated at the 8 measurement sites during flood season in 2006 (calibration period) and 2007~2008 (verification period). The calibrated model simulations are well fitted to the observations.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ies in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periods exist in the range of 0.81 to 0.95 and 0.70 to 0.94, respectively. The behavior of soil moisture depending on the rainfall and the annual loadings of simulated hydrologic components are rational. From this results,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discharge on large basins.

Flash flood risk indicator for ungauged area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위험도 산정 연구)

  • 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4-94
    • /
    • 2016
  • 돌발홍수는 수십 $km^2$ 이하의 유역에서 강우가 발생한 후 6시간 이내의 단시간에 홍수징후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발홍수를 잘 예측하기 위해서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 호우를 잘 예측해야 하며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해석을 통해 돌발홍수를 예측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을 잘 모의하기 위해 TOPLATS 지표해석모형을 이용하였다. TOPLATS(TOPMODEL based Land Atmosphere Transfer Scheme) 모형은 물수지와 에너지수지를 통해 단위격자에 대한 실제증발산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 지표유출량, 잠열, 현열, 지열, 순복사량 등을 모의하며 소유역단위로 지하수면깊이를 재분포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돌발홍수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실제 돌발홍수 피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피해지역과 대응되는 격자 수문성분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돌발홍수 위험도 모형을 산정하였다. 대상지역은 수도권 전체지역을 모의하기 위해 한강, 임진강, 안성천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도권 지역은 약 11,930 km2이며 2009~2012년동안 총 38건의 돌발홍수 피해사례가 신고되었다. 기상자료는 기상청 AWS와 ASOS 시단위 강우,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조, 기압자료를 이용하였다. 돌발홍수 피해사례 38건에 대해 대응되는 모의격자의 수문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7(71%)에서 구조요청시점에 대해 강우량, 지표유출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가 적절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우조건에 따른 돌발홍수 위험도는 구조요청시점 기준 선행시간 4~6시간까지 71~87%, 구조요청시점으로 한정된 0시간에서는 42~5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표해석모델을 이용한 격자 수문성분과 통계적 돌발홍수지수모형으로부터 산정된 돌발홍수 위험도는 산지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거동 분석)

  • Park, Ki-Wook;Oh, Seung-Tae;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72-1680
    • /
    • 2010
  • 본 연구는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의 기본 모형인 SWAT 모형의 농촌용수지구 적용을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의 농촌용수지구인 이동 저수지 상류유역인 농업소유역에 SWAT 모형을 적용하였다. 단위유역에 대한 모형의 적용결과 분석은 미산저수지내 관개량 입력자료와 저수지 운영자료로부터 모형의 거동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동저수지 유역에 포함된 단위유역에 대한 토지이용도, 토양도, 강우관측자료 등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논에서의 관리성분 및 저수지 관리성분을 각각 DB화하여 구축하였다. SWAT 모형의 개선을 위하여 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논지대에 대한 관리성분을 관개량 측정자료로부터 일별 관개량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단위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결과 관측된 일별 저수량과 SWAT모형과 AGRIMAN모형에 의해 산정된 저수량의 변화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구는 관개지구의 환원수량, 저수지의 여수로 방류량 및 용수 사용량 등에 따라 저수지의 유입하천 및 하류하천의 장기유출량에 복잡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농업용수 이용에 따른 농촌유역의 유출량, 저수량, 관개량 등 각 수문요소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유역에 대한 모형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농촌유역내에서의 수문성분의 검토가 가능하였으며,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농촌용수의 물수지 해석 및 수원공의 적정운영을 위한 기초기술이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SWAT Simulation for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설마천유역 혼효림에서 실측된 증발산과 토양수분을 이용한 SWAT모형의 적용성 평가)

  • Joh, Hyung-Kyung;Lee, Ji-Wan;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4
    • /
    • pp.289-297
    • /
    • 2010
  • Common practice of Soil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validation is to use a single variable (i.e., streamlfow) to calibrate SWAT model due to the paucity of actual hydrological measurement data in Korea. This approach, however, often causes errors in the simulated results because of numerous sources of uncertainty and complexity of SWAT model. We employed multi-variables (i.e., streamflow,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which were measured at mixed forest in Seolmacheon catchment ($8.54\;km^2$),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reduce the uncertainties of SWAT model output. Meteorological and surface topographical data of the catchment were obtained as basic input variables and SWAT model was calibrated using daily data of streamflow (Jan. - Dec.), evapotranspiration (Sep. - Dec.), and soil moisture (Jun. - Dec.) collected in 2007. The model performance was assess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e observation (i.e., streamflow of 2003 to 2008 and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2008). When the multi-variable measurements were used to calibrate the SWAT model, the model results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compared to those using a single variable measurement by showing increases i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rom 0.72 to 0.76 for streamflow, from 0.49 to 0.59 for soil moisture, and from 0.52 to 0.59 for evapotranspir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liable and accurate collective observation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SWAT model and promote its facilitation for estimating more realistic hydrological cycles at catchment scale.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of Musim Catchment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SWAT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 Chung, Il-Moon;Kim, Nam-Won;Lee, Jeong-Woo;Lee, By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05-1909
    • /
    • 2006
  • 지하수 함양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지하수계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하수 함양량 추정방법은 지하수위 변동법, 기저유출 분리법, 연단위 물수지 분석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집중형 개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후조건, 토지이용, 토양조건, 수리지질학적 비균질성에 의한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비균질성을 반영할 수 있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은 유역내 일단위 지표면 유출량, 증발산량, 토양저류량, 함양량, 지하수유출량 등의 수문성분을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미호천 유역의 최상류인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2001년 - 2004년까지의 기간동안 지하수 함양량을 포함한 유역의 일단위 수문성분들을 모의하였으며, 유역출구점에서의 실측 일유출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모의결과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함양량의 변동성은 토지이용 변화뿐만 아니라, 유역경사와 같은 지형인자에도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land cover and soi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HSPF modeling accuracy (HSPF 예측 정확도 제고를 위한 토지피복 및 토양 특성 자료의 활용)

  • Kang, Yooeun;Kim, Jae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0
    • /
    • pp.823-833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unoff modeling accuracy of a basin using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by considering non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a basin. By entering classified value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land cover and soil to the parameters in HSPF-roughness coefficient (NSUR), infiltration (INFILT), and evapotranspiration (LZETP)- the heterogeneity of the Yongdam Dam basin was reflected in the model.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one where the parameters were set as a single value throughout the basin. The flow rate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results showed improved results when classified parameters were used by land cover and soil type than when single values were used. The parameterization changed not only the flow rate, but also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hydrologic components such as surface runoff, baseflow, and evapotranspiration, which shows the impact of the value set to a parameter on the entire hydrological proces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land cover and soil of the basin when setting the parameters in a model.

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Catchment in Eoseungsaeng-oreum, Jeju Island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 -)

  • KIM, Taeho;AN, Jungg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5 no.2
    • /
    • pp.55-65
    • /
    • 2008
  • In order to examin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scoria cones in Jeju Island, hydrological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basin (5.1 ha) of Eoseungsaeng-oreum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covered with Carpinus laxiflora and Quercus serrata. Although runoff has continuously occurred during the observed period, the baseflow gradually increased from April and decreased from October. The peak flow approximately corresponded to every rainfall events except for the rainfall events which has slight total precipitation and no previous precipitation. The experimental basin shows flash runoff response and short lag time; the mean lag time is 35.8 minutes. Although the runoff ratio of quick flow is proportional to total precipitation, the increasing rate is low and the maximum runoff ratio is 24.7%. In addition, the runoff ratio is less than 1% in 68.3% of the rainfall events, suggesting that the portion of quick flow to total precipitation is low. The rainfall events with relatively long event time demonstrated a secondary peak generated by translatory flow. The runoff characteristics seem to be related to local impermeable beds in the experimental b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