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3초

토목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 모델 설계 (Design of Information Model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Civil Projects)

  • 정선화;강형석;노상도;이창우;이광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65-368
    • /
    • 2010
  • 건설 프로젝트 단계별로 생산되는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정보의 상호 교환 및 공유는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건설 정보 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획, 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의 프로세스 및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통합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과 같은 정보 모델을 활용하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건축 분야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토목 분야에서 프로젝트 정보의 통합적인 관리와 업무 프로세스 별 엔지니어링 어플리케이션 간의 교환 및 공유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토목 프로젝트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정보 모델을 설계하고, 토목 구조물 가운데 교량을 대상으로 하는 토목 프로젝트를 정보 모델에 적용해 보았다.

  • PDF

지적재산권 통합관리 시스템 (Intellectual Property Total Management System)

  • 송재오;윤다영;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391-394
    • /
    • 2014
  • 특허청에서 수행한 특허관리 실태조사에 의하면 기초적 특허관리의 출발점인 발명신고의 형식적인 운영, 전략적 특허관리의 출발점인 출원 전 심사, 보유 특허의 유지/포기 심사 등, 체계적인 심사평가의 운영체계 미비, 효율적 특허관리를 위한 직무발명 및 보상규정, 특허관리규정(발명신고, 출원, 선행기술조사, 등록, 유지 및 포기 등)과 이와 관련된 양식의 미비 등이 문제점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기관의 특허관리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특허 등 지식재산의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관리를 위해 특허관리 인력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보급이 필요하다. 특히, 효율적인 특허관리를 위해 기초가 되는 관련 규정, 양식 및 그 활용법, 효과적인 특허관리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 등에 관한 통합관리 시스템 및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실무적 요구공하가 공정 (Practical Approach to Requirements Engineering Process)

  • 박수용;황만수;박수진;서성숙;나호영
    • 시스템엔지니어링워크숍
    • /
    • 통권1호
    • /
    • pp.1-8
    • /
    • 2003
  • 시스템 개발환경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개발 생명주기의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요건은 기술적, 관리적 측면에서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즉, 개발 생명주기의 초기단계에서 요건에 대한 잘못된 이해나 분석, 개발 영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관리의 부재 및 계속적인 변경 요구는 부정확성하고 불완전한 요건을 발생시키고, 다른 요건과의 충돌 및 일관성 결여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완전성과 성능 등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무 프로젝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요건관리와 관련된 프로세스와 활동을 요구공학을 기반으로 완전성과 일치성을 가진 요구사항의 생성 및 관리 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활동과 원칙에 대한 공학적 접근을 제시하여 전체 소프트웨어 개발비용과 위험부담을 경감시키며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업무 도메인과 개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와 활동을 커스터마이징 및 컴포넌트화하고 요구사항 관리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 PDF

Wiki기반 건설 사업관리 전자매뉴얼 : 도시환경정비사업 사례연구를 통해 (Wiki-based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s (IETM)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Through a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박문서;강성훈;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12
    • /
    • 2010
  • 최근 국내 외의 건설 프로젝트는 이해관계가 복잡해서 업무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IETM(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을 이용하여 사업 참여자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래 IETM은 신속한 정보 처리가 가능해서 타 분야에 도입되었으나, 건설 사업은 정보의 변화 가능성이 높아서 정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활성화 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사업관리 IETM이 정보 변화성을 수용하고 정보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키의 정보 관리기능에 주목하여 위키 기반 시스템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특성을 분석하고 건설 분야 적용을 위한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건설 사업의 이해관계로 인한 의도적 파괴를 방지하고 프로세스 중심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IETM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고 건설 사업관리 분야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도시환경정비사업 절차에 대한 IETM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파일럿테스트 결과, 위키 기반 전자매뉴얼은 유지관리측면에서 기존의 결과 중심적인 지식 형성 과정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설 사업 수행 중의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종분류체계를 활용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Urban Metro Maintenance Facility System Using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 현지훈;양병수;문성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9-77
    • /
    • 2012
  • 건설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생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사업관리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설계를 포함하여 시공단계에서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유지관리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분류와 도시철도시설물 공종분류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지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유지관리분류와 공종분류를 연계함으로써 시공정보와 유지관리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시 필요한 시공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과 유지관리정보시스템(MMIS,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할 수 있으며, 시공정보를 건설사업의 라이프싸이클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애비용을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업무적용 시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이관 기록물 분류 자동화를 위한 목록 기반 이상치 판별 학습데이터 구축 (Building the Outlier Candidate Discrimination Training Data based on Inventory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Transferred Records)

  • 정지혜;이젬마;왕호성;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59
    • /
    • 2022
  • 전자적으로 생산된 공공기록물은 생산과 동시에 편철되고 보존기간이 부여되며 일정기간이 지나면 영구기록물관리기관으로 이관되어 보존된다. 이관 시 기록물관리 담당자가 기록물 분류정보를 확인하고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토록 해야 하지만, 이관된 기록물의 분류는 기록물 정리/기술 업무로 편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정리/기술 업무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당해 연도에 처리해야 할 기록물 수량을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관 기록물 분류 업무의 효율화와 일관된 기준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기록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현행의 기록분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개선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분류 업무의 수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관된 기록물의 편철 정보, 즉 목록에 기반한 분류 이상치 후보를 판별하는 과정을 도출·체계화하였다. 나아가 제안한 이상치 판별 프로세스를 실제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 기록물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규격화하여 추후 기계학습에 활용 가능한 학습데이터 형식으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능형 전자기록 관리 환경 구축을 위한 사전 단계로, 기록관리 업무 내 기계학습 기법이 적용 가능한 문제 유형을 선별하고 자동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급경사지 유지관리 및 피해조사를 위한 Mobile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System for Investigating and Maintaining Steep Slopes)

  • 송영갑;김태훈;오정림;손영진
    • 지질공학
    • /
    • 제22권2호
    • /
    • pp.185-194
    • /
    • 2012
  • 급경사지 피해증가에도 불구하고 사면조사 전문인력 부족 및 조사부분의 기술이 정량화하지 못해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험 급경사지에 대한 과학적인 현장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기존 야장기입에 의한 조사방식에서 탈피하여 현장조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증대시킬 수 있는 급경사지 유지관리 및 피해조사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급경사지 현장조사 및 실내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선정 하였으며, 급경사지 조사 자료를 기입할 수 있는 '현장정보 입력시스템'과 확보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시스템'으로 구성된 '모바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급경사지 붕괴가 발생한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바일 시스템을 통해 현장조사 소요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고 급경사지 관리, 분석, 피해예방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SI 와 COI 의 연계 분석 및 SLA 를 통한 서비스 품질 고도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지연;이민정;배성욱;박상찬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대회
    • /
    • pp.90-95
    • /
    • 2006
  • 고객 만족도조사 (Customer Satisfaction Index)는 기업 외부 관점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기업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기여한다. 그러나 기업 외부 관점의 고객만족도만의 서비스 평가뿐 아니라 내부 직원의 업무 평가를 통한 서비스 품질 개선도 필요하다. 내부 직원의 업무 평가는 직원 개개인의 능력까지 평가할 수 있는 COI(Customer Orientation Index)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CSI 와 COI를 연계 분석하면 기업 외,내부 관점에서의 효과적이 서비스 품질 개선이 가능하다. 또, 고객만족을 위한 높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개선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도 필요한데 CSI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CSI 분석 결과 도출된 핵심관리 프로세스를 지표화 하여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 수준 계약서 (Service Level Agreement)에 반영하여 관리할 수 있다.

  • PDF

기록물 재평가 및 처분을 통한 보존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 사기록관을 중심으로 - (Managerial Strategies for Records Reappraisal and Deaccessioning at Archives)

  • 서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51
    • /
    • 2006
  • 재평가와 처분은 19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기록유산을 구성하는데 장애가 되는 개념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기록물 보존에 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소장물의 초점이 잘 잡힌 기록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평가 및 수집 결정을 재평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최근 들어 아키비스트들의 공감대를 얻기 시작했다. 즉 이제는 기록관의 목적과 환경에 맞추어 기록물의 보존관리의 범위를 한정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기록물의 보존가치를 평가하고 처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존되고 있는 기록물에 대한 재평가 및 처분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고찰하여 보존관리 업무에서의 그 역할을 분석하고 재평가와 처분이 보존관리 기능으로 수행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재평가의 원칙과세 가지 처분업무 즉 원소유자로의 반환, 다른 기록관으로 이관, 폐기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 (A fragment-Driven Workflow Modeling Methodology)

  • 문기동;김형목;김광훈;백수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41-152
    • /
    • 2005
  • 최근에 업무효율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정보관리기술 분야의 핵심이슈로 대두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통한 업무프로세스 자동화에 주력해 오고 있다. 특히, 기업내부 업무프로세스 즉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에 대한 자동화에 이어 기업간의 업무프로세스 상호연동을 필요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전자상거래, 전자무역 등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인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모델을 위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확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모델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간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으로서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한다.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은 실제 조직에서 엑티비티를 수행하게 될 각 참여자가 자신의 조직에 연관된 엑티비티들만을 정의하게 한 후에 그들의 통합을 통해 하나의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의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는 Bottom-Up방식이다. 이 방식은 각 조직의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각 조직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모델링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내용을 기술하며, 이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적 스림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