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ragment-Driven Workflow Modeling Methodology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

  • 문기동 (경기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
  • 김형목 (경기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
  • 김광훈 (경기대학교 정보과학부) ;
  • 백수기 (경기대학교 정보과학부)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Many organizations have bee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workflow automation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rapid expansion of business process oriented applications, such as enterprise resource piann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electronic approval management, and so on, Thus, they have started adopting workflow management systems as an essential technological solution for their workflow processes, However, we need some technological extensions and improvements on them in order to accommodate a new type of workflow processes, which is called cross-organizational global workflow processes that require a certain level of collaborations between the organizations engaged in the global workflow processes, Fragment-driven workflow modeling methodology is a Bottom-Up methodology composing a global workflow by defining each organization's own activities, which is called a fragment through a realtime cooperative system. The approach is able to not only simplify the modeling work but also keep each organization's independence in modeling a global workflow,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ragment-driven workflow modeling methodology and realize the methodolog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cooperative swimlane workflow modeling system.

최근에 업무효율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정보관리기술 분야의 핵심이슈로 대두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도입을 통한 업무프로세스 자동화에 주력해 오고 있다. 특히, 기업내부 업무프로세스 즉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에 대한 자동화에 이어 기업간의 업무프로세스 상호연동을 필요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전자상거래, 전자무역 등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인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모델을 위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확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모델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간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으로서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한다.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은 실제 조직에서 엑티비티를 수행하게 될 각 참여자가 자신의 조직에 연관된 엑티비티들만을 정의하게 한 후에 그들의 통합을 통해 하나의 기업간 글로벌 워크플로우 프로세스의 모델링을 가능하게 하는 Bottom-Up방식이다. 이 방식은 각 조직의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각 조직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모델링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Fragment-driven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내용을 기술하며, 이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는 협업적 스림레인 워크플로우 모델링 시스템을 구현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