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아

Search Result 3,83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취학 전 아동과 어머니의 식습관 상호관련성 분석

  • 윤진숙;정영혜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5-1056
    • /
    • 2003
  • 식습관이나 식품 기호도는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어릴 때 형성이 되는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는 부모의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유아기는 사회적, 인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모방을 통하여 학습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경험은 평생의 건강을 위해서도 부모의 역할은 중요하다. 근래 과잉 영양과 관련된 비만이 우려되고 있지만 아직도 유아에서는 부적절한 식사패턴으로 인한 영양소 결핍이 문제가 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유아나 어린이의 식습관이 부모, 특히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상호 관련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무엇’과 ‘얼마나 많이’ 등이 중점이 되었던 양적 연구에서 이제는 ‘어떻게’ ‘왜’라는 것에 관심을 두는 사례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어머니와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4∼7세 유아와 그 어머니(각 15명)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유아와 1:1면담을 실시하였다. 어머니들의 식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어머니 자신의 기호도와 편리,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하는 식품의 경우 두 군 모두 육류의 선호도가 높았다. 싫어하는 식품은 어머니의 경우에는 ‘없다’가 73%이었으나 유아의 경우에는 ‘야채류’가 73%이었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 일치정도는 좋아하는 식품이 67%, 싫어하는 식품이 33%로 나타났다. 유아는 야채류를 싫어한다고 대답하면서도 건강에 좋은 식품을 ‘야채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아의 특정 식품의 선호도나 거부의 주된 이유는 ‘맛’이었으며, 유아의 편식습관은 어머니가 간편성 위주, 가족의 기호도 만을 고려하여 식단을 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조사대상 유아의 33%가 비타민제, 47%가 칼슘제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27%가 근래에 보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어머니들은 영양제나 보약이 유아의 건강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있었고 어머니의 임신 중 식품섭취나 이유기의 식품경험정도가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어머니가 식품구매시 질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건강과 관련된 무농약 식품, 인스턴트 식품 제한, 외식의 절제가 대부분 어머니의 관심사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는 유아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영양교육에서 어머니의 참여와 식품에 대한 인식 개선은 유아의 영양수준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on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 Kyung Seu;Kim, Eun 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3
    • /
    • pp.77-10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MSD)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how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CSD) mediates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of 300 mothers having children from two to six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MSD was directly related to both CSD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in particular, had greater effects than CSD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SD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SD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nd their children should be provided with education on the proper usage of smartphone to prevent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nd that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is needed.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만 4세 유아의 기질이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 유아관계의 조절효과)

  • Shin, Yoo Lim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9 no.2
    • /
    • pp.57-69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6 four year olds who were recruited from day care centers and preschool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was measured with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eer interactions were measured with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Temperament was measured with Child Behavior Questionnaire (CBQ). The data was analys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Results: Teacher-child intimacy moder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inhibitory control and play disruption as well as between emotionality and play disconnection. Moreover, Teacher-child conflict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ity and play disconne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child relationships buffer risks conferred by tempera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ids Study System in Web-Based (웹 기반 유아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박미연;범수균;오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503-506
    • /
    • 2002
  • 현재 인터넷상에서는 유아들을 위하여 온라인 상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 학습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 있는 사이트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거의 모든 유아학습 사이트들이 유료화 되어있고 중심이 유아에게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료화를 없애고 부모들이 유아들을 양육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며, 부모가 함께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플래시를 이용한 무비파일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학습함으로써 유아들의 흥미와 학습하려는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대학수학 수업의 활용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29-160
    • /
    • 2002
  • 대학수학 수업에서 틈틈이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대학수학(미분적분학의 이해, 생활과 수학) 수업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경우 설명을 하여주고, 놀이를 통한 유아 교육과 유아 수학교육 과제(216가지, 105가지)를 각각 한 가지씩 내어준 다음 과제들에 대해 직접 실습을 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유아 수학교육과 대학수학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는가를 유아 수학교육 기초 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여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 PDF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 Kim, Min-Jung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165-20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duc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oring the change of pre-Christian preschool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ical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Interviews, surveys, action plans, and reflections of 19 Christian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children based on the languag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28, 2018.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ortfolio.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key categori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For the objectification of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wo thematic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preparatory Christian teacher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as categorized into cognitive change, personality change and practical change. Fir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rought cognitive changes as 'processes not outcomes', 'integration not separation', 'living non-curriculum' and 'meaning not effect'.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 cognitive change in the 'process of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al achievements and resul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of listening-speaking-reading-writing', not the separation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formal language education in kindergarten life', as well as teacher-centered formal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y have made a cognitive change that 'child-centered meaningful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econd,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ersonality changes as 'confident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nd 'teachers with reflective thoughts and attitudes'. Finally,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power of positive language and practiced it to form habits of using the right language and to link Christian educ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equipped with the heart attitude and enthusiasm required to become tru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young children in unpredictable educational conditions and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realities. Teacher efficacy has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eacher education programs linking Christia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A Study on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for Happniess -The mediation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유아기질이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성 및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

  • Ae-Suk Kim;Jae-Hyi Ye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2
    • /
    • pp.85-93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infant happines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happines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infant happiness according to infant tempera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promo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 happiness. Second, the adaptability, activity, and approach-avoidance of children's tempera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yability. Third, the physiological regularity of infant tempera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Fourth,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Fifth, playfulness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fant temperament adaptability, activity, approach avoidance, and happiness. Sixth, self-regula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physiological regularity of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improve children's happiness by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mediating variables, playability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happiness.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by understanding what direction there is.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Field Experience Program Based on the Language Experience Approach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Park, Tae-Suk;Park, Joo-S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116-119
    • /
    • 2011
  • 본 연구는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유아의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한 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유아 수용어휘능력 및 표현어휘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상상력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경험접근법을 활용한 유아 현장체험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 전략인 것으로 해석된다.

  • PDF

Design for multimedia curriculum by using picture books for student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그림책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수업 설계)

  • Y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219-22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그림책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수업에 관한 설계를 하고자 한다. 최근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대학에서 융복합관련 수업 및 교과목에 관한 요구는 많이 있으나 실제로 운영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는 멀티미디어 및 최신 IT 기술이 많이 접목되어 유아들의 활동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내용적으로도 융복합이 된 수업 설계가 매우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에서 그림책이라는 매개체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기술을 사용함과 동시에 주제별학습이 되도록 한다. 이는 유아교육과 IT기술의 융복합된 수업설계로써 유아교육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유 및 확산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Digital Educa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ubject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Ya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73-3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디지털교육(인공지능포함) 방안을 제시하며, 이에 맞는 교과목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연구입니다.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교육부에서 유아교사 자격취득을 위한 세부기준을 발표했는데, 교직과목 중 교직소양영역에 디지털교육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디지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과 과정에 디지털 이해, 디지털 교과 융합교육, 디지털 활용 교육, 디지털윤리 등을 균형있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유아교육분야는 유아교사로서 디지털 이해, 활용 및 소양 뿐 만 아니라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교과 융합, 인공지능 교육 등을 학습시키는 방안 역시 중요하므로 본 교과목을 통해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유아교육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본 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