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for Happniess -The mediation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유아기질이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성 및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

  • 김애숙 (나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 여재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4.04.01
  • Accepted : 2024.04.2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effects of infant temperament, infant happines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happines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infant happiness according to infant tempera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promo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 happiness. Second, the adaptability, activity, and approach-avoidance of children's temperamen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yability. Third, the physiological regularity of infant tempera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ion. Fourth,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Fifth, playfulness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fant temperament adaptability, activity, approach avoidance, and happiness. Sixth, self-regulat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physiological regularity of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improve children's happiness by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indirect influence of the mediating variables, playability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happiness.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by understanding what direction there is.

본 연구는 유아기질과 유아행복감, 놀이성, 자기조절력의 직접적인 효과와 유아기질과 유아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유아기질에 따른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피고 유아행복감 증진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질의 활동성은 유아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접근-회피성은 놀이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질의 생리적 규칙성은 자기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은 유아행복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놀이성은 유아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접근회피성과 행복감 간의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조절력은 유아기질의 생리적규칙성과 유아행복감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기질의 하위요인들에 따라 유아행복감, 놀이성,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매개 변인인 놀이성과 자기조절력이 유아행복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행복감을 향상할 수 있는 방향성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여 유아 보육 및 교육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남희, 배윤진, 김지예(2014).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Biswas-Diener, R.(2009). Material w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307-322.
  3.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cal Psychology, 23, 603-619.
  4. 보건복지부(2017).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5.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연구. 열린유아교육 학회지, 13(6), 311-333.
  6. 박경숙(2005). 놀이중심의 인간관계개선 집단상담이 초등학생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안미현(2017).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13-228.
  8. Eisenberg, N., Fabes, R. A.(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9. 온은아, 이선경(2017). 유아의 행복감 및 자기조절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능력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2), 133-153. https://doi.org/10.16978/ECEC.2017.12.2.006
  10. 김효정(2017). 유아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199-214.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12. Shaffer, D. R.(2005). 발달심리학. 송길연.장유경.이지연.정윤경(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13. Rothbart, M. K., & Bates, J.E.(1998). Temperament. In N. Eisenverg & W. Damon(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906-912). NY: Wiley.
  14. 허미경(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유정(2014). 유아의 동기 유형: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상호작용과의 관련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천희영(1992).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Thomas, A. & Chess, S.(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 Brunne Mazel.
  18. Campbell, A., Converse, P.E., & Rogers, W.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Y: Sage.
  19. 국립국어원(2015).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20. Diener, E., & Seligman, M. E.(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1), 81-84. https://doi.org/10.1111/1467-9280.00415
  21. 김숙미(2021). 유아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그릿,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은주(2010).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배미경(2012).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또래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2), 197-220.
  24. 문성영(2019). 부모의 놀이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Saracho, O. N.(1988). Preschool reading attitude scal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7(1), 93-108. https://doi.org/10.1080/0300443880370107
  26. 변은진(2020). 유아놀이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양옥승,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69-90.
  28. 김희태, 이임순(2009).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29. 하금난(2011).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Thomas, A. & Chess, S.(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 Brunne Mazel.
  31. Carey, W. B., & McDevitt, S. C.(1978). Revis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Pediatrics, 61, 735-739. https://doi.org/10.1542/peds.61.5.735
  32. Barnett, L. A.(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 319-336.
  33. 김영희(1995).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Kendall, D. C., & Wilcox, I. E.(1979). Self 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u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35. Hu & Peter M. Bentler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6. 이진숙, 김은주(2013).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2(5), 240-241.
  37. 우수경(2007).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4), 427-451.
  38. 김은영(2015).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곽은영(2012).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 및 스트레스 대처 행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0. 성다겸(2015). 초등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정경민(2017).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