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의 행동문제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2초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yle, Mother-Child Interaction, Young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nd Problem Behaviors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 최혜란;유지아;김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5-30
    • /
    • 2017
  •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161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경우 모-자녀상호작용이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자녀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아동 가족 상담현장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An Analysi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urrent Practic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 이연정;조윤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9
    • /
    • 2014
  • 본 연구는 학급 내에서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일반유아의 행동특성들과 이로 인한 유아의 어려움, 교수과정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알아봄으로써, 보육현장에 있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국 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3~5세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사들이 인식한 유아의 문제행동은 행동적인 문제를 보이는 외현적인 문제행동 유형과 정서적인 문제를 보이는 내현적인 문제행동 유형, 이외의 기타유형이었고, 유아는 자신의 여러 가지 문제행동들로 인해 교사 또래 부모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교사는 학급 내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하지 못하거나, 개별적인 지원을 하기도 하며, 어린이집 내 외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안내하고, 가정과 연계하여 육아지원을 하고 있었다.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교수방법은 행동주의적 접근 심리적 접근이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따른 교수의 어려움으로 교수과정에서 생기는 문제 교사의 감정조절에 어려움 시간부족 담임교사가 없는 통합보육시간 활동 진행의 방해 전문성부족 부모상담을 통한 가정과의 협력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자녀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당황 수긍 단순지연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를 위해 가정 어린이집 외부와 지역사회 교사연수를 통해서 현재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 적절하지 않았다. 따라서 교사는 전문가 보조인력 지원, 부모와 교사에 대한 교육, 교사에 대한 존중, 심리치료 놀이치료 진단평가 등 외부 기관과의 연계, 경제적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행동 관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 연구 추이 및 유형에 대한 종단적 탐색 연구 -1970~2015년까지의 연대별 문제행동 범주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Exploratory Study on Change Research Trends and Patter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Their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s -Focured on the Category and Content Analysis of Chronological Problem Behaviors from 1970 to 2015-)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22-674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유아의 문제행동변화를 종단적 탐색연구를 통해 그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는데 결과를 보면 1970~1990년도 전체 41개 요인에서 1990~2000년대 62개요인 2000~2010년에 93개 요인으로 나타내 초기 연구에 비해 관련 영향요인이 2000년대 이후 두 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내 그만큼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요인의 비중에 있어서도 부모의 도덕적 사고관이 가장 높고 그리고 유아에 대한 부정적 사고나 정서가 더 높아 유아자신의 기질이나 태도보다 부모의 유아에 대한 양육 태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영향요인과 원인 규명에 있어 초기연구들은 유아 개인에 정신 건강적 측면에서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는 경향이 높았으나 2000년대 이후 들어 유아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가정환경, 어린이집 이용환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회적 환경과 또래, 교사관계 등의 비중이 높아져 이에 따른 대체 자원 또한 시대적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제 경제수준과 지각된 경제수준 간 차이에 따른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 비교 (The Objective and Perceived Level of Economy and Its Relationship with Mother's Mental Health, Parenting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ers)

  • 노연희 ;강지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3호
    • /
    • pp.343-364
    • /
    • 2011
  • 본 연구는 경제적 수준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이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만 3세에서 5세 유아 238명의 어머니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제 경제수준은 해당연도 보육비 지원정책에 따른 보육비 지원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고, 어머니가 지각하는 경제수준, 정신건강(우울/불안) 및 양육행동에 관한 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녀의 문제행동 자료는 어머니와 교사로부터 수집되었다. 실제 경제수준과 지각된 경제수준의 상/하에 따라 네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행동 및 유아의 문제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개의 집단은 실제와 지각된 경제수준이 모두 높을 경우 '일치고(高)', 둘 다 낮을 경우 '일치저(低)', 실제 경제수준은 높지만 지각된 경제수준은 낮은 경우 '지각저(低)', 마지막으로 실제 경제수준은 낮지만 지각된 경제수준은 높은 경우 '지각고(高)' 집단으로 나뉘었다. 주요 결과로는,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에 있어서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이 일치저(低)와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적 양육에 있어서는 일치고(高) 집단이 일치저(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적대적 양육에 있어서는 일치저(低)와 지각저(低) 집단이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보다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유아의 문제행동 증 어머니가 평가한 내재화 문제의 경우 일치고(高)와 지각고(高) 집단이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외현화 문제에서는 일치고(高) 집단이 지각저(低) 집단보다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와 대조적으로 교사가 평가한 문제행동의 경우 내재화와 외현화 모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외현화 문제에서 일치저(低) 집단이 지각고(高) 집단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머니의 분노와 우울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Anger and Depression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 송효숙;박소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09-6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를 두고 있는 어머니의 분노와 우울이 유아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이며, 대전, 부산, 울산에 소재한 3곳의 유아교육기관에 영유아 자녀를 위탁한 어머니 24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아문제행동은 어머니의 분노(r=.261, p<.001), 우울(r=.43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유아문제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우울(𝛽=16.57, p<.001)로 총 설명력은 19.2%이었다. 따라서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와 함께 우울영향 요인 감소를 지원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유아 문제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Scale Development of Problem Behaviors for Young Children)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47-159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들의 문제행동 척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 유아 교육전공 교수 세 그룹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970년대 부터 현재까지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측정척도는 문항 209개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문제행동 척도 관련한 5개 영역 총 209개의 항목 가운데 96개가 주요항목으로 채택되었다. 이들 하위 요인별 채택된 내용을 보면 또래 관계의 40항목 중 17개가 채택되고 발달영역 또한 41개 항목 중 13개 항목이 기본생활습관 50항목 중 20개 항목, 도덕성이 38개 항목 중 22개 항목, 정서적 항목의 40개 항목 중 24개 항목이 채택되었다. 이 중 가장 많은 항목이 채택된 문항은 정서적 요인이었으며 가장 많이 기각된 것은 발달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발달기 유아의 내면적으로 잠재되어 있는 부분은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한 불안, 위축, 돌발 행동, 부모나 교사에 의존, 둔하된 저행동 등이 유아의 문제행동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아의 자기통제력과 행동문제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 유아관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nd Behavior Problems)

  • 김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1-4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nd behavior problems. 150 young children aged 3, 4, and 5 and their 40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1) Young children's self-control is significantly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2)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conflict, dependence, intimacy) is significant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3) The effects of self-control on young children's anxiety and withdrawal behavior a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nflict driven teacher-child relationships. (4) The effects of self-control on young children's aggression and impulsive behavior a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dependent teacher-child relationships.

부모의 양육가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values and beliefs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 이은주;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1-54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parents' values and beliefs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deeply relate to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are 267 preschoolers attending kindergarten in Daegue area, Statistical techniques are Two 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values, Preschoolers whose parents have a higher level of values have a lower level of problem behaviors. (2)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s' beliefs, Preschoolers whose parents have a higher level of beliefs have a higher level of problem behaviors. (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parents' parenting values and beliefs are crucially predictive of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Especially, parents' parenting beliefs is more relevant to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than parents' parenting values is.

  • PDF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이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oping Strategies)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67-4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문제행동유형이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대전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 재직 중인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이 교사의 대처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문제 행동 유형에 따른 교사의 대처전략 또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전문성과 적합성을 갖고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은 교사일수록 유아들의 문제 상황 발생 시 뛰어난 대처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체로 유능한 교사의 행동이 유능하지 않은 교사에 비해 벌을 세우거나 체벌을 가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소 큰 목소리로 꾸짖거나 안된다고 일러주는 대처방법은 대체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확하게 짚어주거나 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상황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그러한 대처전략만이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경고를 주고 정확하게 안 된다고 일러주는 것 또한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유아 교사에게 있어 경력과 전문적 지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다양한 전략이 응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 권화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85-2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보호자 29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개인 내적요인(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과 보호자 요인(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보호자 양육 스트레스)으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자신의 자기평가, 우울, 정서성 및 행동억제 요인이, 보호자 요인에서는 보호자의 자녀양육효능감 및 보호자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의 설명력은 50.5%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자녀의 자기평가와 정서성 및 행동억제력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높으며, 유아의 우울과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 방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