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3.005

An Analysi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Current Practic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Lee, Yeon Jeong (시립 덕양어린이집)
Cho, Youn Kyung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3, 2014 , pp. 5-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ho were not diagnosed with any disability, but instead, engaged in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review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their teachers' difficulties and needs, to suggest support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eight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to text and analyzed by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described by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types. In addition,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ha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peers and parents. Many teachers were not successful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preschoolers who demonstrated problem behaviors in classrooms or some teachers provided individualized support. Teachers adapted the behavioral and th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However, teachers reported difficulties with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 and brought up the following issues on teach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managing troubled matters happening in the class, difficulty in controlling teacher's emotions on problem behaviors, the lack of time, the integrated child care time without teacher in charge of child, the interruption in activity progress, the lack of a special way to deal with problem behaviors, and difficulty in cooperation with families through parents-teacher counseling sessions. Teachers counseled with parents who had a child with problem behaviors and revealed that parents reacted to problem behaviors in various ways such as embarrassment, acceptance, ignorance, or avoidance. Most teachers received assistance and support for teaching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s, from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in-service training. Lastly, teachers with preschoolers with problem behaviors needed the support of experts on managing behavior problems, assistant teaching personnel,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respects for teachers, psychological counseling or play therapy from professional service agencies, diagnosis service at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hich children attended, and support networking with agencies. Teachers also required the family support of medical diagnosis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Keywords
external and internal types of problem behavior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inadequate teaching method; support needs of teacher; qualitative interview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Carr, E. G., Dunlap, G., Horner, R. H., Koegel, R. L., Turnbull, A. P., Sailor, W., Anderson, J. L., Albin, R. W., Koegel, L. K., & Fox, L. (2002). Positive behavior support: Evolution of applied science.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4(1), 4-16.   DOI   ScienceOn
2 Dreikurs, R., & Soltz, V. (1964). Children: The challenge. New York: Hawthorn Books, Inc.
3 Emond, A., Ormel, J., Veenstra, R., & Oldehinkel, A. J. (2007). Preschool Behavioral and Social-Cognitive Problems as Predictors of (Pre)adolescent Disruptive Behavior. Child Psychiatry Hum Bev, 38, 221-236.   DOI   ScienceOn
4 Goffin, S. G., & Day, D. E (1999). New Perspectiv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유아교사교육의 새로운 접근(조부경, 이정미 공역). 서울: 양서원(원판 1993).
5 Ladd, G. W., & Price, J. M., & Hart, C. H (1989). Predicting preschoolers' peer status from their playground behaviors.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0, 0197-1492.
6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7 Neisworth, J. T., Bagnato, S. J., Salvia, J., & Hunt, F. M. (1999). TABS Manual for temperament and Atypical behavior scale. Baltimore. ML: Paul H Brookes.
8 Shore (1997). Rethinking the brain: New insights into early development.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9 Smith, S. C.(2004). The effects of targe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10 Sourander, A., & Helstela L. (2005). Childhood predictor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4, 415-423.   DOI
11 이미자(2000).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상훈(201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와 선별, 진단에 관한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91-317.
13 이진경, 조윤경(2011). 보육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유아 선별에 따른 지원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26.
14 이현정(2004).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의 전문성과 인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임명희(1998). 유아의 문제행동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1), 151-234.
16 임혜민(2002).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유아들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장명림, 최은영, 김미나, 백승선(2012). 취약계층 영유아 통합적 육아지원 방안 연구(IV): 유아기인성 교육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8 조윤경(2013). 취학 전 사회.정서 발달 이상(異常) 아동에 대한 선별과 비전형 유형 분석. 특수교육, 12(2), 35-60.
19 조정애, 장영숙(2000).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연령, 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97-119.
20 진현주(2012). 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요구: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차어진, 권연희(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수산해양교육연구, 25(1), 53-64.
22 최혜순(2011). 유아 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3 표갑수, 유옥현(2008). 반항성 장애 유아의 모-자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3, 219-243.
24 허계형, 노진아(2010). 영유아의 사회 정서 능력 계발을 위한 활동중심 중재(J. Squire & D. Bricker). 서울: 시그마출판사.
25 황혜정(2005). 유아의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부모용, 교사용 검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5(2), 235-257.
26 고인숙(2008). 교사용 유아 문제행동 평가도구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Achenbach, T. M., & Edelbrock, C.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Child Psychiatry.
28 Brown, W. H., & Conroy, M. A. (2011).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Our reflection and vision for the future.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5(4), 310-320.
29 경기도 어린이 정신건강증진사업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11. 2. 10). 장애인신문, pp. A1.
30 김경숙(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김미정, 이숙희(2011). 사회, 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응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5), 359-382
32 김선영, 김희진(2001).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 한국교원교육학회, 18(1), 85-103
33 김연, 한태숙, 정인희, 박연경, 황혜정, 구현아(2006).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태도, 기질, 인지능력,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29-250
34 김정미, 김효창, 조윤경(2013). 한국판 영유아 기질 및 비전형 행동 척도. 서울: 학지사.
35 김지영(2002).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문제 행동과 문제 유형별 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김진영(1998).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육 기관장의 인식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김호수(2000). 문제행동별 훈육효과성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지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문송이(2008).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박지연, 조윤경, 김미선(2004). 일반 학급 내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특성과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0(2), 251-284.
40 박지연, 전혜인, 김정미 (2005). 정서 및 행동장애아 지원체계 타당화. 정서.행동장애연구, 21(1), 47-68.
41 박현주, 노진아(2009). 통합교육환경에서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긍정적인 행동지원의 현황. 특수아동교육연구, 11(3), 279-295.
42 배지희, 조미영, 봉진영(2009).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 분석. 유아교육연구, 29(6), 165-189.
43 송나리(2012). 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과 어려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신희경(2012). 부모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문제행동 인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Meral, A., & Roger, M. (2001). Misbehavior in British and Turkish primary classrooms. Pastoral Care in Education, 19(2), 32-39.   DOI   ScienceOn
46 국립특수교육원(1997). 통합교육의 효율화 방안. 안산: 동 교육원.
47 Khaleque, A., & Rohner, R. P. (2002).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meta -analysis of cross cultural and intra cultural stud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54-64.   DOI
48 이봉학(1999).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Bower-Russa, M. E., Kuntson, J. F., & Winebarger, A. (2001). Disciplinary history, adult disciplinary attitudes, and risk for abusive parenting.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3), 219-240.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