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의 기질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만족지연능력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 선우현정;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79-19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A sample of 131 preschool children aged from 4 to 5 participated in a delay-of-gratification experiment, as reconstructed by Rodriguez and his colleagues (2005). Mot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eir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temperamen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Children's activity as well as mothers' warmth and control predicted the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children's activity and maternal warmth on the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It would be plausible to intervene in children's activity level and improve the 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 PDF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 행동 관련 유아의 문제행동 변화 연구 추이 및 유형에 대한 종단적 탐색 연구 -1970~2015년까지의 연대별 문제행동 범주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Exploratory Study on Change Research Trends and Patter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Their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s -Focured on the Category and Content Analysis of Chronological Problem Behaviors from 1970 to 2015-)

  • 김정겸;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722-674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유아의 문제행동변화를 종단적 탐색연구를 통해 그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는데 결과를 보면 1970~1990년도 전체 41개 요인에서 1990~2000년대 62개요인 2000~2010년에 93개 요인으로 나타내 초기 연구에 비해 관련 영향요인이 2000년대 이후 두 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내 그만큼 세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요인의 비중에 있어서도 부모의 도덕적 사고관이 가장 높고 그리고 유아에 대한 부정적 사고나 정서가 더 높아 유아자신의 기질이나 태도보다 부모의 유아에 대한 양육 태도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 영향요인과 원인 규명에 있어 초기연구들은 유아 개인에 정신 건강적 측면에서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는 경향이 높았으나 2000년대 이후 들어 유아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가정환경, 어린이집 이용환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회적 환경과 또래, 교사관계 등의 비중이 높아져 이에 따른 대체 자원 또한 시대적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유아 관계,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서은희;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2호
    • /
    • pp.27-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36 mothers and 15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facilit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key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exerted negative influence over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proven to have some moderating effect, thu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Anywa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rejec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Thirdly, it was found that both intimacy and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d no moderating effects when it cam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 기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 Expression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Children's Temperament)

  • 김정민;김지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137-146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emotion expression,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5-year-old children from fiv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negative affect. Second,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hile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Last, the effect of mo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fully mediated b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lso, the effect of mothers' negative emotion expression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n's negative a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emotion expression and children's temperament may predic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Father's parenting stress)

  • 김경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66-4575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1609명의 아버지들이다. 본 연구를 위해 아버지의 수입, 우울, 부부관계, 자기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기질을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개인적 특성, 관계적 특성, 유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자기효능감, 소득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우울, 부부갈등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기질 중 사회성, 활동성과는 부적 상관이 정서성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검증결과, 아버지의 우울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유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hild's Temperament, Child-mother Goodness of Fit and a Child's Self-perception)

  • 장유진;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9-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child's temperament and child-mother goodness of fit affect the child's self-perception. 165 pair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The moth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and goodness of fit. Each child participated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two identical puppets to measure the children's self-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 (1) All of mean scores on the dimensions of children's self-perception were above the median, children in this study perceived themselves positively. (2) Children's positive self-percep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armonious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3) The effect of goodness of fit was higher than temperament in all dimensions of self-perception. The sex variable also affects aggression-hostility and academic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goodness of fit was higher than that of temperament, and the importance of a harmonious children-mother relationship and parenting education, and these conclusions were reached by examining the outstanding effect of the goodness of fit.

한국판 Rothbart 유아용 기질 척도(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의 타당화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the Rothbart's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 임지영;배윤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7-49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y of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 including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ith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scale. The CBQ is a caregiver report measure designed to provide a detailed assessment of temperament in children 3 to 7 years of age. In this study, two groups of participants were included to check cross validity. The first group of participants were 108 preschoolers, 3 to 7 years of ag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mothers. The second group of participants were 168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The CBQ subscales demonstrate adequate internal consistencies. Also,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the CBQ scale reliably recover a three-factor solution indicating three broad dimension of temperament: extraversion/surgency, negative affectivity, and effortful control. Evidence for concurrent validity derives from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EAS scale.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 유연지;김진욱
    • 육아정책연구
    • /
    • 제12권3호
    • /
    • pp.55-76
    • /
    • 2018
  •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규모로 실시된 5차 한국아동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개인적 특성요인(기질), 가족특성변인(모 취업여부), 생활시간변인(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기관에서의 낮잠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변인, 가족특성변인, 생활시간변인이 야간수면시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설명력은 생활시간변인, 가족특성변인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가정에서 충분한 야간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부모는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하며 자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정과 기관의 연계 강화, 부모의 근무시간 유연제 등의 제도 확산과 시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Temperament, Mothering Daily Hassles and Social Adjustment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 김민희;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27-36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temperament, mothering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254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mothers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 temperament and mothering daily hassles. The social adjustment in daycare was assessed through the rating provided by the children's teacher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bility, activity and soothability were related to social adjustment that attention-span, soothability, emotionality and activity were related to the mothering daily hassles that mothering daily hassles by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social competence and positively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at sociability and activity were useful to predict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변인 연구 (Variab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Social Behavior)

  • 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1-2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0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행동, 기질과 정서지능,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설문도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행동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유아의 정서적 지능이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머니 변인 외 아버지 변인과 관련하여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