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 Received : 2018.11.05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nocturnal sleep duration in 4-year-olds and relativ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personal factor (temperament), the familial factor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time-use factors (hours spent in childhood educare institutions, on napping in the institutions, and on using electronic media). The data of 937 4-year-olds collected by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2 was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personal factor, familial factor and time-use factors. Finally, the time-use factors showed largest explanatory power on variance of children's nocturnal sleep duration, followed by the familial factor. But the personal fact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arents and childhood educare institutions need to cooperate in order for children to sleep well.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nd spread the social systems to support healthy development of children.

본 연구는 2012년 전국 규모로 실시된 5차 한국아동패널의 자료를 활용하여 만 4세 유아의 개인적 특성요인(기질), 가족특성변인(모 취업여부), 생활시간변인(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기관에서의 낮잠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유아의 야간수면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개인적 특성변인, 가족특성변인, 생활시간변인이 야간수면시간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설명력은 생활시간변인, 가족특성변인 순으로 높았으며 개인적 특성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유아가 가정에서 충분한 야간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부모는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어야하며 자녀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정과 기관의 연계 강화, 부모의 근무시간 유연제 등의 제도 확산과 시행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7).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지원학회지, 21(3), 141-159.
  2. 권혜진(2014). 낮잠시간 영유아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3(2), 5-30.
  3.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김계중‧이경옥(2009). 유치원과 유아영어교육기관 유아의 방과 후 일상생활 비교연구. 빙과후아동지도연구, 6(2), 1-19.
  5. 김상림.박창현(2015).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37-58.
  6. 김선미.김영희(2015). 어머니의 부부관계, 우울, 신체화 증상과 수면의 질이 유아의 수면문제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219-243.
  7. 김성재.이정숙(2008). 유아기 건강생활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 실태 연구.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03-104.
  8. 김수정(2015). 유아의 수면 습관이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9(3), 319-341.
  9. 김숙희.조민규.김춘경(2016).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유아의 수면 간의 관계에서 모아 간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5(1), 69-82.
  10. 김윤희(2015). 만 4세 유아의 야간수면길이와 문제행동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1), 351-375.
  11. 김윤희.신은수.이선명(2016). 만 4세 유아의 미디어 이용과 ADHD관련문제에 관한 연구. 육아정책연구, 10(1), 195-219.
  12. 김윤희(2018). 어린이집 재원 영유아의 수면패턴과 문제행동의 관계. 한국영육아보육학, 108, 45-73.
  13. 김지윤.박은혜.이종은.강현아(2018).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우울을 매개로. 학교사회복지, 41, 127-149.
  14. 김진욱(2014). 영유아의 수면양상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2), 41-52.
  15. 김진욱(2015). 어린이집과 유치원 만 4세 유아의 낮잠과 야간 수면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22(1), 1-20.
  16. 김진욱.박유정(2018). 한국 유아의 수면양상 발달 및 성자.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9(3), 379-389.
  17. 김춘경.조민규.김숙희.성정혜(2018). 유아의 기질에 따른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우울, 유아의 수면문제간의 구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110, 85-105.
  18. 김혜경.류왕효(2006). 시간연장 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07-225.
  19. 김혜진(2013). 시간연장반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 김희형(2008).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들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1. 남기원.변유미(2018).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자녀의 식습관 및 수면시간 간의 단기 종단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2(1), 389-413.
  22. 도남희.김정숙.하민경(2013). 영유아의 생활시간조사. 육아정책연구소.
  23. 박금란(2007). 방과 후 과외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육아보육학, 50, 96-112.
  24. 박유정.김진욱(2016). 육아지원기관 등원시간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일상생활 차이. 육아정책연구, 10(2), 83-103.
  2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7). '보육.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제3차 중장기보육기본계획(2018-2022) 발표. http://www.mohw.go.kr/react/al/sal1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3320&page=1에서 2018년 12월 4일 인출.
  26. 서주현(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7. 서현주(2014). 설문조사로 알아본 한국 영유아의 수면실태. 석사학위논문. 을지대학교 대학원.
  28. 송영주(2017).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간 관계에서 유아의 기질요인과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2), 57-79.
  29. 신나나.박보경.김민주.윤기봉.윤선영(2017). 유아기 수면문제, 실행기능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8(3), 33-48.
  30. 안경숙(2013). 뇌 기반 연구가 유아 행복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17.
  31. 양은혜(2012). 만 4세 유아의 시간연장 보육 경험의 의미.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32. 오연주.이정수(2014). 유아의 수면 시간이 유치원에서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5(1), 41-49.
  33. 윤태정(2015). 만 3, 4, 5세의 스마트폰 과몰입 평가 척도 개발. 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34. 이경미.이기숙(2006).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 일과. 교육과학연구, 40(3), 171-193.
  35. 이경옥(2004). 유아의 기질 척도(CBQ)의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01-120.
  36. 이정림.도남희.오유정(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37. 이정숙.안윤영(2001). 아동의 수면장애와 놀이치료. 한국생활과학연구, 19, 21-35.
  38. 이종은.김지윤.박은혜.강현아(2017). 모-자녀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면시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미디어 이용 정도를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6), 163-179.
  39. 장미경.김영희.문정숙(2008). 유아의 기질과 스트레스가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2(1), 41-60.
  40. 정수정(2017). 아동생활시간 잠재계층의 영향요인과 발달결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1. 정수현(2016). 유아의 성에 따른 수면양상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42. 정혜욱(2014).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 만족도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339-360.
  43. 조결자(1998). 가족 중심의 아동 간호학. 서울: 현문사
  44. 진미정.이윤주(2010). 어머니의 취업에 따른 영유아기의 아동의 생활시간 양태. 대한가정학회지, 48(6), 43-56.
  45. 천희영(1992). 한국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46. 천희영(2006). 아동의 기질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아동학회지, 27(4), 17-38.
  47. 천희영(2015). 만 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48. 최은아.송하나(2015). 유아의 만 3세 기질이 만 4세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만 4세 수면문제와 주의집중 문제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9(3), 463-490.
  49. 최현희.김경숙(2016). 어린이집 이용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양상의 차이. 유아특수교육연구, 16(2), 43-62.
  50. 최호중(2009). 연령 및 어머니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의 일상생활습관 차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51. 최호중.김설한.김성재(2009).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른 유아의 신체건강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의 차이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35-55.
  52. 통계청(2015). 생활시간조사 통계정보보고서. 통계청.
  53. 김은설.도남희.왕영희.송요현.이예진.정영혜.김영원(2012). 한국아동패널 2012. 육아정책연구소.
  54. 황혜정(2016). 유아의 수면습관과 식습관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299-317.
  55. Atkinson, E., Vetere, A. & Grayson, K.(1995). Sleep disruption in young children.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on the sleep patterns of pre-school children.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1(4), 233-246. https://doi.org/10.1111/j.1365-2214.1995.tb00754.x
  56. Buss, A. H. & Plomin, R.(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NJ: Lawerance Erlbaurn.
  57. Cajochen, C., Frey, S., Anders, D., Spati, J., Wirz-Justice, A., Mager, R., Bues, M., Pross, A. & Stefani, O.(2011). Evening exposure to a light-emitting diodes (LED)-backlit computer screen affects circadian physiology and cogni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0(5), 1432-1438. https://doi.org/10.1152/japplphysiol.00165.2011
  58. Hirshkowitz, M., Whiton, K., Albert, S. M., Alessi, C., Bruni, O., DonCarlos, L., Hazen, N., Herman, J., Hillard, P. A., Katz, E. S., Kheirandish-Gozal, L., Neudauer, D. N., O'Donnell, A. E., Ohayon, M., Peever, J., Rawding, R., Sachdeva, R. C., Setters, B., Vitiello, M. V. & Ware, J. C.(2015). National Sleep Foundation's updated sleep duration recommendation: final report. Sleep Health, 1(4), 233-243. https://doi.org/10.1016/j.sleh.2015.10.004
  59. Li, X., Tai, J., Xu, G., Wang, Y., Wu, Y., Du, J., Zhang, J., Peng, X. & Ni, X.(2018). Sleep duration and factors related to sleep loss in 3-14-years old children in Beijing: a cross-sectional survey. Chinese Medical Journal, 131(15), 1599-1807.
  60. Mishra, A., Pandey, R. K., Minz, A. & Arora, V.(2017). Sleep habits among school children and their effects in sleep pattern. Journal of Caring Science, 6(4), 315-323. https://doi.org/10.15171/jcs.2017.030
  61. Owens, J., Maxim, R., Mcquinn, M., Nobile, C., Msall, M. & Alario, A.(1999). Television-viewing habits and sleep disturbance in school children. Pediatrics, 104(3), 27-41. https://doi.org/10.1542/peds.104.3.e27
  62. Smithson, L., Baird, T., Tamana, S. K., Lau, A. Mariasin, J., Chikuma, J., Lefebvre, D. L., Subbarao, P., Becker, A. B., Turvey, S. E., Sears, M. R., The CHILD Investigators, Beal, D. S., Pei, J. & Mandhane, P. J.(2018). Shorter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cognitive development at two years of age. Sleep Medicine, 48, 131-139. https://doi.org/10.1016/j.sleep.2018.04.005
  63. Tucker, C.(2014). Study: Television viewing, TVs in bedrooms tied to less sleep for kids. The Nation's Health, 4(1), 20.
  64. Ward, T. M., Gay, C., Alkon, A., Anders, T. F. & Lee, K. A.(2008). Nocturnal sleep and daytime nap behavior in relation to salivary cortisol levels and temperament in preschool-age children attending child care.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9(3), 244-253. https://doi.org/10.1177/1099800407310158
  65. Weissbluth, M. & Liu, k.(1983). Sleep patterns, attention span and infant temperament.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4, 34-36. https://doi.org/10.1097/00004703-198303000-00007
  66. Weissbluth, M.(1995). Naps in children: 6 months-7 years. Sleep, 18(2), 82-87. https://doi.org/10.1093/sleep/18.2.82
  67. Zhang, Z., Sousa-Sa, E., Pereira, J., Chaput, J., Okley, A., Feng, X. & Santos, R.(2019). Correlates of nocturnal sleep duration, nocturnal sleep variability, and nocturnal sleep problems in toddlers: results from the GET UP! Study. Sleep Medicine, 53, 124-132. https://doi.org/10.1016/j.sleep.2018.08.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