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발달

검색결과 428건 처리시간 0.026초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 실태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Daily Outdoor Play Parents Recognize (Focused on Gyeonggi-do))

  • 김용숙;윤희봉;유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61-4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 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통합 중재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ud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은주;최유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83-389
    • /
    • 2013
  • 이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근거기반실제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한 후 집단실험설계 연구에 대해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분석대상 연구는 총 24편으로, 사례연구 7편, 단일대상연구 3편, 집단실험설계 연구 14편(무작위 임상실험설계 5편,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 3편, 단일집단 비무작위연구 6편). 메타분석을 통해 실험연구의 전체 효과를 알아본 결과 0.272의 중간크기로 나타났다. 종속변수는 소근육 운동발달이, 출판여부는 출판된 논문이, 연구 설계는 두 집단 비무작위연구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아동보다,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은 기간이 8주, 횟수는 주5회, 시간은 90분에서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중재는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통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연구물의 축적이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sim}2006$년도 연구물 분석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 한기순;양태연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38-36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영재교육 관련 연구물의 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변화상을 분석하고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등 영재 교육 관련 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학술지와 함께 한국학술정보원의 자료 중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총 35종의 학술지에서 521개의 논문과 49개의 박사 학위 논문이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영재관련 논문을 크게 연구 주제와 연구대상, 연령 및 학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도별 추이도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며 그 다음으로는 영재성의 요인 및 발달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예상대로 수학/과학 영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언어영재와 예술영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2005년 들어 미성취 영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학년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보다 초등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2004년에 들어 유아영재에 대한 연구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와 상관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에 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해양바이오물질이 PCB의 독성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on the Toxic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s)

  • 이현교;김혜영;양재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2-107
    • /
    • 2007
  •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PCB는 우리 주변에 널리 퍼져 있고 먹이사슬을 통해 체내에도 축적되어 인체의 위해성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이다. PCB의 노출은 성장기의 두뇌에서 가장 큰 신경독성을 나타내며 영아 및 유아는 상대적으로 높게 노출되어 위험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PCB의 신경독성에 구조-활성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PCB에 의한 독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해양활성물질의 사용가능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PCB노출에 따른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체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Protein Kinase C (PKC)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KC의 전체적인 활성을 [$^3H$]PDBu로 분석한 결과 ortho-position(PCB-105, -123)을 가지고 있는 PCB가 non-ortho (pCB-77, -81) 구조보다 신경에 미치는 영향은 더 높았다. Westem blot 결과 PKC isofonn 중에는 PKC-beta II 및 epsilon의 경우 ortho-position PCB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PKC의 변화는 성장기 신경세포에서 신호전달기작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차단 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하고자 다양한 키토산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1백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키토산의 경우 PCB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 등에 의한 독성예방에 키토산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라임병 원인 스피로헤타 Borrelia burgdorferi의 운동성과 주화성: 발병기전에서의 역할 (Motility and Chemotaxis in the Lyme Spirochete Borrelia burgdorferi: Role in Pathogenesis)

  • 유아영;강호영;문기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7-637
    • /
    • 2018
  • 운동성 및 주화성은 스피로헤타를 포함한 많은 병원성 세균의 병원인자로 작용한다. 라임병은 스피로헤타인 Borrelia burgdorferi에 의해 발병하며, 검은다리 참진드기에 물린 상처를 통해 사람에게 전염되는 미국 및 유럽 내에서 가장 유행하는 벡터-매개성 질병이다. Borrelia를 포함한 스피로헤타 균들은 다른 일반적인 편모를 가지는 균들과 달리 주변세포질에 그 편모를 가지며, 운동성이 결여된 돌연변이주의 경우 야생주와 같은 병원성을 가지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대장균에 비해 더욱 다양한 종류의 주화성 관련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편모를 통한 이 균의 운동성이 매우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최근 초저온 전자현미경 및 새로운 유전자 조작기술의 발달로 인해 베일에 싸여 있던 스피로헤타의 운동성 및 주화성, 특이한 편모의 구조가 밝혀지고 있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이러한 최첨단 기술의 이용으로 현재까지 밝혀진 Borrelia burgdorferi의 새로운 편모 모터 구조를 소개하고, 균의 병원성과 운동성 및 주화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유아의 물체영속성개념 발달에 관한 실험연구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Object Permanence in Infancy)

  • 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2권
    • /
    • pp.1-16
    • /
    • 1981
  • This study had two purposes. First, to examine the stages and developmental order of object permanence based on Piaget's theory. Second, to assess the effects of delay, attentiveness, and direction of gaz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object permanence development in infants. The subjects for the 2 experiments were randomly drawn from a well-baby clinic. The subjects for Experiment 1 were 72 infants, 12 each in 6 age levels : 6, 9, 12, 15, 18, and 21 months old. Experiment 1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tages and developmental order of object concept development, ana infants received 5 tasks as follows : (1) finding an object partially hidden under one box (2) finding an object completely hidden under one box (3) finding an object after successive visible displacements (4) finding an object after one invisible displacement (5) finding an object after successive invisible displacements. The subjects for Experiment 2 were 24 9-month-olds.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s of delay, attentiveness, and direction of gaze for Stage IV of object concept development. Subjects were equally assigned into one of two delay groups: 0-sec delay and 3-sec delay. Attentiveness was rated in terms of a three-point scale, and then divided into high and low attentive groups. Direction of gaze was judged into two directions. In two experiments, infants received three trials of task, and received a score of 0, 1, 2 for each trial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ukey test, and t-test for task performance, and direction of gaze was analyzed by chi-squ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wo experiments were as follows : 1. In object permanence test, subject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with age, and 6, 9, 12, 18 month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2. In object permanence development, subjects received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with task and a developmental order of tasks was found. First of all, infants mastered finding an object partially hidden under one box, and then mastered finding an object completely hidden under one box. Contrary to Piagetian theory,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finding an object after successive visible displacements and finding an object after one invisible displacement were sometimes reversed. Finally, finding an object after successive invisible displacements was mastered, and the concept of object permanence was completed. 3. In Stage IV of object concept development, a 3-sec dela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asks. The O-sec delay group didn't perform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3-sec delay group. 4. In Stage IV of object concept development, attentiveness of infa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ask. So the highly attentive infants obtained better performance scores than the low attentive infants. 5. In Stage IV of object concept development, direction of gaz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ask. That is, infants who gazed at the box which contained the object showed a higher rate of success than infants who gazed at the box which had already displaced the object.

  • PDF

어머니의 이유식 준비 태도가 유아의 식습관 및 성장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hers' Wean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 이주희;김창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51-56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mothers' attitudes on preparing baby foods for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allocated to 419 preschool children, aged 3 - 5 years. This study surveyed by questionnaire, which was answered by the children's mothers. Subjects were classified by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based on their mothers' weaning attitudes. In the active group, mothers tried to make a variety of foods for preparing the baby foods, whereas mothers in the passive group didn't try to make it too much. Family income was higher in the active group and the subject' mothers had more jobs than those in the passive group, whereas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Rohrer index, 2.6% of subjects were obese in the active group, whereas 7.7% in the passive group. These data were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ther's food habits and breast-feeding versus formula feeding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children's food habits were shown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igher regularity of meals, higher frequencies of snacks at home, higher frequencies of fruit, com, sweet potato as a snacks and less instant foods were revealed in the active group more than in the passive group. The major problem of children's food habits was an unbalanced diet (52.7%) and the major reasons for unbalanced diet were the taste (58.7%) and the texture (23.2%). The active uoup used more fruits and vegetables than the passive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 solve problems of children's unbalanced diets. In the positive group, 14.4% of mothers tried to develop new cooking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 of an unbalanced diet, but 8.2% did in the passive group. furthermore, 2.3% of mothers in the positive group removed unpleasant items of the food, whereas 6.9% did in the passive.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on a 10 scale were 7.2 and 6.9 in active and passive groups, respectively, and the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Mothers among the active group explained the knowledge for food and nutrition to their children more than those in the passiv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ttitudes for baby food are an important factor for forming their children's food hab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materials and new recipes for a variety of baby foods to mothers.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Experiences on their Mental Health)

  • 강복정;강기정;박수선;손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51-459
    • /
    • 2016
  • 본 연구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아 및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양육 경험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28일까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월평균 가구소득, 자녀양육 변인인 부모역할 인식, 양육스트레스, 자녀발달에 대한 지식, 가족 및 사회 관련 변인인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녀양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 따른 부담감 감소 및 부모역할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구순 구개열 신생아에 적용한 Obturator의 효과에 관한 증례보고 (THE EFFECT OF OBTURATOR FOR CLEFT LIP AND PALATE INFANTS: A CASE REPORT)

  • 홍성준;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2-360
    • /
    • 1997
  • 구순 구개열 신생아는 출생시부터 수유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중이염, 언어장애, 부정교합, 부적절한 악안면 성장과 이로 인한 정신적 손상등에 직면하게 된다. 이런 복합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신생아의 전반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여러 관련분야 전문가들의 포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수유의 어려움은 유아의 영양 상태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가장 먼저 관리하여야 할 부분이다. Obturator의 사용은 수유보조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구강과 비강을 구분하여 중이염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고, 구개판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정상적인 구강 안면조직의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소아치과의사는 구순 구개열 신생아의 정상적인 성장, 발육을 위해 출생 직후 부모에게 적절한 수유방법의 조언과 함께 obturator 를 장착해 주고, 다른 team과 긴밀한 협진을 통해 유치열기, 혼합치열기까지 지속적으로 치과적 관리를 제공하여야 한다.

  • PDF

아동문학상 수상작 이용 현황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아동문학 장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Collection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y Based on Library Usage of Children's Book Awards)

  • 이제호;권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75-199
    • /
    • 2017
  • 아동문학은 유아에서 초등학생에 이르는 아이들의 지능 및 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매체이다. 아동문학에 대한 관심은 국내 그림책들의 해외 아동도서상 수상, 아동도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조명 등으로 높아져 왔다. 그 관심은 국내 아동도서 시장의 양적 증대를 불러왔으나 반대급부로 다양한 도서 사이에서 양질의 아동도서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동문학상은 수상작에게 권위 있는 선택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아동도서를 읽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양질의 도서를 선택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된다. 국민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도서관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수상작에 대한 현황을 확인하고 새로이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아동도서 장서개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시내 10개 공공 도서관을 선정하여 아동문학상 수상작 장서의 소장현황, 대출현황, 장서회전율, Bonn의 이용계수, Trueswell의 80/20법칙을 적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에 반영해야 할 사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