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아교육학과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Dram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tistic Competence)

  • 김지윤;김수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69-92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들이 예술적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온 국민이 누리고 향유해야 할 문화적 소양이듯이 유아교사의 예술적 경험은 유아의 예술적 감수성, 심미감, 미적능력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판단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본고는 연극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는 교육연극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즉흥을 통한 허구적 상황을 창조해 내고, 가상의 인물과 동일시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감정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함과 동시에 몸을 통한 체화의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예술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극 놀이를 보다 다각적이고 진지한 일상과 연계된 활동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몸의 자유로운 활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력과 상상력, 미적체험 자극도 가능하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유아와 교사는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향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이 강화된다면 유아들의 바람직한 예술세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와 유아교육기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연극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로봇놀이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자발적 질문 빈도 및 상관관계 분석 -STEAM 요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correlation of voluntary questioning of children in robot play - Focus on the elements of STEAM -)

  • 남기원;이은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85-392
    • /
    • 2022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도래한 우리 사회에 필요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융합교육을 강조하며, STEAM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유아중심·놀이중심에 기반하여 유아의 놀이지원을 위한 로봇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만 3, 4, 5세 유아가 교육용 로봇 '터틀'을 활용하여 놀이하는 상황에서 발생한 자발적인 질문을 STEAM 요소로 분류한 후 빈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같은 로봇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을 연령별로 수집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STEAM 요소별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융합교육방향을 설정하는데 가치가 있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제한사항과 이에 따른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 개발 제안 (Restrictions on Dista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Proposal for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Solution Development)

  • 이흔연;홍필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21
  •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는 지도자에 의하여 유아의 감각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유아 원격교육은 일대일 비대면 교육 보다는, 유아교육 꾸러미 등 배포된 자료나 TV등의 매체를 통하여 학부모가 직접 돌보는 방식으로 원격교육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 및 학부모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콘텐츠의 확대 및 접근성 확대, 유아 원격교육의 기본지식 이해,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대 필요 등의 원격교육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현재 제공중인 원격교육 관련 솔루션이 유아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성, 용이성, 실시간 소통, 통합이라는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의 기본방향(VERI)을 제시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는 Web/App 솔루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격교육 솔루션은 단지 가이드라인과 자료만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유아-학부모-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유아 원격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5-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 도출 및 전문대학 직업교육에 적합한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평가 모형을 적용한 유아교육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핵심내용으로 학과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사행정적인 절차로서 PDCA의 절차를 활용하고, PDCA 평가(C) 단계에서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다수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 모형인 CIPP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역할 및 질 문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다양한 기관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유아교육 환경요인들이 유아 교사의 유아 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ehavior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지미선;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61-68
    • /
    • 2021
  • 과거 한국에서는 자녀를 돌보는 역할을 여성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에 따라 여성의 사회 활동 참여 정도 역시 적었으나, 영유아 교육을 전문 기관 및 교사에 맡기는 경우가 차츰 많아지고 있다. 이는 남녀평등과 여성의 권리 신장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영유아 전문 기관 및 교사들의 부담은 늘어가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에 나타난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학대 문제들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권리가 존중받기 위해 어떤 요인들을 관리해야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고, 교육 환경을 크게 심리적, 업무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을 살폈고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액션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부모교육 수업 사례연구 (Case Study Using Action Learning o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숙령;박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48-157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부모교육 수업을 액션러닝으로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여 부모교육 수업에서 액션러닝이 어떻게 활용 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 대전에 위치한 P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32명(유아교육학과 30명, 복수전공자 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동안 이론과 실제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매주 작성한 성찰일지, 조별과제, 심층면담자료, 동료 및 자기 평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액션러닝 교수법은 학생 주도적, 그룹수업 경험을 통해 다양한 사고를 접하고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예비 부모로서, 예비 유아교사로서 부모로서의 역량과 부모접하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실제 갈등 상황을 해결해 보는 경험을 통한 실천적 지식의 획득은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부모역할과 유아교사 역할이 힘들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경험과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상황 해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 19에 따른 원격수업 콘텐츠 분석연구 : 유치원 [놀이ON]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of Remote classes according to COVID-19 : Focusing on Kindergarten [Play ON])

  • 남기원;최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격수업 콘텐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환경에서 유아를 위한 원격수업 콘텐츠개발과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유치원 [놀이ON] 콘텐츠' 148편으로 '사용의 용이성', '흥미성', '교육성', '내용의 적합성', '기술성'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의 적합성'을 제외하고 각 하위영역별 콘텐츠의 점수에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의 적합성' 경우에는 현직교사들의 콘텐츠 제작으로 거의 모두 상위 점수를 받았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먼저, 탐색 및 진행과정에서 유아의 놀이 참여유도와 이해를 고려해 적절한 속도의 말로 제작되어야하며, 모든 유아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주제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 도전과 수준에 맞는 놀이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유아의 상상력, 호기심과 창의적인 경험 지원과 발견과 탐색의 과정에 유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주제 선정과, 영상 편집 및 음성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34-342
    • /
    • 2019
  •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경험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for Early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노필순;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644-6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를 지도한 경험에 관심을 둔 연구들을 분석하고 동향과 흐름을 파악하여 다문화 교육에서 미연구된 부분을 찾는데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7년부터 2021년 4월까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총 49편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2007년 이후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한 교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나타났고, 유아교육과 보육 관련 학술지에서 많이 다루어졌다. 연구방법에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이 비슷한 수준에서 사용되었고, 연구대상은 교사가 77.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연구내용은 교사 관련 특성이 2015년 이후 주목받고 있었으며, 연구주제로는 철학, 발달 범주가 높은 비중으로 특히 철학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다양한 연구대상의 확대, 향후 연구주제의 탐색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사이버대학교 유아교육학과의 강의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H 사이버 대학교 '유아창의성교육'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yber University)

  • 권영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7-96
    • /
    • 2007
  • In order to efficiently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yber universities, this research analysed and assess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lectur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yber-education and the lecturer's role in it. Secondly, the types and status of management of online-lectures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student management and the variety of interaction taking place online were examined. The plan to vitalize the cyber-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developing excellent educational contents and continual research of cyber-education's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en for the activation of online interaction, technological support and teaching strategies are needed to activate online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