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사 교육과정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9초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로서의'시장 프로젝트'분석 (The analysis of 'the Market Project' as the cas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윤복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66-874
    • /
    • 2014
  • 본 논문은 사례연구로서 '시장 프로젝트' 수업분석을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기존 교육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전환이 가능한 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시장놀이 행사를 시장 프로젝트로 전환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K시 H 유치원 만 5세 2학급에서 이루어졌다. 교사의 수업일지 및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프로젝트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주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기능발달이 이루어졌고,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영역의 핵심내용을 반영하였다. 또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이 이루어졌으며, 학습자 참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이야기나누기, 토의, 견학, 역할놀이 등 다양한 교육방법이 수업에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프로젝트 수업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전선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 탐구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5-year-olds'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Mathematical Process-focused Instruction)

  • 김은영;정가윤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581-6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수학적 사고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 관찰을 통한 상황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제해결하기, 추론과 증명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 의사소통하기의 다섯 가지 수학적 과정이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화되어 유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변화를 창출하였다. 또한 수학적 지식이 내재되고 통합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제시하고 수학적 과정에 중점을 두어 유아들이 또래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에 변화가 일어났다. 즉 유아의 수학적 사고는 수학적 지식이 내재된 수학적 과정을 통해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과정 안에서 통합되어 증진되었다.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n Application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 박선미;정지현;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62-471
    • /
    • 2018
  • 올해부터 시행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초 중 고등교육에의 정규 교육과정 편성을 앞두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위한 유아교사교육 방안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가장 높고, 운영적, 개인적, 정보적 관심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띄었으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을 나타내었다. 필요성 인식에 따른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에서만, 그리고 향후 실행 계획 유무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0단계(지각), 6단계(재초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프로파일 그래프 형태는 전체 평균에 의한 패턴과 비교적 유사한 비사용자 형태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패턴을 전환시키고 소프트웨어 교육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이 제안되었다.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미진;김병만;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01-221
    • /
    • 2014
  •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89명과 어린이집교사 95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강점과 행복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 정도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에 비해 유치원교사가 행복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목적, 운영자, 실시주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유아교육기관, 교사 차원의 노력,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 프로그램 적용 시 필요한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lf Imag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이승은;박영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5-1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여, 예비유아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자아상이 어떠한지 학년에 따른 자아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여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1~4학년 재학생 167명이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아상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학년에 따라 유아교사상의 하위요인 중 <교사태도>, <교사자질>의 조합된 평균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유아교사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평가>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 일관되게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학년에 따른 변화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의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문연심;김정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3-185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력 창출과 운영에 대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경기도 소재의 K유치원에서 교사 1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인 및 집단면담 13회, 현장관찰 8회, 참여관찰 4회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협력적 운영에 대해 '업무 수행', '어려움', '기관의 지원', '변화'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갖춘 2인 교사가 협력적 운영의 과정, 변화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만 3세 교실에서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 (A Pre-school Teacher's Educational Meaning of an Activity : 'Discourse between Children through Books' in 3-year-old Children's Classroom)

  • 서혜정;윤경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39-368
    • /
    • 2013
  •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들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과정을 통해 만 3세 유아들의 존재와 그 의미를 찾아가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10년 4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이며, 수집한 자료는 교사의 수업 기록물, 사진, 협의노트, 면담 자료이다. 연구결과,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는 유아가 탐구할 주제 정하기, 유아의 궁금증을 해결할 적합한 책 선정하기, 책의 그림으로 유아간의 대화 시간, 이해를 공유하는 과정이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유아교사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능력, 아이디어, 그리고 탐구 의욕이 많은 유아들을 만났다.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어려울 것이라는 지식 그림책에 대한 선입견을 해소하였으며, 유아들이 학습을 주도함으로써 다양한 수업을 경험하였다. 지식 그림책은 유아의 대화 통로가 되어 유아들에게 사고가 담긴 앎 체득으로 작용함으로써 '책을 통한 유아들 간의 의견나누기' 활동이 유아주도적인 탐구학습 교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도 조사 (Christian Preschool Curriculum in Korea :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iculum)

  • 조정아;조은진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5-324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condi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ristian preschool curriculum in Korea. Participants were 119 teachers in Christian preschools(84 teachers in preschools attached to churches and 35 teachers in non-attached Christian preschools).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study. Most of the Christian preschools used appropriate educational aims clearly reflecting a Christian world view and th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However,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ional media were limite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cademic background, and years of teaching in Christian institutions affected the results.

  • PDF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제한사항과 이에 따른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 개발 제안 (Restrictions on Dista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Proposal for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Solution Development)

  • 이흔연;홍필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21
  •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는 지도자에 의하여 유아의 감각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유아 원격교육은 일대일 비대면 교육 보다는, 유아교육 꾸러미 등 배포된 자료나 TV등의 매체를 통하여 학부모가 직접 돌보는 방식으로 원격교육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 및 학부모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콘텐츠의 확대 및 접근성 확대, 유아 원격교육의 기본지식 이해,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대 필요 등의 원격교육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현재 제공중인 원격교육 관련 솔루션이 유아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성, 용이성, 실시간 소통, 통합이라는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의 기본방향(VERI)을 제시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는 Web/App 솔루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격교육 솔루션은 단지 가이드라인과 자료만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유아-학부모-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유아 원격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