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5-year-olds'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Mathematical Process-focused Instruction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 탐구

  • Received : 2015.07.22
  • Accepted : 2015.08.24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instruction method focused on the mathematical process and apply it to 12, 5-year-olds from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ith a view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ir mathematical thinking. In addition, surveys with parents and teachers, as well as those cond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The effects focused on the five mathematical processes, namely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proof, connecting, representing and communication was found to help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child and child-child stimulate the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children and induce changes. The mathematical process-focused instruction aimed to advance mathematical thinking internalized mathematical knowledge, presented an integrated problematic situation, and empathized the mathematical process, which enabled the children to solve the problem by working together with peers. As such, the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children was integrated and developed within the process of a positive change in the mathematical attitude in which mathematical knowledge is internalized through mathematical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수학적 사고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 관찰을 통한 상황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제해결하기, 추론과 증명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 의사소통하기의 다섯 가지 수학적 과정이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체화되어 유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변화를 창출하였다. 또한 수학적 지식이 내재되고 통합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제시하고 수학적 과정에 중점을 두어 유아들이 또래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에 변화가 일어났다. 즉 유아의 수학적 사고는 수학적 지식이 내재된 수학적 과정을 통해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과정 안에서 통합되어 증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권유선, 최혜진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63-84.
  3. 김경희 (2007). 사회적 구성주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측정영역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4. 김선영, 최혜진 (2011). 수학적 추론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221-247.
  5. 김소향 (2004).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6. 김연옥, 이영환 (2004). 구성주의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4(2), 19-47.
  7. 김영명, 안소영, 서영숙 (2011).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고양: 공동체.
  8. 류혜숙 (2003). 전통놀이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9. 문병환 (2013). 수학적 표상을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0. 백경미, 정정희, 정주희 (2009). 대수적 사고 증진 수학활동이 유아의 대수적 사고 능력 및 수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1-22.
  11. 이지현, 김정주 (2012).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47-67.
  12. 전순환 (2010).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성취, 수학적 과정 기술,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3. 조용환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4. 홍혜경 (2004).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서울: 양서원.
  15. 홍혜경 (2009). 수학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에서의 수학적 담화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175-203.
  16. 홍혜경 (2010). 영유아수학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4), 29-51.
  17. 홍혜경 (2011). 수학동화책의 반복적 읽기방법이 유아의 수학화 과정과 수학태도 및 수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5-29.
  18. 황정숙 (1996).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片桐 重男 (2013).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수학의 진정한 학력 향상을 지향하여 [이용률, 정동권 역]. 서울: 경문사. (원전출간년도: 2004).
  20.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Integrating arithmetic & algebra in elementary school. Portsmouth, NH: Heinemann.
  21. Charlesworth, R., & Lind, K. K. (2003). Math and science for young children (4th ed.). Clifton Park, NY: Delma Learning.
  22. Empson, S. S., & Levi, L. (2011). Extending children's mathematics: Fractions and decimals, innovations in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Portsmouth, NH: Heinemann.
  23. Spradley, J. P. (1988). 문화 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이희봉 역].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원전출간년도: 1980).
  24. Ward, C. S.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