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산소운동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6초

유산소 훈련 강도 차이가 비만 어린이의 산화적 조직 손상에 의한 심혈관질환 병태생리적 경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Training Intensity Difference on Cardio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ical Pathways Linking Oxidative Tissue Damage in Obese Children)

  • 우진희;신기옥;김근수;김영일;강성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94-1401
    • /
    • 2010
  • 본 연구는 12주 유산소 운동이 비만 어린이의 혈청지질성분, 항산화효소 활성 및 자율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들은 16명의 비만어린이와 19명의 정상어린이를 대상으로 12주간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은 VO2peak, 신체조성, 혈청지질, ox-LDL, 8-OHdG, SOD, GPx 활성, total mRNA, 그리고 자율신경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은 OW그룹에서 시기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후 OR과 CO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WHR은 OR과 CO그룹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후 OW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만 그룹에서 baseline TG는 대조군 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자율신경계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효소 유전자 발현은 모든 그룹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어린이에서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 활성은 정상어린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어린이에 비해 비만어린이의 TG는 더 높게 나타났고 자율신경계 활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만어린이에서 TG의 증가와 자율신경계 활성의 감소는 비만환자의 출발점이 어린시기에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은 어린시기에서 항산화효소 발현을 수정하여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Exhaled Carbon Monoxide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smoking)

  • 김승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0-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을 통한 유산소운동이 금연에 참여한 여자 대학생의 호기 일산화탄소 및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D광역시 D대학 여자대학생들로 흡연을 시작한지 2년 이상 그리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자를 우선 선별한 후, 실험 참가 의사를 밝힌 총 18명을 선정하여, 금연의 서약서와 실험 동의서를 받았다. 무선배정으로 운동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정확한 운동프로그램을 설정하기 위해 최대하운동부하검사를 통해 개인별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1-3주 50%HRmax, 4-6주 60%HRmax, 7-9주 70%HRmax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산화탄소의 변화는 운동집단에서 참여 전 상습흡연자 수치에서 참여 후 비흡연자 수치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 역시 금연의 효과로 비흡연자 수치를 보였다. 둘째, 호흡순환기능은 운동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통제집단은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아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횡격막에 적용된 테이핑 처치가 30초간의 무산소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pilot study (The effect of taping intervention applied to the diaphragm on the performance of anaerobic exercise in 30 seconds: pilot study)

  • 최현석;조일영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1권1호
    • /
    • pp.7-13
    • /
    • 2022
  • 본 연구는 횡격막에 적용된 테이핑 처치가 30초간의 무산소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건강한 대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KT)과 대조군(Sham)에 각각 9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 모두 윙게이트 검사 기반의 사전 측정이 이루어지고 1주일 휴식 후 처치와 함께 사후 측정이 실시되었다. 두 집단간 변인들의 통계는 사전, 사후값의 변화율을 Mann-Whitney U검정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의 평균 파워(AP)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횡격막 테이핑이 30초 동안의 무산소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30초보다 긴 장기간 무산소 운동에서 유산소 대사가 증가함을 고려할 때 이후 다양한 시간 범위 내 무산소 운동 수행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8주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이 산화질소(NO) 농도와 평균동맥압(MAP)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8 Weeks Resistance Training on Nitric Oxide (NO) Concentration and Mean Arterial Pressure (MAP) in Young Men)

  • 김영일;백일영;곽이섭;김근수;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5-632
    • /
    • 2009
  •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서로 다른 두 집단(RTG, ATG)의 비교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RTG)보다 유산소 트레이닝 집단(ATG)에서 산화질소(NO)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인 유산소 형태의 트레이닝이 간헐적인 저항성 형태의 트레이닝 보다 더 많은 산화질소(NO)가 생성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박수(HR)와 혈압(BP), 평균동맵압(MAP)의 감소에도 저항성 트레이닝(RT)보다는 유산소 트레이닝(AT)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산소 트레이닝(AT)에 비해 저항성 트레이닝(RT)에서 유의하진 않았지만 산화질소(NO) 농도가 증가된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단기간일 지라도 혈관이완 및 자율신경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유산소 트레이닝(AT) 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운동을 선택할 시(근력과 근비대를 제외한 운동)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12주 이상의 장기간의 트레이닝을 통해 저항성 트레이닝(RT)이 혈관이완의 직접적인 척도인 산화질소(NO) 농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시 된다.

낙상체력과 통증반응을 위한 복합운동의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for Fall-related Physical Fitness and Pain Response)

  • 강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389-39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고령층에 있어 낙상관련체력 요소와 주관적 통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2명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낙상관련 체력요소와 통증반응을 측정하였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은 10주 동안 주당 4일 1시간동안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연성, 민첩성과 균형성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만성통증 증상, 걷기 시 통증과 앉을 때 통증, 일상생활에서의 통증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령층에서 10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낙상관련체력과 통증지수에 개선을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tRec 기반 달리기 심박수 예측 시스템 (Prediction System of Running Heart Rate based on FitRec)

  • 김진욱;김광현;선준호;이승우;김수현;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65-171
    • /
    • 2022
  • 사람의 심박수는 운동 강도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만약 심박수를 예측한다면 운동 중 운동 강도를 미리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itRec 기반 달리기 운동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학습을 위해 Endomondo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에 적용한다. 성능 비교를 위해 시계열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LSTM(long short term memory)과 GRU(gated recurrent unit)를 사용하였다. FitRec에 유산소 운동 중 달리기 데이터만 학습한 결과 여러 유산소 운동 데이터를 모두 학습한 모델보다 MAE(mean absolute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d error) 둘 다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유산소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시각장애인의 호흡순환기능 및 동맥파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isually Handicapped's Participation in an Aerobic Exercise Program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Arterial Pulse Wave)

  • 김원현;김승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37-34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시각장애인의 호흡순환기능 및 동맥파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인지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1급 시각장애인 20명이었으며, 보호자를 통하여 피험자 참여의 동의서를 받았다. 이들은 유산소성운동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정으로 분류하였다. 유산소성운동집단은 12주동안 50-70%HRmax 강도로 주 5회 1일 준비운동, 본운동, 정리운동 총 60분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에서 체중과 체지방률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5). 둘째, 실험집단에서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최대환기량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5). 셋째, 실험집단에서 동맥파속도는 사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5), 넷째, 실험집단에서 수축기혈압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 참여는 호흡순환기능 및 혈류순환과 혈관기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운동과 diacylglycerol 섭취가 비만인의 혈중 지질성분 및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Diacylglycerol Ingestion on Blood Lipid Profiles and Resting Metabolic Rate Changes in Obese Man)

  • 이문열;백일영;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61-1267
    • /
    • 2010
  • 본 연구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diacylglycerol (DG) 섭취와 유산소운동이 체구성비의 변화 및 혈중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안정 시 대사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임상적 및 대사적 측면에서 비만 개선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학적으로 다른 질병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 남자 대학생으로서 연구의 의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체지방 측정 후 25%미만인 자와 흡연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기본검사와 사전검사가 끝난 후 세가지(D, E, DE) 집단에 6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군(D)은 diacylglycerol 섭취 조건으로 12주 동안 diacylglycerol을 섭취하였고, 두 번째 실험군(E)은 12주 동안 러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세번째 실험군(DE)은 12주 동안 diacylglycerol 섭취와 유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12주 동안의 그룹별 처치가 진행됨에 따라 체지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안정 시 대사량은 D그룹을 제외하고 모든 그룹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운동과 다이아실글리세롤 섭취에 따라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일어났다. 추후 카테콜라민, CAMP, HSL, Insulin 등과 같은 지방대사와 관련된 항목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DG섭취와 트레이닝의 비만개선효과를 보다 신뢰성 높게 예측할 수 있으리라 본다.

탄력 밴드를 이용한 유산소운동이 유방절제술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erobic Exercise Using a Flex-band on Physical Functions & Body Image in Women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a Mastectomy)

  • 소향숙;윤정한;김인숙;박오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1111-112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using a flex band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s & body image in breast cancer women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a mastectomy. Method: Women with breast cancer(n =26)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EG, n = 15) and control group(CG, n = 11). The E.G participated in an aerobic exercise program with a 60% to 80% intensity of maximal heart rate for 25 minutes during the main exercise,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The EG did not exercise regularly for 3 months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The CG received no exercise treatment during the research perio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x^2-test$ and Mann-Whitney U test by the SPSS version 11.0 program at a 5% significant level. Results: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EGwomen had significantly more improved cardio-pulmonary functions, ROM of the affected shoulder joint, and body image compared to the CG, Conclusion: Aerobic exercise using a flex band may be an effective rehabilitative measure for mastectomy women with respect to cardio-pulmonary functions, ROM, & body image.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study early rehabilitation programs within 10 days post-operatively.

비만중년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 후 운동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training on Lipoprotein and Body Composition after 8 Week Calorie Restriction and Different Level of Aerobic Exercise among Obese Middle-aged Women)

  • 이창식;김용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65-176
    • /
    • 2010
  • 본 연구는 비만 중년 여성에서 절식과 여러 수준의 유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운동 중단이 지단백 및 신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목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중년 여성 30명이었다. 이들을 무작위로 10명씩을 절식만 하는 대조군, 절식과 40% 강도 운동을 하는 군, 절식과 60% 강도 운동을 하는 군으로 배정하였다.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부하 테스트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에 상응하는 최대심박수에 따라 실시하였다. 이 후 운동 중단 4주와 8주차의 신체적 변화 및 혈중지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 지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둘째, BMI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셋째, 체지방율는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 8주후에 유의한 감소를 하였으며, 운동중단 후 다시 증가하였다. 혈중 지질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콜레스테롤(TC)은 40% 운동군과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성지방(TG)의 경우 40% 운동군, 60% 운동군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의 경우 60% 운동군에서 운동직후 유의한 상승을 나타냈으며, 시기별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경우 40%, 60%에서 운동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운동 직후 집단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일일 500kcal의 절식과 최대산소섭취량의 40% 운동과 60% 운동 강도를 8주간 실시하는 것은 체중조절을 위한 충분한 운동 강도와 기간이었다. 운동 중단을 하면 운동전 상태로 회귀하는 요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중단 후 4주 정도는 운동 효과가 아직 남아있으므로 운동을 그만 두더라도 적어도 1달 이내에 운동을 다시 시작하면 운동의 효과가 지속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