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성 혼란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ssessment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Composition of Cow's Milk Produced by Organic and Conventional Methods: A Review (유기농 우유와 일반 우유의 성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 평가: 총설)

  • Kim, Hong-Seok;Chon, Jung-Whan;Kim, Hyunsook;Lee, Soo-Kyung;Kim, Dong-Hyeon;Lee, Joo-Yeon;Yim, Jin-Hyuk;Song, Kwang-Young;Kim, Young-Ji;Kang, Il-Byung;Jeong, Dana;Park, Jin-Hyeong;Jang, Ho-Seok;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34 no.1
    • /
    • pp.21-35
    • /
    • 2016
  • Recently,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sale and purchase of an array of organic products. In particular, organic milk has grown in popularity. This growth could lead to expensive, premium retail prices for various organic cow's milk products. In fact, most consumers believe that (1) dairy farming to produce organic milk is beneficial for human health and (2) organic milk products are made without the use of various antibiotics, synthetic chemicals, genetic modification, extra hormones, and so on. Several factors, including breed, diet, and stage of lactation, are known to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milk. Therefore, this review (1) presents a research outline to compare organic and conventional milk and (2) provides a summary of individual elements that affect the composition of milk.

A Study on the Major Attraction and Space Recognition in Anuisamdong(安義三洞), through the People of the 16th to 19th centuries (16~19세기 인물을 통해 본 안의삼동(安義三洞)의 주요 유람처와 공간인식)

  • Kim, Dong-Hyun;Shin, Hyun-Sil;Le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3
    • /
    • pp.49-6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characters who visited Anuisamdong(安義三洞) in the past and left it in the literature. Thus, the school's relationship between people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was analyzed and the elements of landscape were extra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gures who authored the literature on Anuisamdong were related to scholars living in Anuihyun(安義縣), along with the Yeongnam confucian genealogy. Starting with Jung, Yeo-Chang(鄭汝昌) in the 15th century, a relationship centered on Nammyeong School(南溟學派) in the 16th century was formed. At that time, people had toured the Anuisamdong regardless of the academic background. In the 17th century, Nammyeong School were in conflict with Toegye School(退溪學派), so Toegye School's influence had no record. In the 18th century, the proportion of Nammyeong School, Toegye School, and Kiho School(畿湖學派) appeared similar as they evolved into the Yeongnam School(嶺南學派). After the 19th century, the proportion of patriots who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was higher than that of schools. Second, The main places us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Anuisamdongwere the order of Wonhakdong(猿鶴洞), Hwrimdong(花林洞) and Simjindong(尋眞洞). There are a total of 21 major elements used for the related literature, of which Suseungdae Rock(搜勝臺), Morijae House(某里齋), Nongwaljeong Pavilion(弄月亭), Sasundae Rock(四仙臺) and Cheoksuam Rock(滌愁巖) were the main subjects. Elements of Wonhakdong have been in the spotlight since the 16th century, focusing on Suseungdae Rock. Although the elements of Hwarimdong have been increasing gradually since the 18th century, the ratio of Simjindong to Wonhakdong and Hwarimdong was relatively small.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s who visited the Anuisamdong and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Anuisamdong was divided into landscape awareness, emotional awareness and symbolic recognition. The Anuisamdong's scenic view is mostly identified by its description of the waterscape and topographical landscape, which people may have perceived as a scenic site centered on the valley view at the time. The mutual influence of Nammyeong School and Toegye School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led to a scene in which the major figures of each school recognized pleasure as a culture of training, and a feeling of longing for the traces of past ancestors as the 18th century travel culture and the 19th century chaotic situation. In addition,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usually appears is likely to have been recognized as a unworldly place, as the location of the immortal world is confirmed.

An Investigation of Local Naming Issue of Phoenix dactylifera (대추야자나무(Phoenix dactylifera)의 명칭문제 고찰)

  • Kim, Yo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1
    • /
    • pp.34-44
    • /
    • 2018
  • In the Ancient Mesopotamia, Egypt, Judas, Greece, and Rome, Phoenix dactylifera was planted in gardens or orchards to signify life, blessing, and victory. Branches of Phoenix dactylifera, likened to high and precious, were referred to one of the gifts to the king in the second century BC and have been used in the Feast of Tabernacles. And they were engraved on the walls of the temple and along with cherub. Besides, Phoenix dactylifera is compared with a righteous person in the Bible since it grows straight despite strong winds. And, it was used as a symbol of honesty, justice, and right. Churches call the week before Easter Palm Sunday since the crowd laid the leaves of date palm trees on the road and shouted "Hosanna" while waving the date palm branches when Jesus entered Jerusalem. Moreover, pilgrim in the Middle Ages was called 'Palmer' in English due to custom of returning with the leaves and branches of date palm trees as a memorial of the Holy Land pilgrimage. This study analyzes naming issue of Phoenix dactylifera through the old literature and 27 versions of the most influential Bibles in History of Bible Translation in Korea, China, and Japan. Phoenix dactylifera is translated into Chinese as '棕櫚(Trachycarpus fortunei)', a native tree of China. 棕櫚 is similar to Phoenix dactylifera, but its fruit and leaf are quite distinct. This being so, translating Phoenix dactylifera as 棕櫚 has a limit to convey symbolic meaning adequately. In the Japanese Bible, on the other hand, Phoenix dactylifera is translated as 'なつめやし(Natsumeyashi)' meant date palm tree. Most of Protestant Bible in Korea use 'Jongryeo' like Chinese Bible while translation in Korean Catholic Bible(2005) varies from one scripture to another: 'Yaja Namu (Palm Tree)' - 38 times, 'Jongryeo Namu' - 5 times, and 'Daechu Yaja Namu (Date Palm Tree)' - 3 times. Date Palm Tree, 'Jongryeo Tree', and Palm Tree don't grow in Korea. However, they had long been recognized as Haejo(海棗), Jongryeo(?櫚), and Yaja(椰子) respectively through China and Japan. Each of them called by a distinct name correspond with its own characteristic and used separately in Korean Classics as Jongryeo and Haejo were identified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s. It seems that more confusion was raised since 'Palm' was translated as 'Jongryeo' in several books including "?藤和英大辭典 (1915)", "Modern 朝鮮外來語辭典(1938)", and "Latin-Korean Dictionary(1995)". However, the Latin term 'Palmae' is translated into English as either palm tree or date pal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accurate translation of Phoenix dactylifera in the Bible would be 'Daechu Yaja Namu (Date Palm Tree)' and using different name fit for its own characteristic would be more appropriate.

A Study on Act on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공인탐정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Bong-Soo;Choo, Bong-Jo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61
    • /
    • pp.285-305
    • /
    • 2019
  • In the bill of [Act on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rtified Detective Act) proposed and represented by the member of National Assembly, Lee Wan-Yong in 2017, the legislative point of view showed that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including new crimes, are frequently increasing as society develops and becomes more complex,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solve all the incidents and accidents with the investigation force of the state alone due to manpower and budget, and therefore, a certified detective or private investigator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June 2018, Article 40 (4)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is concerned with 'finding the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a specific person or investigating privacy other than commerce relations such as financial transactions' are prohibited. It i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llegal act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such as the loc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ivacy of a specific person and protecting the privacy and tranquility of personal privacy from misuse and ab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tc. Such 'privacy investigation business' currently operates in the form of self-employment business, which becomes a social issue as some companies illegally collect and provide such privacy information by using illegal cameras or vehicle location trackers and also comes to be the objects of clampdow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Considering this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olution to materi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other than prohibiting 'investigation business including privacy etc' and it is possible to run a similar type of business as a detective business in the scope that the laws of credit research business, security service business, the posi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hat 'the ban on the investigations of privacy etc' does not infringe the claimant's freedom to choose a job. In addition to this decision, the precedent posi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been that, in principle, the legislative regulation of a particular occupation wa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determined by the legislator'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siderations, unless otherwise there were any special circumstance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widely recognized the legislative formation rights of legislators in the qualifications system related to the freedom of a job.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certified detective system, focusing on the certified detective bill recently under discussion, and tries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in order to cultivate and institutionalize the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and to suggest methodologies to see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es and protect the rights of the people.

대순진리회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普化天尊) 신앙 비교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57-195
    • /
    • 2013
  •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 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Concept of "Accident" under the Warsaw System (국제항공운송협약상(國際船空運送協約上) 사고(事故)의 개념(槪念))

  • Choi, Jun-Su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20 no.1
    • /
    • pp.45-8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accident" under the Warsaw system including the Warsaw Convention for the Unification of certain Rules for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of 1929 and the Montreal Convention of 1999. Most leading case on this subject is Air France v. Saks(470 U.S. 392 (1985)). In the Saks case, it was held that the definition of an accident must be applied flexibly, and most courts have adhered to the definition of accident in Saks case, the application of accident has been less than consistent. However, most cases have held that if the event is usual and expected operation of the aircraft, then no accident has occurred. Courts have also held that where the injury results from passenger's own internal reaction to the usual, normal, and expected operations of the aircraft, it is not caused by an accident. As the Warsaw drafters intended to create a system of liability rules that would cover all hazards of air travel, the carrier should liable for the inherent risks of air travel. It is right in that the carrier is in a better position than the passenger to control the risks during air travel. Most US courts have held that carriers are not liable for one passenger's assault on the other passenger. The interactions between passengers are not part of the normal operations of the aircraft and are therefore not covered by the word "accident" under Art 17 of the Warsaw Convention. It is regretful that the Montreal Convention did not attempt to clarify the concepts of accident in itself. In the light of an emerging tendency to hold the air carrier liable for occurrences that do not exactly go to the operation of the aircraft, it is desirable to regulate that the carrier is liable for an "event" instead of an "accident" in accordance with the Guatemala City protocol.

  • PDF

Comparison of ESG Evaluation Methods: Focusing on the K-ESG Guideline (ESG 평가방법 비교: K-ESG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Chanhi Cho;Hyoung-Yong Le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1
    • /
    • pp.1-25
    • /
    • 2023
  • ESG management is becoming a necessity of the times, but there are about 600 ESG evaluation indicators worldwide, causing confusion in the market as different ESG ratings were assigned to individual companies according to evaluation agencies.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applying ESG was not disclosed, there were not many ways for companies that wanted to introduce ESG management to get help. Accordingl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he K-ESG guideline jointly with the ministries.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evaluation grades by ESG evaluation company or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diagnostic it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ase of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K-ESG guideline was attempted by applying the K-ESG guideline to companies that already have ESG ratings. The position of the K-ESG guideline is also confirmed by comparing the scores calculated through the K-ESG guideline for companies that have ESG ratings from global ESG evaluation agencies and domestic ESG evaluation agen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K-ESG guideline provide clear and detailed standards for individual companies to set their own ESG goals and set the direction of ESG practice. Second, the K-ESG guideline is suitable for domestic and global ESG evaluation standards as it has 61 diagnostic items and 12 additional diagnostic items cover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global representative ESG evaluation agencies and KCGS in Korea. Third, the ESG rating of the K-ESG guideline was higher than that of a global ESG rating company and low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a domestic ESG rating company. Fourth, the ease of application of the K-ESG guideline is judged to be high. Fifth, the point to be improved in the K-ESG guideline i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mpile industry average statistics on diagnostic items in the K-ESG environment area and publish them on the government's ESG-only site. In addition, the applied weights of E, S, and G by industry should be determined and disclosed. This study will help ESG evaluation agencies, corporate management, and ESG managers interested in ESG management in establishing ESG management strategies and contributing to providing improvements to be referenced when revising the K-ESG guideline in the future.

Considerations on ground preparation for the Gimhae Bonghwang-dong Ruins (김해 봉황동 유적 대지조성에 대한 소고(小考))

  • YUN Sunky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4
    • /
    • pp.24-36
    • /
    • 2022
  • The Bonghwang-dong ruins in Gimhae, the central area of Geumgwan Gaya, is presumed to be the site of the royal palace, and excavations have been in progress at the Gaya National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According to a research conducted by lowering the level to the base layer on the north side of the site, mostly shell layers composed of oysters were confirmed, and soil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 was alternately filled in to form a site construc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work at the site of the Bonghwang-dong ruins that required large-scale labor, such as building ramparts and embankments. There is stratigraphic confusion such as showing different age values in the same shell layer through a chronological analysis of organic matter and charcoal in the sedimentary layer, and deriving a result value in the upper layer ahead of the lower layer. In addition, open-sea diatoms are observed not only in the sedimentary layers, but also the pi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soil constituting the ruins was brought from the outside. The Bonghwang-dong ruins are located inside the commonly called Bonghwang earthen ramparts, where many excavation organizations conducted research within the estimated range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was similar to the sedimentary layers of the rui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ruins of Bonghwang-dong. Through this, the surrounding ruins, including those of Bonghwang-dong, were located close to paleo-Gimhae Bay, so it is believed that the soil brought from the surroundings was used to reinforce the ground.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research on the Bonghwang-dong ruins conducted so far, it was found by sedimentary layer analysis and soil experiments that the ruins were created on stable land. Relics excavated in the sediments of the ruins and carbon dating data show that Bonghwang-dong carried out large-scale civil construction work in the 4th century to build the site, which clearly shows the status of Geumgwan Gaya.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