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인탐정 관련 법률(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 on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 김봉수 (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 추봉조 (김천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투고 : 2019.11.09
  • 심사 : 2019.12.10
  • 발행 : 2019.12.31

초록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도입시 조사영엽의 합법화와 경비, 조사시장의 활성화로 약 4,877억원의 매출이, 장기적으로는 1조 2,724억원의 매출효과가 연구발표되었다. 탐정업의 도입필요성은 "미래 유망분야의 새로운 직업"으로 선정되어 '신직업'으로 보고 있고, '사실 조사를 지원하는 공인탐정제도'는 현 정부의 공약이기도 했다. 이에 현재 계류중인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합법적으로 탐정들의 사실조사가 가능해 진다. 최근 국회에 '공인탐정법안', '공인탐정 및 공인탐정업에 관한 법률안'이 계류중이다.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한 합법과 불법의 경계에 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탐정제도는 OECD 가입 34개국 중 우리나라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허용되고 있으며, 물론 각국의 실정에 맞게 자격인증, 교육, 영업 등록 등 다양한 관리제도를 통해 국민의 권익보호에 필요한 탐정업의 장점은 활성화하면서 부작용 등 단점은 최소화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탐정을 금지할 것이 아니라 적정한 관리를 통해 새로운 제도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청년의 일자리와 퇴직근로자들의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이 창출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기존의 신용조사업, 경비업, 손해사정사 등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개별적으로 조사 관련 업무가 일부 진행되고 탐정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다 보면, 업무의 혼란으로 더 큰 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관련 직군과의 업무의 충돌문제도 열린 새로운 연구와 제도 및 정책의 제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재옥 의원의 '공인탐정법안', 이완영의원의 '공인탐정 및 공인탐정업에 관한 법률안'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왜 탐정 입법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정과 일자리 창출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탐정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을 경우 자격면제 기준에 왜 엄격한 법제화가 필요한지, 공인탐정제도의 불명확성으로 어떤 우려가 될 수 있는지 크게 4가지에 관련된 문제점을 제시하여, 첫째, 헌법재판소의 탐정유사명칭 사용금지와 치안수요의 한계에 대한 합법과 불법의 모호성으로 조속한 입법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심부름센터', '흥신소'등의 음성화로 사회적 문제점을 일자리 창출과 연계하여 공인탐정법안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셋째, 공인탐정자격 면제 기준의 문제을 엄격한 법제화를 통해 탐정 제도의 도입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공인탐정업무의 불명확성에 대한 우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n the bill of [Act on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rtified Detective Act) proposed and represented by the member of National Assembly, Lee Wan-Yong in 2017, the legislative point of view showed that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including new crimes, are frequently increasing as society develops and becomes more complex,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solve all the incidents and accidents with the investigation force of the state alone due to manpower and budget, and therefore, a certified detective or private investigator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June 2018, Article 40 (4)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is concerned with 'finding the loc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a specific person or investigating privacy other than commerce relations such as financial transactions' are prohibited. It i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llegal act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such as the loc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the privacy of a specific person and protecting the privacy and tranquility of personal privacy from misuse and ab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tc. Such 'privacy investigation business' currently operates in the form of self-employment business, which becomes a social issue as some companies illegally collect and provide such privacy information by using illegal cameras or vehicle location trackers and also comes to be the objects of clampdow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Considering this rea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a resolution to materi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other than prohibiting 'investigation business including privacy etc' and it is possible to run a similar type of business as a detective business in the scope that the laws of credit research business, security service business, the posi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hat 'the ban on the investigations of privacy etc' does not infringe the claimant's freedom to choose a job. In addition to this decision, the precedent posi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been that, in principle, the legislative regulation of a particular occupation was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determined by the legislator'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siderations, unless otherwise there were any special circumstance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widely recognized the legislative formation rights of legislators in the qualifications system related to the freedom of a job.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certified detective system, focusing on the certified detective bill recently under discussion, and tries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certified detective and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in order to cultivate and institutionalize the certified detective business, and to suggest methodologies to seek for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es and protect the rights of the peop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욱 (2014). 민간조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 법과정책연구, 13(3), 1051-1077.
  2. 강동욱 (2018). 탐정제도의 법제화에 관한 소고: 20대 국회법안을 중심으로. 한양법학, 29(2), 1-27.
  3. 강영숙 (2014). 일본 탐정업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분석. 한국경찰연구, 13(4), 3-34.
  4. 강영숙, 김태환, 유우종, 이경근 (2009). 탐정(민간조사)학개론. 진영사.
  5. 경찰청 (2015). 경찰백서: 이제 우리나라도 민간조사업(사립탐정)도입이 필요합니다. 경찰청.
  6. 김계원, 서진석 (2016). 민간조사(탐정) 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62, 9-36.
  7. 김동제, 조성구, 한삼석 (2015). 경비업법 개정을 통한 민간조사 제도 도입의 검토. 입법과정책, 7(1).
  8. 김정규, 강맹진 (2017). 탐정 공인 자격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4(2), 53-76. https://doi.org/10.25023/KAPSA.14.2.201708.53
  9. 김현동, 이기세, 장동수 (2014). SNS시대의 테러범죄 변화에 따른 민간조사원(탐정) 활용방안. 한국테러학회보, 7(2), 22-48.
  10. 송하성 (2014). 공인탐정 민간조사원가이드. 진영사.
  11. 승재현 (2017). 공인탐정 또는 민간조사제도의 실행방안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2. 신성균, 박상진 (2009). 민간조사원(탐정)을 활용한 기업보안활동의 강화방안: 산업스파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 199-228.
  13. 신현주 (2016). 사이버범죄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6, 199-228.
  14. 윤석천, 김태영, 김윤호, 박상철, 김기덕, 박진아 (2016). 2016년 신직업 규제 완화 고용 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센터.
  15. 윤재옥 (2016). 공인탐정법안(윤재옥의원 등 12인). 의안번호 2002216.
  16. 이상원 (2007). 민간조사(탐정)제도의 도입방향: 경비업법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7, 235-253.
  17. 이상훈 (2018). 신직업으로서 탐정제도의 필요성과 업무영역에 관한 연구: 점진적 영역 확대론과 국가사무 아웃소싱 공론화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정책토론회 자료집.
  18. 이성용 (2015). 민간조사업의 관리에 관한 입법정책과 자격시험.교육의 구체화 방향.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19. 이완영 (2017). 공인탐정 및 공인탐정업에 관한 법률안(이완영 의원 등10인). 의안번호 2007974.
  20. 이점인 (2018). 공인탐정법(안)의 주요쟁점에 대한 고찰. 동아법학, 78, 153-208.
  21. 장석헌, 송병호 (2008). 민간조사업 도입상의 쟁점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8, 333-365.
  2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민간조사업법 검토의견서.
  23. 황병돈 (2009). 사설탐정제도의 효과적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검찰미래기획단.
  24. 황요한 (2017). 공인탐정제도 도입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헌법재판소 판례 2000.4.27. 97헌바88
  26. https://www.lawtimes.co.kr/ (공인탐정법의 입법추진을 중단되어야한다, 정승환)/ 2019년 10월 1일.
  27. https://www.kli.re.kr/eia/index.do/2018.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