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방암 조기검진행위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건강행위이론의 사회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논의;한인여성의 유방암 방사선 검사 행위와 관련하여 (An Examination of Theories of Health Behaviors for Guiding Research on Mammogram Screening Practices for Korean Immigrant Women)

  • 서은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79-89
    • /
    • 2007
  • 연구 목적: 1980년대 이후 미국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진율은 급속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색 인종의 여성들은 여전히 조기 검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유색인종 여성들의 낮은 검진율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건강행위이론을 이용한 관련 요인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국 보건 의료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섯 건강행위 이론을 유색 인종 여성, 특히 한국 이민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검진 이행에 적용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네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CINAHL, MEDLINE, PsycINFO, Sociological Abstracts)를 이용한 심층적 문헌 고찰을 통해 각각의 이론으로 유방암 조기 검진을 설명한 연구들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론들의 배경, 주요 요인, 그리고 유색인종의 유방암 조기 검진에서의 적용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 서양 문화권 속에서 개발된 각 이론들이 한국적 정서와 행동을 설명하는데 명확한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면밀하게 재분석하여 한국적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도출이 요구된다.

  • PDF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행위: 체계적 문헌고찰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 곽영여;김현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73-385
    • /
    • 2021
  • 글로벌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PRISMA 리뷰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1년 1월31일까지 PubMed, CINAHL, Embase, Cochrane Library 4개의 웹 데이터베이스에 발표된 원문을 검색하였으며, 참고문헌 목록을 통해 추가로 검색하였다. 18세 이상의 참여자,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포함 기준에 충족되는 17건의 원문은 암 건강정보문해력을 측정했고 암 조기진단 행위에는 유방 촬영술, 임상 유방암 검진, Papanicolaou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 PSA 검진 등이 포함되었다. 그중에 11건의 원문에서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는 통계적으로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암 건강 지식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암 조기진단율 과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서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에 관한 모든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건강 정보 추구가 유방암 검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자율적 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 Seeking on Breast Cancer Screening Intention: Focusing on HBM and Autonomous Motives)

  • 구윤희;노기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81-1387
    • /
    • 2018
  • 본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여성암 발병률 1위로 꼽히는 유방암 검진을 활성화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식 개선 방안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방암 관련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신념모형(HBM)을 활용하였다. 질병 위험 지각, 질병 예방 행동 평가가 질병 관련 정보 추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이 결과적으로 유방암 건강 검진 의도를 강화할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여기에 개인의 가치와 관심에 의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을 뜻하는 '자율적 동기'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방암을 위험하다고 지각할수록 유방암과 관련한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찾고 있었다. 유방암 검진을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높게 지각할수록 관련 정보를 추구하는 행동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의 행위 조절에 적극적일수록, 즉 자율적 동기가 높을수록 유방암 관련 정보 추구 행동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보 추구 행동은 다시 건강 검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유방암 관련 정보를 많이 찾아볼수록 검진을 하겠다는 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래내원여성의 유방암 조기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 김영임;양수형;정혜선;이창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5-164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such as breast self examination(BSE), breast physical examination, mammography. Method: The subjects were 141 women on an island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an organized questionnaire from March, to August 2002.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 and logistic analysis by SAS program. Results: 52.7% of the subjects performed breast self examination, 67.2% did breast physical examination and 67.7% did mammography. That is, about 60% of the subjects performed early detection behavior to find the breast cancer. Practice of breast self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erience of physician examination and mammograph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n BSE was a normal salted diet, a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n physical examination and mammography was the high education level of subject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intensive education and information strategies for breast cancer early detection need to be developed. In particular, early detection programs for lower educated women should be activated.

  • PDF

산업간호사의 유방암 조기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Health Nurses'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 이창현;정혜선;김지윤;김영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5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rate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ir behavior. Method: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III respondents from 230 participants in continuing educ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Result: Breast self examination was performed in 72.1%, clinical breast examination was received in 30.6% and mammography was received in 40.5%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breast self examination were age and the age of menarc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for breast cancers were age and the place of residence, and factors affecting mammography were age, monthly income, alcohol intake, the age of menarche, and attitude about early screening for breast cancers. Conclusion: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rate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population of women. But the rate of clinical breast examination and mammogaphy were lower of less than 50% of respondents. Therefore occupational health nurses who are responsible for health management of working women need more education for themselves to promote the motivation and to increase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arly breast cancer screening.

  • PDF

지연된 유방암 진단을 예측하는 정신사회적 요인 : 부부관계기능의 역할 (Psychosocial Factors Predicting Delayed Diagnosis of Breast Cancer :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Functioning)

  • 김지영;우정민;이상신;김혜원;강동우;임효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14
  • 연구목적 2001년 이후로 유방암은 한국에서 가장 흔한 여성 암이 되었다. 진행 유방암으로 진단받을 고위험군을 확인하는 것은 유방암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을 진단 받은 시점에서 진행 유방암과 연관된 사회인구학적, 건강행위 건강특성, 임상적 그리고 정신사회적 요인을 조사하며, 진행 유방암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처음으로 유방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후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스트레스 클리닉'에 자문 의뢰되어 정신의학적 면담이 시행된 2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 사회인구학적 자료를 비롯하여, 자가진단 및 유방촬영술의 규칙적 시행여부, 진단 당시의 병기, 유방암 발견 경위 등을 조사하였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및 가족적 부담, 부부관계기능, 가족관계기능 정도 등을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조기 유방암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 환자군 간에 변수를 비교하고 진행 유방암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유방암을 진단받은 시점에서 120명(54.8%)이 진행 유방암으로 확인이 되었다. 단변량분석을 통하여 조기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난 변수는 다음과 같았다. 건강행위 및 특성 변수로는 자가 검진행위(p<0.000), 매년 유방촬영술 시행여부(p<0.000)이었다. 암 관련 임상적 특징으로는 종양 발견경위(p<0.000), 첫 증상의 양상(p<0.000), 첫 증상 발견부터 치료까지 소요된 기간(p<0.000)이었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부부관계기능(p<0.000)과 가족관계기능(p=0.000), 과도한 경제적 가족적 부담(p=0.018)이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매년 비진행 유방암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로는 매년 유방암 선별을 위해서 실시하는 유방촬영술을 비정기적으로 시행하거나(OR=7.431 ; 95% CI 2.407-22.944), 전혀 시행하지 않는 경우(OR=25.299 ; 95% CI 7.855-81.482)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기능 부전적 부부관계(OR=4.772 ; 95% CI 2.244-10.145)가 유일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진행 유방암 진단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진 비정기적 검진을 재확인하였으며,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으로서 '비기능적 부부관계기능'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는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 왔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요인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이 중요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 PDF

외래내원 여성의 적극적 유방암 조기검진행위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in Outpatients)

  • 이창현;김현주;김영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6-13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of breast cancer and performance rate of breast self examination (BSE), physical examination and mammograph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64 women from an outpatient breast clinic of a university hospital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07 to February 2008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2$ test, logistic analysis. Results: The rate for BSE was 58.3%, for physical examination, 55.3% and for mammography experience, 63.4%. Women with all of these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accounted for 31.8% of the participants. Various factors such as age, income, marital status, and menopause showed increased significant performance rate. The explanation power of logistic model was 48.5%, and was significant for age, income and health belief. Factors related to high performance rate were being over 40 years of age, high income and high health belief score. Conclusion: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s were not high in spite of marked increases in breast cancer incidence. Encouragement for women practicing early detection behavior is important, but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low performance group. More sustained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re needed to further improve active early detection behavior.

미국 이민 한국 중년 여성의 유방자가검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Frequency of Breast self-examination in Korean Immigrant Middle-aged Women in the U.S.)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06-61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자가검진(BSE)의 지식정도, 훈련도, 숙련도 및 빈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BSE 빈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미국에 이민 온 40세-60세 사이의 중년 여성 58명으로 와싱톤주의 시애틀과 타코마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도구는 미국암협회의 BSE 안내책자를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한국교회 4곳으로부터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대상자들의 연구동의를 얻은 후 우편으로 질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0년 3월 6일부터 2000년 5월13일이었으며. 질문지 회수율은 7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요 변수사이의 관련성에서 그 이전연구 결과와 대개 일치하였다. 대상자의 BSE 빈도는 년간 10회-12회 실행이 21.08%이였고, 전혀 실행하지 않는 정도가 4.80%를 차지했다. BSE 빈도와 관련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나이는 BSE 빈도와 역상관 관계(r=-.289, p=.038)를 나타냈고, BSE 훈련에 대한 지도(r=0521, p=.000). BSE 지식에 대한 기술(r=.573, p=.000) 및 BSE 숙련도(R=.694 P=.000)는 BSE 빈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BSE 빈도의 가장 유의한 예측변수로서 BSE 지식에 대한 기술(beta=.5813. p=.003)로 지지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간호사가 이민 온 한국 중년여성들의 BSE실행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 유방암의 조기발견에 대한 예방적 행위를 증진시키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PDF

일 지역 여성의 유방암 위험요인과 유방암 조기검진 행위 분포 (Risk Factors and Early Screening Behavior for Breast Cancer in Rural Women)

  • 허혜경;박소미;김기연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1
    • /
    • 200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nd early screening behavior in women in the communit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25 women residing in W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x^2$ test. Result: For risk based on the Gail Model, age (above 50 years) had a distribution of 24.8%, first degree family history, 4.9%, age at first full term pregnancy, 13.8%, and benign breast cancer history, 4.9%. For risk based on other common risk factors, menopause had a distribution of 20.7%, did not breast feed, 15.4%, history of HRT, 7.3%, meat preference, 35.0%, and history of smoking or drinking, 2.4% and 43.5%,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SE and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x^2=22.5$, p<.00), but no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risk factors and screening behavior. Conclusion: For effective prevention of breast canc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risk assessment and, through assessment, select women at high risk.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appropriate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behavior.

  • PDF

Effect of an Integrated Breast Health Program for Pregnant Women on Knowledge, Attitude, and Early Screening Practice Related to Breast Cancer

  • Jun, Eun-Young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6-196
    • /
    • 2021
  • Purpose: Breast cancer is becoming increasingly prevalent among young Korean women. During pregnancy, women's concern regarding their breasts heightens. Thus, pregnancy provides a window of opportunity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long with antenatal care.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n integrated breast health program for pregnant women.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22 experimental, 29 control). Women pregnant for over 28 weeks participated. The two-session integrated breast health program focused on breast management during breastfeeding and education about breast cancer prevention and early screening. Results: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within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SE at 6 and 12 months after the program and mammography at 12 months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breast examination and breast ultrasonography at 6 and 12 months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integrated breast health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and improving attitudes regarding breast cancer, BSE, and early screening practices among pregnant women. Further studies should consider providing breast health programs differently for each phase of pregnancy and continuing the same after deli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