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농업 자재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provement of Evaluation for the 'Public Announcement for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List and Quality Standard'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기준 및 품질규격 평가개선 연구)

  • Kim, Hyuck-Soo;Ryu, Jong-Hee;Lee, Sang-Min;Kim, Ky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9-280
    • /
    • 2009
  •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해 유기농산물 생산이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유기농업의 관심증대는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자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친환경농업육성법 제7조에 따른 별표1에 유기농산물 생산을 위해 사용이 허용된 자재 119종을 명시하였다. 또한 이를 원료로 한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해 농촌진흥청에서 고시한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기준 및 품질규격'에 따라 제품을 평가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목록에 등재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친환경유기농자재 등록을 위한 안전성 평가 항목을 유럽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기 농자재 목록공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FiBL(스위스 국제유기농업연구소)의 평가 항목과 미국 OMRI(미국 유기농자재 평가원)의 평가 항목을 비교하여 도입이 가능한 항목을 검토, 제안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항목의 국 내외 기준 평가와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의 국제 규격 부합도 평가, 두 가지로 구분되며, 친환경유기농자재 평가항목의 국 내외 기준 평가 결과 선진국의 평가 항목에 비해 평가항목들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고 검토과정이 서면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평가에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OMRI 및 FiBL의 평가항목 중 국내에 도입 가능한 항목을 수집하여 평가항목 개선방안(표 1)을 제시하였다. 국제 규격 부합도 평가 결과 친환경유기농자재 관련 법규 및 규정의 분산으로 인해 생산자 및 수요자가 자재 등록 및 사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고, 미국 OMRI의 경우 자재를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하는 절차에 반해 우리나라의 경우 전문기관과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평가결과에 대해 수요자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다. 환경위해성 및 독성에 대한 안전성 강화를 위해 전문기관과의 협의 및 심의 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올바른 관리를 위한 자재 종류별 최소한의 담당 전문가 배치가 필요하다.

  • PDF

The application effective investigation of Organic materials from organic farming village (유기농업 시범마을에서 유기농자재의 활용 효과)

  • Kwon, Young-Rip;Kim, Kab-Cheol;Moon, Young-Hun;Ahn, Byung-Koo;Choi, Dong-Ch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13-313
    • /
    • 2009
  • 지속 가능한 농업과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을 유지시키면서 환경부담 물질 투입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농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유기농자재 사용실태 및 효과를 조사했다. 전북 익산시 웅포면 유기농업 시범마을 현지 농가에서 사용 중인 유기 농자재의 실태를 조사하고 또한 유기농자재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유기농 자재 시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시범마을 현지 농가포장에서 삼광벼 품종으로 포트 육묘 후 기계이앙을 실시하고 유기농자재를 시용하여 조사하였다. 유기농업 종합기술 시범마을에서 활용중인 유기농자재는 27.5%가 유기농 목록에 공시된 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시범마을에서 활용중인 유기농자재의 성분 중 수분은 평균 50.1%, 유기물함량은 36.0%, 총 질소함량은 1.71% 이며 염분은 0.56% 이였다. 경종방법과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기농 벼 재배 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시험포를 조성한 지역에서 토양의 화학성분을 조사한 결과 pH, 마그네슘, 규산은 망성 단지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고, 유기물, 인산, 규산, 칼륨은 삼기단지에서 높았다. 포트육묘 후 이앙을 실시한 결과 단위면적당 이앙주수별 생육에서 재식밀도가 높을 수록 초장과 경수가 적었다. 산파육묘와 포트육묘 이앙 모두 도복 발생은 없었으며, 포트 육묘 3절의 두께가 양호하였다. 쌀겨 시용에서 잡초발 생량이 적었으며, 포트육묘 이앙에서 병해충이 적었다. 수량은 산파육묘에 비해 포트육묘 방식에서 5~10% 높았는데, 포트 육묘에서 주당 수수, 수당 립수가 많았고, 천립중이 무거웠다.

  • PDF

Changes of the Soil Physic-Chemical Properties and Rice Productions with Organic Materials used in Organic Culture (벼 유기재배에 있어서 유기자재처리에 따른 토양 및 수량 특성 변화)

  • Kim, Hyun-Woo;Kim, Sun-Kook;Seo, Youn-Won;Kim, Hong-Jae;Son, Bo-Gyon;Chung, Dou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86-286
    • /
    • 2009
  • 벼 유기재배시 토양양분공급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자재(금수강산골드)를 대조로 하고 식물성유기 자재(쌀겨팰렛), 동물성유기자재, 식물성과 동물성이 혼합된 유기자재를 질소 성분량(7kg/10a)을 기준으로 하여 이앙 20일전에 전량 기비로 시비하고 경운한 다음 동진1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2년연속 유기 자재와 벼를 재배하면서 일어나는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 생육 및 특성의 변화를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의 화학성은 전반적으로 유기물은 높고 인산함량은 매우 낮은 조건의 토양이었다. 관행유기자재(금수강산골드)는 20일경에 50% 무기화율을 보였으나, 식물성자재 40~60일경, 동물성자재와 혼합자재(식물성+동물성)는 60~80일경에 47~52% 무기화 정도를 나타내 식물성 자재의 무기화 속도가약 20일정도 빨랐다. 토양 중의 유기물 잔존함량은 식물성자재 > 혼합자재 > 동물성자재 > 관행 순이었으며, 토양 중의 전 질소 잔존함량의 경우 관행유기자재는 처리초기부터 빠르게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나, 식물성자재와 혼합 자재는 시비초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동물성 자재는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토양 물리성은 액상과 공극율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식물성과 혼합유기자재처리구가 컸으며, 토양 유효 입단 형성력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벼 수량 특성은 관행유기자재보다 1년차에는 3~9%의 낮았으나, 2년 연속처리를 할 경우 관행유기자재를 처리할 때와 동일한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PME와 $\beta$-Glucosidase의 효소활성은 관행유기자재 < 식물성자재 < 동물성자재 < 혼합유기자재의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 PDF

Susceptibility of Asian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siatica) to Commercial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시판 유기농업자재에 대한 아시아 매미나방 감수성)

  • Young Su, Lee;Hee-A, Lee;Hee-Ok, Mi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1 no.4
    • /
    • pp.689-690
    • /
    • 2022
  • To establish a control strategy for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siatica), a sporadic pest,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21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as tested at recommended concentration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mong these, 11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showed more than 90% insecticidal activity. In response to the PLS(positive lis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trol of gypsy moth and developmen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유기농업과 퇴비제조 기술

  • 이태근
    • 농업기술회보
    • /
    • v.39 no.6 s.467
    • /
    • pp.34-39
    • /
    • 2002
  • 퇴비를 포함하여 지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이 생산$\cdot$이용되고, 분해되면서 자연계 내에서 순환한다. 환경농업에서는 다양한 유기질 자재를 이용하여 양분의 공급, 토양성질의 개선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화학 비료가 같지 못하는 토양개선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품질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환경농업에 이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자재의 이해를 돕고, 그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 PDF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Tuber Rot of Gastrodia elata Caused by Fusarium spp. (천마 괴경썩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 Kim, Chang-Su;Lee, Han-Na;Kim, Hyo-Jin;Seo, Sang-Young;Jo, Jong-Hyun;Lee, Eun-Suk;Ahn, Min Sil;Kim, Hee-Ju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9 no.4
    • /
    • pp.561-57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icacy of the organic farming materials (OFMs) on tuber rot of Gastrodia elata caused by Fusarium spp. The antifungal activities in vitro as well as the suppressive effect of 15 OFMs on the spore germination and germ tube growth by inoculating spore suspension on immature tubers in vivo were investigated. 7 OFMs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Fusarium spp. and 7 of them were microbial agents. In the screening using immature tubers, 3 OFMs were very effective with control efficacy value of 70%. Among them, sulfur provided suppressive effect on both mycelial growth and spore germination against tuber rot of G. elata. Finally, 3 OFMs were selected to test the protective and curative effects, and all chosen OFMs significantly suppressed disease incidence when applied in the preventive action, in comparison with the curative action. Especially, sulfur and Bacillus subtilis gave excellent protective control efficacy with control values of 93.2% and 86.9%, respectively, whereas its curative control effect was relatively low (73.3%, 60.2%). On the other hand, the preventive and curative effects of citronella + paraffin oil + ethyl alcohol were 73.3% and 67.0%,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uber rot of G. elata can be controlled by some OFMs in the rain shelter greenhouse under continuous cultivation condition and protective treatment is more important and efficient.

건강과 자연농업-제228호

  • Jeong, Jin-Yeong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28
    • /
    • pp.1-12
    • /
    • 2006
  • 학교급식,"친환경유기농 식단"이 대안/어린애들의 성조숙증에 경악하며/우리의 산야초/규산질비료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아이에게 과자 주느니 담배를 권하라"/노화의 주범, 활성산소를 없애자/아이들건강과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전환/아태 유기농업현황/"유기식품촉진 제도정비 절실"/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친환경 농산물 대량 소비처 발굴/벼 육묘시 발생하는 병해들/장마철,작물의 탄저병 방제/봉화 소천 친환경농업인/"유기농.축산자재 검증.인증"심포지엄/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 실태/해충의 습성을 이용한 퇴치/6월중 새식구 명단/제주농업,몽골 땅에 유기농생산기지 건설/'06년도 경북도지부 지회장단 연찬회 개최/소비자 유기농업 교육 및 현장체험 행사/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환한 연구/한국유기농업학회,친환경 유통.소비확대 방안 심포지엄/친환경농업 교과서 수록해야/전남여성농업인'친환경 실천대회'/당도진단/농촌진흥청,'친환경농자재 공시제 추진'

  • PDF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한국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도)

  • Lee, Sang-Beom;Seung, J.O.;Kim, S.S.;Kim, B.S.;Lee, B.M.;Oh, Y.J.;Kang, C.K.;Choi, K.J.;Hong, M.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6
    • /
    • 2009
  • 민간단체들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시작된 국내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1997. 12.13)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의 친환경농업 활성화 노력과 더불어 2008년 유기농재배 농가(8,460호)와 면적(12,033호)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농업의 확산과 더불어 화학비료 및 유기합성 농약대체 친환경농자재들의 유통이 증가되고 있으나 관리규정이 없어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농자재들이 유통되어 친환경실천 농가들의 혼란이 초래되어 국정감사 시 문제점으로 지적과 함께 각계에서 관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9964호, 2007.3.27.공포, 2007.3.28.시행)으로 농촌진흥청에 친환경농자재심의회가 설치되어 효과와 효능을 검증하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 생을 해 사용가능한 자재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는 목록공시제가 마련되었다.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는 1년에 4회 매분기말에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에서 접수를 받아 친환경농자재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수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농촌진흥청장이 공시(농진청 홈페이지, 관보게재)하고 친환경농업 관련기관 및 검토 신청자에게 통보함으로서 마무리된다.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친환경농자재심의위원회는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병 해충 관리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및 심의위원회 의원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1월 30일 현재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은 (1) 양개량용 자재 25 개, (2) 작물생육용 자재 282개, (3)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 308개, (4) 작물병해 관리용 자재 110개, (5) 작물충해 관리용 자재 : 224개, (6) 작물병해충 관리용 자재 5개 및 (7) 기타 자재 1개 제품으로 총 955개 제품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공시연장 미신청, 현재 검토기준안에 필요로 하는 추가요청 자료 미제출 및 공시이외의 물질 사용으로 국내유통 중 단속되어 부적합한 판정을 받아 20여 제품이 목록공시가 취소되었다. 앞으로 목록 공시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제품의 주성분 함량 표기, 시용효과 검정방법 선, 제조방법 현장점검, 안전성 검정 등 여러가지 제도보완 및 사후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Suppressive Effect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Tomato Gray Mold (토마토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유기농업자재의 억제효과)

  • Hong, Sung-Jun;Kim, Yong-Ki;Shim, Chang-Ki;Kim, Min-Jeong;Park, Jong-Ho;Han, Eun-Jung;Jee, Hyeong-Jin;Kim, Suk-Chul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3 no.3
    • /
    • pp.567-582
    • /
    • 2015
  • Botrytis cinerea infects stems, leaves and fruits of greenhouse tomato and can cause serious economic lo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organic farming control method against tomato gray mold. Twenty two organic farming materials including mineral and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 suppressive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in vitro and in vivo. Among the organic farming materials, sulfur, copper, Chinese twinleaf extract and rhubarb extract decreased by 51.7-90% of the spore germination of Botrytis cinerea. Also, gray mold incidence was reduced more than 90% on tomato stems by treating sulfur, seaweed extracts, rhubarb root extracts and Chinese twinleaf extract. After the selected four organic farming materials were applied on tomato cultivated in greenhouse, their control effects against the tomato gray mold were tested. When the water soluble sulfur was foliar-sprayed on the tomato leaves infected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spore suspension of Botrytis cinerea, it showed 87.9% of control value. Also, control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sulfur was paralleled with chemical fungicide, diethofencarb+carbendazi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ndicate the sulfur formulation can be used as chemical fungicide alternatives for controlling tomato gray mold in the green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