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확인

Search Result 8,19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mplementaion of Home Healthcare System for a Patient using SAW Tag (SAW 태그를 이용한 재택환자 종합관리시스템 구현)

  • Song, Jai-Chul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3
    • /
    • pp.183-188
    • /
    • 2017
  • This paper is for the a study on home healthcare system for a patient using SAW Tag. This system is useful when there's a patient in home. Many patients are wounded in restroom. But restroom is very private place and nobody want to be disturbed here. The place where the patient is most injured in the house is the toilet, and it is the point where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should be kept and the patient's condition should be checked and cope with in case of emergency. And using saw tag, we can calculate position and ID through reflected rf signal. Therefore we propose a general home healthcare system. The management system utilized a seat bed system to monitor at-home patients. The system mounts a bio-signal measuring unit on a toilet seat, measures a bio-signal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and the measured bio-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server through the user's smart phone. With proposed system, we can expand operation area to silver town where many patients are ca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sensor system and saw tag positioning system and showed the result.

The Study of Moderated Mediating Model on SEM: Focusing on Expectancy Disconfirm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LBS Application (기대불일치가 스마트폰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 만족도,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절된 매개모델을 중심으로)

  • Kim, Hyo-Jung;Rha, Jong-Yo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119-132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usage moderated mediating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i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ocation-Based application's Expectancy disconfirmation, Location-Based application's satisfaction, Location-Based application's continuous usage intention, service trust.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two model were compared: one was free model(positive/negative) and the other was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positive/negative). A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research model.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Ssupport the research hypotheses.

Effects of Slope Location on the Boundary Condition in the 1g Shaking Table Test (1g 진동대시험에서 사면의 위치에 따른 경계조건 영향평가)

  • Jeong, Sugeun;Jin, Yong;Kim, Daehey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4
    • /
    • pp.535-545
    • /
    • 2022
  •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ground in seismic design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behavior of the ground under seismic loads. The shaking table test is an important methodology to provide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nfluence on boundary conditions, as they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test. This was achieved by testing the influence of boundary conditions on the seismic responses of model slopes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testing apparatus. A model slope was fabricated at different locations in a laminar shear box, and the influence of the boundary conditions was then measured. Each model slope was created at 100, 50, and 25 cm from the soil wall, and sine wave seismic loads of the same size were input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acceleration was amplified by the influence of the boundary in the case of the slope being located 25 cm from the boundary, whereas the influence of the boundary conditions decreased when the slope was located at 50~100 cm.

ARVisualizer : A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Approach for Indoor Building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 Kim, Albert Hee-Kwan;Cho, Hyeon-Da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4
    • /
    • pp.455-465
    • /
    • 2008
  • Augmented reality (AR) has tremendous potential in visualizing geospatial information, especially on the actual physical scenes. However, to utilize augmented reality in mobile system, many researches have undergone with GPS or ubiquitous marker based approaches. Although there are several papers written with vision based markerless tracking, previous approaches provide fairly good results only in largely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current position become more complex problem when it is used in indoor environments. Many proposed Radio Frequency (RF) based tracking and localization. However, it does cause deployment problems of large RF-based sensors and reader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ble markerless AR approach for indoor (possible outdoor, too) navigation system only using monoSLAM (Monocular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 building) algorithm to full-fill our grand effort to develop mobile seamless indoor/outdoor u-GIS system. The paper briefly explains the basic SLAM algorithm, then the implementation of our system.

  • PDF

Correction of discharge data_Case of measurement location separated from the gauging station (유량자료의 보정_관측소와 이격된 측정위치 경우)

  • Hwang-Bo, Jong Gu;Baek, Kyung Ho;Yun, Hyun 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9-319
    • /
    • 2021
  • 유량측정은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위치가 변동된다. 도섭법은 관측자가 직접 하천을 횡단하며 측정하는 방법이며 수심이 얕은 경우 가능하다. 보트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을 덜 받으며 교량법의 경우 이용 가능한 교량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량법은 현장여건에 따라 관측소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측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한다면 그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서는 관측소와 측정위치가 멀리 떨어진 경우 측정된 유량을 보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량 보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이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특히 외삽부분에서 큰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현저하게 먼 경우 유량 보정방법을 살펴보고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상지점인 낙동강 유역의 안동시(운산리) 지점은 홍수측정위치와 수위관측소 위치가 약 1.7km 이격되어 있으며, 2020년 측정성과(부자)를 이용하여 이를 보정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보정결과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이 최고 5.0%, 평균 3.7%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동시(운산리)지점은 2020년 측정 최고수위가 3.35m이며, 이는 평수위에서 약 2.00m 가량 상승한 것으로 최고 홍수위로 보기는 어렵다. 즉 이보다 더 큰 홍수 사상이 발생하여 수위가 더 상승한다면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이격된 경우 측정된 성과가 루프(Loop) 형태를 보일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mart phone based Locatio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스마트폰 기반의 위치 정보 공유 시스템 개발)

  • Cho, Kyu Cheol;Kim, Min 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21-22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모델2(MVC) 패턴을 기반으로 구글맵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와 자신과 상대방의 위치가 활성화가 되어있을 때 상대방의 위치까지 확인이 가능한 System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안드로이드 4.2이상 버전의 스마트 폰 Application으로 개발하였다. Client에서는 J-Query Mobile, cordova를 사용하였고 Ajax, json 방식으로 서버에게 사용자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송 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보호자들은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피보호자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PDF

고정밀 위치 측정이 가능한 카오스 로봇

  • Bae 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3-228
    • /
    • 2006
  • 카오스 로봇의 하드웨어 구현에서 로봇의 자체 또는 바퀴가 정확하기 자기 위치를 인식하고 지지한 방향과 거리만큼 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위치 측정이 가능한 카오스로봇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존의 마그네틱 자이로 센서가 가지고있는 문제점인 주변의 자성의 영향으로 정확한 자기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새로운 각 속도 센서를 사용하여 자기 위치 보정능력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방향을 움직일 수 있는 카오스 로봇을 설계하였다.

  • PDF

A Design of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Moving Targets with Ultra-Acoustic Sensor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표적 위치추적 시스템 설계)

  • Lim, Joong-S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88-19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위치추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위치 추적 시스템은 4 개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서 각 센서에서 탐지되는 표적까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좌표(x,y)를 구하였다. 특히 초음파 센서가 가지고 있는 빔폭 특성을 고려하여 4 개 센서 중 2개 센서에만 표적이 탐지될 경우 표적의 위치를 최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을 하드웨어에 장착하어 감시시스템이 실시간 양호하게 구동하는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PI-PD Controller Design for Position Control of an IPMSM (IPMSM의 위치제어를 위한 PI-PD 제어기 설계)

  • Jang, Ju-Hyeong;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97-98
    • /
    • 2016
  • 본 논문은 위치, 속도, 전류 제어기들이 직렬로 연결된 전동기 구동시스템에서 속도 제어기를 사용하지 않는 위치 제어를 위한 PI-PD 제어기 설계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PI-PD 위치 제어기 설계법과 달리 제안된 제어기의 설계법은 위치 제어기의 대역폭에 따라 이득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안된 위치 제어기 설계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IPMSM 구동시스템에서 실험을 통해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Experiments and its analysis on the Identification of Indoor Location b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LED lights (LED 조명 기반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실험 및 분석)

  • Kong, In-Yeup;Kim, Ho-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5
    • /
    • pp.1045-1052
    • /
    • 2011
  • Recently, because of complex cultural space, underground space are becoming larger. Therefore, the demand for location-based services is growing. 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s based on the LED lighting infrastructure so that suitable LBS (Location-based service) is possible for the targeted places in indoor space. To experiment with indoor LBS by VLC, we measure the identification distance according to variable angles between LED and photo diode. We send the different ASCII code for each LED light, then we found the maximum identification distance is 1.75m from LED lights.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 show that indoor navigation is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