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축아동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4초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Maltreatment By Parents On Teenagers'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Cell Phone Dependency)

  • 김옥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해보고, 나아가 사회적 위축 및 휴대폰 의존도가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5차년도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총 1,969명의 청소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방법은 SPSS 18.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는 청소년의 우울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과 청소년의 우울과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 김지영;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2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 4학년 패널 자료 중 2016년 7차 연도 자료 1,9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공동체 의식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위축을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감소된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 관련 공동체 의식 약화를 다룰 때, 의존과 사회적 위축, 공동체 의식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융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이상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9-127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 1패널의 제4차 년도(2021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는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SmartPLS 3.0을 이용하여 부분최소제곱법 기반의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우울과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매개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업 무기력에 대한 접근 시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과의 영향 관계를 고려한 전략이 요구된다.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Developmental Pathways from Child Abuse to Peer Rejection)

  • 정익중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9-95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al pathways mediating effects of child abuse on peer rejection. Participants were 904 poor children aged 10-15 from 16 nationwide cities/provinces who receive financial sponsorship from Childfund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child abus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heightened risk of rejection by peers; the relationship was indirectly mediated by aggression and cognitive ability. The hypothesized partially mediated model had a better model fit than the fully mediated model. Aggression and low cognitive ability, significant effects of abuse, were associated with peer rejection. Social withdrawal, also associated with child abuse, did not accoun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abuse and peer rejection.

  • PDF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Relations among Toddler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an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 박보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67-8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toddler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and toddler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e hundred and two mothers of two-year-old children (49 boys and 53 girls)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Q-sort.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First, toddlers' pleasure was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while social fearful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Also,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Second, the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in maternal parenting was negatively linked to toddlers' social withdrawal, and maternal rejection was positively linked to toddlers' aggression. Third, toddlers' pleasure and interest/persist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and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rejection. Finally, mothers'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acted as a mediator between toddlers' pleasure and social withdrawal. Also, toddlers' activity level and anger proneness influenced aggression through maternal rej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oddler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play crucial roles in the development of toddlers' maladaptive behaviors such a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and Abuse on the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 박기원
    • 아동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5
    • /
    • 2014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a sample of 2,163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1,096 boys and 1,067 girls)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set. All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y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abuse had no direct effect, but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Parental neglect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social withdrawal.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al neglect is a more significant contributor than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ing attitude, more specifically parental neglect, tend to be more important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parental neglect and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need to be emphasized if adolescents are to better adjust to school life.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 김현순;최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40-3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된 융합요인: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Korean Adolescent: Focusing on th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6)

  • 류정림;홍소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0-188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 1,881명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신체 증상, 사회적 위축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신체 증상이 우울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 공격성, 신체 증상,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우울을 54.1%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및 실천적인 개입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 및 부모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 분석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김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81-6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지지체계인 또래 관계 및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심리·사회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함이다. 연구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2018년도 데이터이고,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2,40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분석, 평균중심화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위축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 위축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 애착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 애착의 수준에 따라 사회적으로 위축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위축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높은 집단은 사회적 위축이 높을 경우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위축이 높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의 방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ocial Withdrawal on the Community Spirit of an University Stud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and the Aggression)

  • 정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3-203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예측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YPS) 7차(2016년) 데이터에서 대학교 1학년인 대상자 총 1,347명을 사례자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분석방법으로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 매개경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예측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간접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연관된 사회복지학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