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Social Withdrawal on the Community Spirit of an University Stud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and the Aggression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정일영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1.07.22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and the aggression within the path which the social withdrawal have explained the community spirit of an university stud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have chosen a total of 1,347 cases as an analysis target from the Korean Youth-Child Pannel Study(KYPS) 7th wave. And this study hav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from AMOS 18.0 as an analysis method. This study have also used sobel test for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ting path. This study found thes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method which this study have suggested. First, this study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direct path that the social withdrawal predicted the community spirit of an university student. Second, this study have f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ating path composed by the mobile phone addiction and the aggression. As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ve proposed the implication for the community spirit of an university student and suggestion for a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예측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YPS) 7차(2016년) 데이터에서 대학교 1학년인 대상자 총 1,347명을 사례자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분석방법으로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 매개경로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을 예측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휴대전화 중독과 공격성의 간접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에 연관된 사회복지학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산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Umeda, M., & Kawakami, N.(2012). Association of childhood family environments with the risk of social withdrawal ('hikikomori') in the community population in Jap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6(2): 121-129. https://doi.org/10.1111/j.1440-1819.2011.02292.x
  2. 이소연(2020). 스마트폰과 물아일체, 새로운 소비 권력 된 신인류 '포노 사피엔스'. 이코노미조선, 2020. 11. 29.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26/2020112601597.html
  3. 김종민(2020). 대학생 58.8% '나 혼자 산다', 한 달 생활비 평균 61만원. 뉴시스, 2020.2.28.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228_0000935617&cID=13001&pID=13000
  4. 김현정(2015). 대학생 시민의식 '최하위'... "나만 잘되면 돼". 머니투데이, 2015. 1. 2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5012218418520783&outlink=1&ref=https%3A%2F%2Fsearch.daum.net
  5. 김귀환, 어흥선, 나직균, 김철진, 문제영(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3판). 서울: 정민사.
  6. 오민아, 조혜영(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25-137. https://doi.org/10.7466/JKHMA.2017.35.1.125
  7. 장수빈(2019).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목표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6(2): 107-139.
  8. 윤영, 백아롱(2021).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공동체역량 관계에 대인관계 및 배려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8(6): 261-288.
  9. Tian, Y., Qin, N., Cao, S., & Gao, F.(2021).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shyness, self-esteem, loneliness,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Chinese adolescent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29(2): 98-110. https://doi.org/10.1080/16066359.2020.1755657
  10. 박예슬, 이지혜(2019). 부모의 방임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0(3): 13-26.
  11. 정일영(2019a). 또래애착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62: 77-105.
  12. 박형빈(2016).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홍석기, 하문선(2017).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휴대전화 의존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8(3): 269-293.
  14. Zimmer-Gembeck, M.J., Nesdale, D., Webb, H.J., Khatibi, M., & Downey, G.(2016). A Longitudinal Rejection Sensitivity Model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Unique Roles of Anxiety, Anger, Blame, Withdrawal and Retribut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4(7): 1291-1307. https://doi.org/10.1007/s10802-016-0127-y
  15. 서수균(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01-919.
  16. 조정숙, 박경애(2021).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상담심리복지교육, 8(1): 25-40.
  17. 구자규, 선제구(2021). 수동 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34(3): 415-446.
  18. 조성휘, 가요한(2020). 기독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전위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1(4): 261-289.
  19. Enez Darcin, A., Kose, S., Noyan, C.O., Nurmedov, S., Yilmaz, O., & Dilbaz, N.(2016).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35(7): 520-525. https://doi.org/10.1080/0144929X.2016.1158319
  20. Jiang, Q., Li, Y., & Shypenka, V.(2018). Loneliness, Individualism,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1(11): 711-718. https://doi.org/10.1089/cyber.2018.0115
  21. 김규림, 황혜원(2020).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9): 615-627.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615
  22. 신윤정, 전주람(2020). 대학생의 그릿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동체 의식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965-991.
  23. 김지영, 이혜경(2020).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273-2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4.273
  24. 김선희, 김경연(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155-166.
  25. 정계숙, 박희경(2019). 예비 특수교사의 대인 관계 스트레스, 공동체의식 및 불안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3): 1-30.
  26. 방성아, 박희서(2018). 사회적 위축과 우울감이 청소년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보학회논문지, 23(11): 203-209.
  27. 송인한, 권세원, 김성은(2014).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8): 185-211.
  28. 정일영(2019b).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중독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3(3): 232-264.
  29. 구미령, 유진은(2021).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이용한 아동.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59(2): 361-386.
  30. 민정식(2017).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공동체 의식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실재감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153-164.
  31. Bowker, J. C., Markovic, A., Cogswell, A., & Raja, R.(2012). Moderating Effects of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and Peer Difficulties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1(8): 995-1007. https://doi.org/10.1007/s10964-011-9712-0
  32. 김민서, 전수영, 조연수, 전훈정(2018). 비행 경험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1): 1-9. https://doi.org/10.15434/KSSH.2018.31.1.1
  33. 정일영(2019c). 부모 학대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56: 103-130.
  34. Calkins, S.D., & Fox, N.A.(2002). Self-regulatory processes in early personality development: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study of childhoo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4(3): 477-498. https://doi.org/10.1017/S095457940200305X
  35. 이원식(2018).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3): 75-10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3.75
  36. 김진구(2017). 초기 청소년기의 또래네트워크가 공격성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3): 331-347.
  37. 김진구, 박종효(2015).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3(4): 207-231.
  38. 박우람, 홍상황(2015).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6(2): 285-302.
  39. 위유라, 노충래(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40. 권혜원(2003).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연구보고서.
  42. 조붕환, 임경희(2003).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746.
  43. 양은석(2012). 지방대 대학생의 게임중독성향과 스포츠몰입 및 대학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93-102.
  44. 김순이(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25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