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 탐지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3초

정책기반의 분산서비스거부공격 대응방안 연구 (Policy Based DDoS Attack Mitigation Methodology)

  • 김혁준;이동환;김동화;안명길;김용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5호
    • /
    • pp.596-605
    • /
    • 2016
  • 2009년 이후 정부 및 민간부문에서는 DDoS 방어체계 구축을 위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왔으며, 그 결과 많은 정부 및 민간분야에 DDoS 대응을 위한 전용장비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관 역시 DDoS 공격 발생 시 성공적인 방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DDoS 대응 장비가 특정 공격 행위에만 대응할 수 있는 시그니처 중심의 방어 구조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방어자원 관점의 정책적 대응방법을 통할 경우, 공격 기법과 상관없이 서비스 자원의 가용성 확인을 통하여 시스템 이상여부 및 공격 유형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격에 대한 대응 정책 또한 손쉽게 도출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공격 행위 중심의 방어체계에서 벗어나 방어자 관점의 DDoS 탐지 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정책기반 서비스거부공격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XACML 정책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문맥적 요소 및 추가 정보의 효과적인 수집 방안 (Effective Methodology for Collecting Contextual Factors and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XACML Policy Evaluation)

  • 안윤근;이기찬;이욱진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82-87
    • /
    • 2018
  • 접근 제어 분야에서 정책 충돌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이슈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해결 방법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정책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돌 원인을 먼저 확인해야 하며, 이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써 정책 평가 결정에 영향을 준 정책의 문맥적 요소를 탐지할 필요가 있다. XACML 정책 언어 명세에 이를 정의하는 기능이 있으나 정책 작성자가 모든 문맥적 요소마다 일일이 정의해야 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정책 충돌의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문맥적 요소 이외에 다른 정책 조합 알고리즘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 충돌의 원인이 되는 문맥적 요소 및 추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필라멘트 와인딩으로 저작된 복합재 압력용기에서 탄성파 발생원의 위치표정 (Acoustic Emission Source Location in Filament Wound CFRP Pressure Vessel)

  • 김정곤;원용구;권오양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9-444
    • /
    • 2003
  • 구조물이 하중을 받았을 때 손상부에서 발생하는 탄성파인 AE는 이를 탐지함으로써 손상부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복합재료 구조에서의 위치표정은 탄성파의 전파속도가 섬유의 방향에 의존하는 이방성의 문제로 인하여 전통적인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알고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정확도가 매우 낮으며, 미지의 발생윈을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새로이 개발된 바 있는 이방성을 고려한 위치표정 방법이 실제 복합재 구조물에 적용될 경우에도 정밀도와 정확도 면에서 실용적인 방법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구조체인 복합재 압력용기가 비어있을 경우와 물을 가득 채운 경우에 대하여 $0^{\circ}$(축방향)에서 $90^{\circ}$(원주방향)까지 모든 방향별 속도를 고려한 위치표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를 위한 REDD 메커니즘 사전 검토 (A Preliminary Review of REDD Mechanism for Rehabilitating Forest Degradation of North Korea)

  • 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91-498
    • /
    • 2013
  • 북한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한 남북한 협력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의 적용 가능성을 사전 검토하였다. 북한은 기후변화협약이 국가 단위의 REDD+ 메커니즘의 이행 조건으로 요구한 REDD+ 국가 전략 수립과 산림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비하지 못하였다. 또한 북한은 REDD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한 토대인 산림자원 통계의 신뢰성 역시 부족하였다.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한 산림면적 자료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림자원 통계는 신뢰할만한 산림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단순한 가정을 기초로 추정된 것이다. 이러한 검토 결과는 북한이 산림황폐지 복구 수단으로 REDD 메커니즘을 당장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REDD 메커니즘을 북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 주제와 남북한 산림부문의 협력 의제를 제안하였다. (1) 최소한 2000년 이후 북한지역의 토지이용변화 탐지, 탄소축적변화 추정 및 산림전용 산림황폐화의 원인 구명 연구가 필요하다. (2) 남북한의 REDD+ 협력은 북한의 'REDD+ 국가 전략 수립' 및 '국가산림조사 체계 구축' 부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자세 기동을 고려한 항공기 탑재 다기능 레이다 통합 시뮬레이터 구현 (Implementation of Airborne Multi-Function Radar Including Attitude Maneuvering)

  • 고재열;박순서;최한림;안재명;이성원;이동희;윤정숙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225-236
    • /
    • 2017
  • 본 논문은 항공기용 다기능 레이다의 성능 평가를 위한 레이다/환경 통합 시뮬레이터 구축 및 검증에 대해 설명한다. 항공기 운용 시나리오 구현을 위해 6자유도 동역학 모델을 적용하였다. 항공기 6자유도 강체 동역학 모델에서 항공기의 자세 기동을 고려한 궤적 생성을 위해 정상 상태 비행 평형점 탐색, 오토파일럿 설계, 항공기 유도 명령 생성을 진행하였다. 레이다 시뮬레이터 구축을 위해 레이다의 표적 탐지 및 측정 모델, 추적 필터를 포함하는 레이다 운용 모델이 고려되었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자세 기동을 고려한 다기능 레이다/환경 통합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고, 특정 공대공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레이다/환경 통합 시뮬레이터를 시험 및 검증하였다.

생존체계 위협조우 상황인지를 위한 복합/다중 위협상황 Emulation 연구 (A Study on Complex Threat Emulation for Situation Awareness of ASE System)

  • 이문석;이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180-2186
    • /
    • 2010
  • 무기체계의 현대화 및 복잡화에 따라 현대전 상황에서의 플랫폼 및 운용자에 대한 생존성 확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대 전장의 복합 및 다중 위협상황 무기체계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수의 무기체계 플랫폼에서 생존체계를 함께 탑재하게 된다. 생존체계는 무기체계 플랫폼을 위협하는 위협들을 탐지/식별하며 효율적인 대응을 통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상황인지를 가능하게 하고 플랫폼의 생존 능력을 향상시킨다. 생존체계가 보유하여야 할 중요 성능 인자는 복합 및 다중 위협에 대한 처리를 통하여 생존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 레이저, 미사일 단일 위협상황을 조합한 복합 위협상황을 다룸으로 하여 생존체계가 보유하여야 하는 위협통합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복합 위협상황을 Emulation하는 시스템을 실험실 환경에서 구현하여 위협통합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생존체계가 플랫폼 탑재 이전에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시한다.

Return-Oriented Programming 공격 방어를 위한 간접 분기 목적 주소 검증 기법 (Indirect Branch Target Address Verification for Defense against Return-Oriented Programming Attacks)

  • 박수현;김선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5호
    • /
    • pp.217-222
    • /
    • 2013
  • Return-Oriented Programming(ROP)는 기존 return-to-libc의 발전된 형태로 프로그램의 코드 영역에 있는 가젯을 조합하여 공격자가 원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코드 재사용 공격 기법이다. ROP 공격을 방어하는 기존 방어 기법들은 동적 실행 흐름 분석으로 인한 높은 성능 부하를 보이거나 ROP 공격에 대한 부분적인 방어만 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간접 분기 목적 주소 검증 기법(Indirect Branch Target Address Verification)은 간접 분기문의 목적 주소가 유효한지 검사해서 ROP 공격을 탐지하며, ROP 공격의 대부분을 방어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실행 흐름 분석이 필요 없기 때문에 낮은 성능 부담을 보인다. SPEC CPU 2006 벤치마크를 대상으로 한 성능평가에서 15%보다 적은 성능 부하를 보였다.

스캐닝 소너에 의한 어군량 추정에 있어서 어군의 기하학적 파라메터의 이용 (Use of Geographical Parameters of Fish School in the Estimation of Fish School Abundance Using Scanning Sonar)

  • 이유원;향정철;반전호이;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197-201
    • /
    • 2002
  • 어군의 기하학적 파라메터를 이용한 어군량 추정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소너와 계량어군탐지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소너 화상으로부터 어군의 기하학적 파라메터, 면적 및 체적을 계측하고, 계량어군탐지기로 측정한 면적후방산란계수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면적후방산란계수 (S/sub A/) 는 어군면적 (S/sub F/) 과의 사이에는 S/sub A/ = 78,842 S/sub F/ 0.46의 관계가 성립하였고 어군체적 (V/sub F/)과의 사이에는 S/sub A/= 30,895 V/sub F/ 0.37의 관계가 성립하였으며, 각각의 상관계수는 0.76 이었다. 2 소너로 관측된 어군의 기하학적 파라메터가 어획량이나 계량어군탐지기에 의한 면적후방산란계수와 유의한 상관이 있으면, 이들을 이용한 어군량 추정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를 이용한 유해적조의 실시간 음향탐지 시스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eal-time Acoustic Detection System of Harmful Red-tide Using Ultrasonic Sound)

  • 강돈혁;임선호;이형빈;도재원;이윤호;최지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15-26
    • /
    • 2013
  • The toxic, Harmful Algal Blooms (HABs) caused by the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ve a serious impact o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In this study, the acoustic detec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rapid HABs detection, based on the acoustic backscattering properties of the C. polykrikoides. The developed system was mainly composed of a pulser-receiver board, a signal processor board, a control board, a network board, a power board, ultrasonic sensors (3.5 and 5.0 MHz), an environmental sensor, GPS, and a land-based control uni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 trail was done at a laboratory, and two in situ trials were conducted: (1) when there was no red tide, and (2) when there was red tide. In the laboratory evaluation, the system performed well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 polykrikoides in the received level. Second, under the condition when there was no red tide in the field,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acoustic data and sampling data. Finally, under the condition when there was red tide in the field, the system successfully worked at various densitie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 polykrikoides, and the results corresponded with the sampling data and monitoring result of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From the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s, the developed acoustic detection system for early detecting HABs has demonstrated that it could be a significant system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HABs in coastal regions.

시간 영역 벌크 지표에 기반한 한국어 모음 'ㅜ'의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of the Korean Vowel 'ㅜ' Based on Time Domain Bulk Indicators)

  • 이재원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591-600
    • /
    • 2016
  • 네트워크와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이 생활하는 거의 모든 일상 환경에 컴퓨팅 기술의 접목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대되면서, 음성 인식은 중요한 HCI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논문은 음소 기반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일부로서, 한국어 모음 'ㅜ'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석 대신, 시간 영역에서 계산한 벌크 지표를 분석하여 동작하므로, 계산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벌크 지표를 사용하여 모음 'ㅜ'의 전형적인 파형 패턴들을 탐지하기 위한 네 가지 요소 알고리즘을 제시하며, 이를 결합하여 최종적인 판별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식이 90.1%의 인식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인식 속도는 어절 당 0.68 msec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