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지속의도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초

불매운동 지속의도 및 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여기간 및 강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The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Continuing and Stopping Boycotts: Focused on the Multi-Group Analysis by Participation Duration and Intensity)

  • 안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63-176
    • /
    • 2020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하게 요구됨에 따라 기업의 부당행위에 대한 소비자 불매운동이 증가하고 있다. 불매운동의 합법성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소비자 권익 및 사회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크기 때문에 불매운동을 효과적이고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불매운동이 대중화되어 가는 시점에서 불매운동의 지속 및 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불매운동 참여기간(저/고) 및 강도(저/고)에 따라 선행요인이 불매운동 지속 및 중단의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현재 불매운동에 참여 중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7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요인은 불매운동 지속 및 중단의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선행요인은 참여기간 및 강도에 따라 불매운동 지속 및 중단의도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체육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지도자의 매력성이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ttraction of Physical Educators Perceived by Physical Education Major Students at Universities on Their Pass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 김대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121
    • /
    • 2018
  • 체육전공 대학생이 인식한 지도자의 매력성이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 13부를 제외하고 최종 307부를 SPSS 18.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절차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 매력성은 운동열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매력성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열정은 운동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운동지속 행동의 사회심리적 결정요인 분석 (Analyses of Psycho-Social Determinants in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s for Older Adults)

  • 유진;이선애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13-1225
    • /
    • 2008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의 운동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결정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령자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지각, 역경의 상황에서도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는 믿음(자기효능감), 운동결과에 대한 기대와 평가(태도), 운동에 대한 주위 사람들의 의사를 따르려는 생각(집단동조)과 같은 사회인지적 요인들이 고령자들의 운동지속 행동(의도성, 실행력,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이라고 예상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서울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과 노인대학 등에서 선정된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453명(남: 171명, 여: 282명)이었다. 이들의 사회인지적 요인들과 운동지속 행동 요인들은 일련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됐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회인지적 요인들(자기효능감, 운동태도, 집단동조, 건강위험지각)이 운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이라는 사실을 제시해 주고 있다. 그러나 운동의도에 대한 집단동조와 건강위험지각의 예측력은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운동의도는 초기 운동실행의 가장 강력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운동실행은 지속적인 운동행동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령자 운동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결정요인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Relationships with expectations, exercise immers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of Home Training participants (Focused on Police Officers)

  • Kim, Sang-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07-11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홈트레이닝의 기대감과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에 대해 제안한다. 연구의 대상은 2021년 3월 현재 부산, 경남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다. 그 중 홈트레이닝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는 33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홈트레이닝의 기대감은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 요인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홈트레이닝 참여자의 기대감은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홈트레이닝 참여자의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종 치안현장에 대비한 체력조건을 준비하기 위해 홈트레이닝은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단기간의 트레이닝이 아닌 장기간의 계획을 세워 트레이닝을 실시한다면 홈트레이닝이 추구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홈트레이닝 활용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 인과관계 : 코로나19 이후 피트니스 변화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mobile home training : Changes in fitness after Covid-19)

  • 김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60-869
    • /
    • 2021
  • 본 연구는 모바일 홈트레이닝과 운동몰입, 지속의도에 대한 기술수용 이론을 적용한 인과관계모형에 대한 구조분석 방법(SEM)을 적용하여 소비자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현재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한 전략적 도구를 파악하기 위해 2021년 2월 1일부터 5월 21일까지 표본계획에 의해 모바일 프로그램인 "서베이 몽키"를 사용하여 유효표본 총 287명의 소비자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용모델이 운동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수용모델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몰입이 운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트참가자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참가동기 및 지속적 참여 의도의 구조모형 검증 (Structure-Model Verification of Yacht Participants' Motiv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Persistent Participation)

  • 김미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423-431
    • /
    • 2009
  •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를 통해 요트참가자들의 운동참가동기와 기본심리욕구 및 운동에 대한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모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운동참가동기와 기본 심리욕구는 생활체육참가자의 활동지속의도에 매우 관여적인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요트동호회 회원과 대학요트동아리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67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과 AMOS 7.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공변량구조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트참가자들의 기본심리욕구, 참가동기 및 지속적 참여의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요트참가자의 기본 심리욕구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동시에 참가동기를 매개로 간접 영향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동기는 지속적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트참가자의 운동참가동기와 기본심리욕구 및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방정식모델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이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ce Sport Coach's Attractiveness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Adherences Behavioral Intention of Dance Sport Participants)

  • 정성한;이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19-32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에 대하여 참여자의 지각수준이 기본심리욕구와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본심리욕구가 운동지속 행동예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댄스스포츠 교육센터 프로그램 중 동호회 활동으로 참여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교육센터 6곳을 선정하고 직접 방문하여 총 306명의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타당도, 신뢰도 검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은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댄스스포츠 지도자 매력성은 참가자의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기본심리욕구는 운동지속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xercis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in High School Students)

  • 최영진;최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33-243
    • /
    • 2023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운동만족,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을 기준으로 서울, 경기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같은 패턴의 응답, 미완성된 응답 등 불성실한 응답자 94부를 제외한 346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와 IBM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 요인 중 유능성, 관계성은 운동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지만, 자율성은 운동만족에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운동지속의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the Experti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Instructor, the Exercise Flow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Intention Perceived by Non-Sports Major University Students)

  • 이영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35-749
    • /
    • 2021
  •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운동 프로그램 참여자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심리적 안녕감,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Network Centr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in Participan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 원효진;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network centr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PWBS), and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in participants of an aquatic exercise program. Methods: Using a single-experimental design, 17 osteoarthritis patients participated in an aquatic exercise program. The questionnaire to connect the network of members was used to peer nomination by Moreno (1953).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CINET using centrality (degree, closeness, betweenness) and SPS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ilcoxon signed ranked test, and spearman's rho. Results: Closeness centrality, PWBS, and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4 weeks and 8 weeks. At 4 weeks, PWB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oseness centrality.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t 8 weeks, PWB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oseness centrality.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oseness centrality. Conclusion: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can be effective in increasing closeness centra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ntion to exercise maintenance. This was the first study attempted to analyze construction of member relationships in osteoarthritis patients participating an exercise program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