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매 분획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27초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종자 추출물의 항암 활성 (Anticancer Effects of the Extract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Seeds)

  • 김정현;서전규;강영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47-651
    • /
    • 2012
  • 참외 종자의 기능성을 규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항암활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항암활성을 조사하고자 헥산, 에탄올, 물 등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참외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가공에 따른 활성 증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볶음 처리하였다. 볶음 처리한 참외 종자는 볶음 처리하지 않은 종자보다 활성이 2~4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헥산 추출물, 물 추출물 순으로 항암활성이 나타났다. 인체 유래 5종(MCF-7, A549, AGS, HT-29, HepG2) 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항암 활성의 조직 특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외 볶음 종자 에탄올 추출물이 간암 세포주인 HepG2세포와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에서 우수한 항암활성을 보여주었다. 용매분획법을 실시하여 제조한 분획물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보다 활성이 증가하였고, 비극성 분획물인 에칠아세테이트층이 극성 분획물인 부탄올층 보다 강한 항암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참외 볶음종자가 간암과 유방암 예방 및 치료 소재로서 개발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 정복미;임상선;박윤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5
  •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V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 는 AYMEE를 200 $\mu$g/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u$g/mL에서는 97.7%의 저지 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u$g/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식용식물의 유기용매 추출물로부터 딸기부패균 Staphylococcus sp.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dible Plant Extracts against Strawberry Spoiling bacteria Staphylococcus sp.)

  • 하철규;이동규;강선철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26-231
    • /
    • 2000
  • 원예산물의 저온저장중 부패방지를 위한 천연항균제 개발의 일환으로 식용 가능한 식물을 채집하여 E. coli K 12, B. subtilis K KCTC 1028 및 딸기부패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사철 쑥, 가죽나무 잎, 초피 잎, 적송 잎, 뽕 잎, 씀바귀, 마늘의 즙액은 E. coli와 B. subtilis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들 식물체 즙액으로부터 n-hexane, ethyl ace떠te, chloroform 및 물로 용매분획한 분획물로 항균성을 재검색한 결과, 사철쑥, 가죽나무 잎, 적송 잎, 씀바귀의 ethyl acetate 분획과 초피 잎과 마늘의 모 든 분획에서 비교적 높은 향균활성을 보였으며 가죽나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 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6 nun)을 보였다. 한편 딸기의 저온저장중인 과육으로부터 두 종의 부패 세균을 분리하 여 각각 Staphylococcus sp. TG-IOI과 Staphylococcus sp. TG-I02 로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가죽나 무 잎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두 균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저 해효과(각각 6 mm, 7 nun)를 보였다.

  • PDF

식용 버섯류의 도파민 베타 수산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Dopamine ${\beta}-Hydroxylase$)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4-197
    • /
    • 1997
  • 식용버섯류 중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류에 대한 생리활성 검색의 일환으로 영지, 양송이, 표고 등 3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dopamine ${\beta}-hydroxylase(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tyramine을 기질로 하여 검색하였다. 각 버섯들의 DBH에 대한 저해활성은 영지버섯은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100% 이상의 현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표고와 양송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79.7%라 64.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버섯류의 각 용매분획에 대하여 DBH 저해활성을 검색하여 각 분획의 $IC_{50}$을 구하고 용매분획 총량의 specif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영지버섯의 클로로포름분획의 $IC_{50}$$1.60{\times}10^{-4}\;g$으로 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양송이와 표고버섯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IC_{50}$$5.50{\times}10^{-4}\;g,\;2.35{\times}10^{-4}\;g$으로 각각 검색되었다.

  • PDF

표고버섯(Lentinus edodes)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 김용두;김경제;조덕봉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9-93
    • /
    • 2003
  • 표고버섯을 새로운 형태의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와 천연보존료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등 10균주에 대하여 항균성 여부와 추출물의 최소저해 농도를 밝히고, 표고버섯추출물을 용매 계통 분획하여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항균성 검색에 사용된 물과 에탄을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대보다는 갓에서 항균활성이 다소 강하게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항균활성을 균주별로 보면 E. coli에서 첨가농도가 0.5 mg/mL로 가장 낮아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젖산균과 효모등의 균주에서는 1.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도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을 추출물중의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pH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을 추출물을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현저한 생육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에테르와 핵산 분획물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보다는 낮지만 대부분의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젖산균과 효모에서는 모든 분획물에서 항균효과가 거의 없었다.

메탄올로 추출한 여주 분획성분의 항균 및 항발암 효과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Momordica Charantia L.)

  • 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8호
    • /
    • pp.880-885
    • /
    • 2002
  • 중국에서 약용 및 음용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여주 (Mo-mordica charantia L.)를 이용하여 추출, 분획한 후 항균, 항암 및 암예방 효과를 살펴보았다 여주의 MCU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특히 Staphylococru aureus의 MCMEE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한 각균에 대한 여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 HepG2, HeLa 및 MCF극에서 모두 여주의 ethyleth-er 분획층인 MCMEE와 ethylacetate 분획층인 MCMEA 층에서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G2세포를 이용하여 암예방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회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MCMH에서 아주 높은 QR 유도를 활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여주에는 식품 보존과 항균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보이며. 항발암 효과를 보기위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ethylether층 MCMEE과 ethylacetate층 MCMEA층에서 월등하였고,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에는 암발생을 예방하는 quinone reductase inducer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단계적인 생리활성 연구의 분리 동정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 잎새버섯 물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탐색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wild Grifola frondosa)

  • 석순자;김준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1-246
    • /
    • 2019
  • 야생 잎새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준비한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저해활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다. 10 m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물 분획물은 각각 0.93 plasmin unit와 0.7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부탄올 분획물은 79.60%의 트롬빈저해활성을 나타냈다.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85.88%의 높은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나타냈고,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39.81%로 비교적 낮게 나타냈다. 부분 정제된 효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 분획물은 섬유소원의 Bβ chain를 모두 분해시켰지만, Aα chain은 느리게 분해시키고 γ chain 과는 반응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로부터 야생 잎새버섯 추출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저해활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제약과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검은비늘버섯 물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n Edible Mushroom, Pholiota adiposa)

  • 김준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12
    • /
    • 2014
  • 검은비늘버섯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검은비늘버섯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심혈관계 질환관련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물 추출물은 57.57%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지만 혈전용해활성, 트롬빈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반면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0.70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87.36%와 46.44%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분획물은 48.27%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혈전용해활성이 높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섬유소원의 $A{\alpha}$$B{\beta}$ chain은 모두 분해시켰지만 ${\gamma}$ chain과는 반응하지 않았으며, $100^{\circ}C$에서 10분간 가열에도 혈전용해 활성에 변화가 없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검은비늘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 정인창;박신;박경숙;하효철;김선희;권용일;이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64-469
    • /
    • 1996
  • 느타리버섯 자실체 및 액체배양한 균사체를 핵산, 에탄올, 물 순으로 순차하여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천연항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자실체 및 액체배양 균사체 모두 물추출 분획의 추출 수율이 $35{\sim}48%$로 가장 높았다. 총 당의 함량은 ethanol추출 분획과 물추출 분획의 ethanol가용부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은 자실체 및 균사체 모두 hexane 분획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용매별로 추출한 추출물을 대두유에 500-3000ppm 첨가하여 일정 시간마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자실체 및 균사체 모두에서 ethanol 분획이 물 및 hexane 분획에 비해 강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BHA 및 BHT를 처리한 비교구 및 무처리구에 비해서도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열안정성도 확인되었다.

  • PDF

소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Solvent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임대관;최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7-82
    • /
    • 1996
  • 소목을 여러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75% 에탄올 추출물은 다시 용매 분획하여 Rancimat method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상업용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delta}-tocopherol$, BHA, BHT 등과도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Ethyl acetate(EtOAc) 조추출물 600 ppm을 팜유와 돈지에 첨가시 AI (Antioxidant index; 각 항산화제를 첨가한 실험구의 유도기간을 무첨가구의 유도기간으로 나눈 값)는 각각 2.06, 7.40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돈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뚜렷하였다. 75% 에탄올 추출물을 순차 분획하여 얻은 EtOAc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다른 분획물들 및 조추출물보다 높았고 이 분획물 600 ppm을 팜유와 돈지에 첨가했을 때 AI는 각각 2.07, 7.26으로 EtOAc 조추출물의 항산화력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으나 추출 수율은 EtOAc 분획물이 2배이상 더 높았다. 소목 75% 에탄올 추출물의 EtOAc 분획물과 상업용 항산화제 일정량을 팜유와 돈지에 첨가한후 $60^{\circ}C$로 보관하면서 POV와 TBA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분획물 200 ppm 첨가시의 항산화력은 BHA 및 TO 200 ppm보다 높았고 BHT 200 ppm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EtOAc 분획물 500 ppm의 항산화력은 BHT 200 ppm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