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트 세일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flow around on jib and main sails of sailing yacht (세일링 요트의 지브 세일과 메인 세일의 간격 변화에 따른 주위 유동 해석)

  • Choe, Hak-Gyu;Lee, Hui-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643-648
    • /
    • 2014
  • 세일링 요트 (sailing yacht)는 세일 (sail)의 양력을 주로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요트 경주에서와 같이 항주 속도가 중요한 문제에서는 세일의 성능이 좋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일 주변의 유동해석을 통한 성능 추정과 효율의 최적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경주요트의 형태로써 지브 세일 (jib sail)과 메인 세일 (main sail) 그리고 한 개의 마스트(mast)로 구성된 슬루프(sloop)형 요트에 대한 유동해석을 하였다. 풍상범주 상태에서의 30ft급 세일링 요트인 KORDY-30의 jib sail과 main sail의 높이에 따른 단면을 모델링하였다. 슬루프형 요트의 경우, 세일링 요트에서 jib sail과 main sail이 각각 단독으로 있는 형태의 요트보다 세일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양력이 증가하지만 항력도 따라서 증가 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따라서 jib sail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양력계수와, 항력계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양항비의 분석을 통해 최적의 효율을 갖는 jib sail의 각도를 알아보았다.

  • PDF

Property and performance comparative analysis of yacht sail product using high modulus polyester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 요트 세일 제품의 특성 및 성능 비교 분석)

  • Son, Hyun-Sik;Sim, Seung-Bum;Yang, Sung-Young;Kim, Su-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5-105
    • /
    • 2011
  • 국내 해양레저산업 중 세일요트산업은 현재 초기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현재 정부의 해양레저 활성화 정책과 해양레저 인구 또한 관련 협회, 클럽 등의 중심으로 급속한 증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요트수요 증대에 따라 요트 관련 부품 소재의 경우에도 향후 그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요트용 돛(Sail)의 경우에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제품개발을 통해 국산화함으로써 해외 제품의 수입대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의 산업용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조된 요트세일 제품의 특성 및 성능 분석 결과와 국산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조된 요트 세일 개발 제품의 물성 및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세일 제품 개발을 위해 해외 요트용 세일 제품을 분석한 결과, 소재는 고상중합형태의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자체의 고강도 및 저신도 특성발현을 위한 고밀도 제직을 실시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가공에서는 해양에서 사용하는 세일 직물의 특성 상 일광 및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황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물표면에 멜라민계 수지를 이용한 함침방식의 특수코팅을 실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해외 요트용 세일 제품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산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밀도 직물에 자외선 및 일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무황변 타입의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사용하여 단면 코팅으로 양면코팅 가공효과를 부여하는 나이프 방식의 특수코팅, 에이징 처리를 통해 세일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된 세일 직물 제품에 대해,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장 강신도, 무게, 두께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등의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세일 성능 분석을 위해 공기투과도, 일광견뢰도 자외선 조사 후 강도변화, 황변 Test 등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해외 선진 제품과 개발제품의 물성 및 성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ull Design & Hull-Form Test for Catamaran Sailing Yacht (카타마란 세일링요트의 선형설계 및 선형시험 연구)

  • Jin, Song-Han;Sim, Sang-Mog;Go, J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55-60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일반인들의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선진국형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양레저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세일링요트 및 관련 장비 경우에는 대부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세일링요트 중에서 넓은 갑판면적 및 안정된 운항성능을 가지는 카타마란형 세일링요트의 선형설계와 형상에 따른 성능/특성 검증 위한 선형시험 등을 수행하여 국내에 적합한 카타마란형 세일링요트의 기초 자료를 정립하여 중소형조선소의 레저선박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와 해양레저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sistance for Characteristics of a Yacht with Twin and Mono keels (트윈킬과 모노킬 요트의 저항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Soo-Y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7
    • /
    • pp.24-34
    • /
    • 2014
  • 최근 몇 년간 국내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의 해양레저산업에 대한 연구 지원 및 마리나 구축 사업 수행 등 해양레저 수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비 및 시설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노력이 한창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의 해양레저를 위한 시설 구축은 진행단계이다. 전국적으로 마리나 구축을 위한 작업이 한창이며, 이미 구축된 마리나에서 요트를 계류할 경우 관리하는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사용자에겐 부담이 크다. 세일링 요트의 경우 span이 큰 모노킬이 부착되어있으므로 마리나 혹은 육상계류시설을 이용하지 않을시 모노킬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해양레저 대중화를 위해 누구나 안전하게 세일링을 즐길 수 있고, 두 개의 킬로 선체를 지지하여 육상 및 갯벌에서도 선체가 기울지 않고 설 수 있는 트윈킬 요트를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기존 세일링 요트중 성능이 좋은 편인 야마하에서 제작한 블루워터21의 선형을 활용하였고 트윈킬은 블루워터21 모노킬의 면적 및 무게중심 등을 분석하여 개발하였다. 트윈킬 요트의 경우 모노킬 요트보다는 저항성능이 불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모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노킬과 트윈킬의 저항성능에 대한 차이가 예상보다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33feet Class America's Cup Training CFRP Sailing Yacht for Marine and Leisure Applications (해양레저 분야 복합소재 적용 : 33피트급 아메리카스컵 훈련용 CFRP 세일링 요트 개발)

  • Seo, Hyoung-Seock;Jang, Ho-Yun;Lee, In-Won;Choi, Heung-Soap
    • Composites Research
    • /
    • v.28 no.1
    • /
    • pp.15-2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rends of composite applications in the marine and leisure fields and to study the development of 33ft class America's cup training CFRP sailing yacht. In the field of marine and leisure, composite materials have been just used to marine and leisure structures, recently. Especially, since the America's cup of sailing yacht racing has required the light weight and high mechanical performance to make a high speed, CFRP have been recognized as the critical material to construct the racing yacht structures. To establish the process of CFRP racing yacht construction, the design optimizations and production methods of carbon mast and CFRP yacht hull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Finally, the constructed CFRP sailing yacht exhibited high performance as the racing yacht through the sailing test.

Comparison of Resistance for Mono keel and Twin keel of Sail Yacht (세일요트의 모노킬과 트윈킬의 저항성능 비교)

  • Kwon, Soo-Yeon;Choi, Ji-Hoon;Choi, I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0 no.4
    • /
    • pp.426-434
    • /
    • 2014
  • The research developed twin keel yacht for everyone which is able to stand erectly on mud flat without list and intended to commercialize the development product for popularization of west coast's marine leisure industry. Yacht's linear was utilized by "Blue Water21" has superior performance among the existing sailing yachts and twin keel model has been tested by calculation of mono keel's extent and its center of gravity. The result was that only 4 % of difference have been identified between mono keel and twin keel's hydrodynamic resistance which was smaller difference than predic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afe Navigation Route for a Sailing Yacht Focused on Geomundo (Port Hamilton) (거문도를 중심으로 하는 세일링요트 안전항로 개발에 관한 연구 - 전남 여수 거문도와 제주특별자치도 김녕항 루트를 중심으로 -)

  • Kim, In-Chul;Oh, Hyeon-Jun;Kim,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2
    • /
    • pp.174-180
    • /
    • 2016
  • This study suggests a navigation route for maritime tourism cruise sail yacht that sails off from Yeosu, and passes by Baekdo and Geomundo with their live island culture, to Kimnyeonghang of the Jeju islands.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accidents in proportion to vitalizing marine leisure. That's why it should be examined by region and sea when developing safe sea rout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sailing yacht. Thus, it is needed to introduce marine culture, hold international sailing yacht race and develop multi-functional sea port according to the case of Geomundo. Also additional analysis for navigation ruote patterns and density of the fairway is required. This information will improve safe sailing level of sailing yacht that will help the local tourism industry.

A Study on the Environment Adaptive Design of Leisure Yacht I (환경친화적 레저용 요트의 디자인 연구 I)

  • 조규남;김영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04a
    • /
    • pp.220-226
    • /
    • 2000
  • In this paper, a primitive study of yacht is carried out and an attempt to design a typical yacht is pursuit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 yacht is examined and the 1st step to design process is outlined. A model ship of an environmental adaptive yacht is presented and principal dimensions of the yacht is decided.

  • PDF

11톤급 쌍동형 세일링 요트 건조 해설

  • Ha, Yeong-U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6
    • /
    • pp.8-13
    • /
    • 2004
  • 본선은 국내 최초로 선박검사기술협회의 제조검사를 마친 11톤급 상동형 세일링 요트로 호주 Jeff Schionning Design 사에서 선박임대와 분양사업의 목적으로 설계하고 (주)신화마린테크에서 13개월에 걸쳐 Mouldless 공법을 통해 건조한 본격적인 레저선박이다.

  • PDF

전동윈치를 이용한 세일링 요트의 자동 항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Gang, Min-Su;Sin, Il-Sik;Kim, Nam-Hun;Im, S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20-221
    • /
    • 2011
  • 세일링 요트의 윈치는 선가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고하중 윈치의 제작을 위한 원천기술의 확보 및 1인 Auto Pilot 시대에 대비한 자동화 기술을 갖춘다면 내수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의 진출을 통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자동화의 범주가 해양레저기구에도 확산되고 있으며, 해양레저 활동자의 요구도 기존의 물리적인 성향에서 쉽고 편하게 해양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구로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자동제어를 통한 세일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윈치 적용 기술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