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트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flow around on jib and main sails of sailing yacht (세일링 요트의 지브 세일과 메인 세일의 간격 변화에 따른 주위 유동 해석)

  • Choe, Hak-Gyu;Lee, Hui-Beo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643-648
    • /
    • 2014
  • 세일링 요트 (sailing yacht)는 세일 (sail)의 양력을 주로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요트 경주에서와 같이 항주 속도가 중요한 문제에서는 세일의 성능이 좋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세일 주변의 유동해석을 통한 성능 추정과 효율의 최적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경주요트의 형태로써 지브 세일 (jib sail)과 메인 세일 (main sail) 그리고 한 개의 마스트(mast)로 구성된 슬루프(sloop)형 요트에 대한 유동해석을 하였다. 풍상범주 상태에서의 30ft급 세일링 요트인 KORDY-30의 jib sail과 main sail의 높이에 따른 단면을 모델링하였다. 슬루프형 요트의 경우, 세일링 요트에서 jib sail과 main sail이 각각 단독으로 있는 형태의 요트보다 세일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양력이 증가하지만 항력도 따라서 증가 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따라서 jib sail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양력계수와, 항력계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양항비의 분석을 통해 최적의 효율을 갖는 jib sail의 각도를 알아보았다.

  • PDF

요트 계류장의 운동측정 장치 개발과 평가 결과

  • Im, Jeong-Bin;Kim, Dae-Hui;Jo, Su-San;Jo, Yu-Gyeong;Mun, Ji-Ung;Park, Hye-Ri;Lee, Sang-Hun;Gwon, Do-Eon;Park, Eun-Seon;Jo, Ha-R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48-150
    • /
    • 2012
  •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서 요트 계류장과 요트 사이 또는 요트 계류장과 계류장 사이에는 충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충격으로 인하여 계류장 또는 요트가 파손되거나 전복된다. 특히, 방파제 없이 외해에 설치한 요트 계류장은 이러한 위기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논문에서는 요트 계류장의 롤링, 히브, 핏칭 등의 운동을 측정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구축과 평가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하드웨어는 MEMS 기반 자이로와 가속도계 등의 관성 센서를 내장한 반도체 센서 SD746을 이용하여 구축하였고, 구축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소형 요트 계류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운동을 수작업으로 생성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x-축, y-축, z-축 등 3축 가속도와 3축 각속도 측정이 가능하여 요트 계류장의 운동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함을 알았다. 본 연구는 추후 요트 계류장의 위기상태를 평가하고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에 이용할 예정이다.

  • PDF

Analyses of Consumer Prefer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Activation of Yacht Tourism Industry (요트관광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선호도 및 인식도 조사)

  • Cho, Woo-J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5
    • /
    • pp.401-40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to yacht tourism and perceptions to importance of yacht tourism industry's activation strategies from consumers perspectives. In order to such a purpose, this study employed survey methodology with a total of 300 visitors to yacht facility and beach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With 265 usable questionnaire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ly,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rom current study. First, 32% of participants had yacht tourism experiences and more than 64% of them had willing to purchase yacht tourism products in the future, which indicates optimistic increases in yacht tourism demand. In addition, amount of willingness to pay for yacht tourism was less than 100 thousand Won per day. Second, the most preferred product was a yacht training and experience program, and preferred time for yacht tourism was weekend and or vacation with the period of one day or one night and two days. The main motivation was to spend leisure time and enjoyment with accompanying persons of family or friend members. Third, consumers' restriction factors included high expenditures, time consuming and lack of various yacht tourism products but their selection attributes included low expenditures, associated tourism products and quality of yacht tourism products. Finally, the most important activation strategies included the development of yacht tourism products, building yacht tourism condition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but the least important activation strategies from consumers views included policies, experts and facilities.

메가요트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wan;Ha, Hae-Dong;Jeong,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5-156
    • /
    • 2015
  • 글로블 대형요트산업은 리먼사태 때 잠시 주춤했지만 여전히 고속성장하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이탈리아, 네덜란드 터키 등 유럽의 해양레저선진국이 거의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대형요트를 건조한 실적은 전무하지만, 중소형조선소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현시점에서 국내 조선기술, 부품소재기술, ICT 등 관련기술수준을 감안한다면 진출해볼만한 신성장분야인 것은 분명하다. 이 연구에서는 메가요트 국산화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sistance for Characteristics of a Yacht with Twin and Mono keels (트윈킬과 모노킬 요트의 저항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Soo-Y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7
    • /
    • pp.24-34
    • /
    • 2014
  • 최근 몇 년간 국내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의 해양레저산업에 대한 연구 지원 및 마리나 구축 사업 수행 등 해양레저 수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비 및 시설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노력이 한창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의 해양레저를 위한 시설 구축은 진행단계이다. 전국적으로 마리나 구축을 위한 작업이 한창이며, 이미 구축된 마리나에서 요트를 계류할 경우 관리하는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아 사용자에겐 부담이 크다. 세일링 요트의 경우 span이 큰 모노킬이 부착되어있으므로 마리나 혹은 육상계류시설을 이용하지 않을시 모노킬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해양레저 대중화를 위해 누구나 안전하게 세일링을 즐길 수 있고, 두 개의 킬로 선체를 지지하여 육상 및 갯벌에서도 선체가 기울지 않고 설 수 있는 트윈킬 요트를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기존 세일링 요트중 성능이 좋은 편인 야마하에서 제작한 블루워터21의 선형을 활용하였고 트윈킬은 블루워터21 모노킬의 면적 및 무게중심 등을 분석하여 개발하였다. 트윈킬 요트의 경우 모노킬 요트보다는 저항성능이 불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모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모노킬과 트윈킬의 저항성능에 대한 차이가 예상보다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ull Design & Hull-Form Test for Catamaran Sailing Yacht (카타마란 세일링요트의 선형설계 및 선형시험 연구)

  • Jin, Song-Han;Sim, Sang-Mog;Go, J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55-60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일반인들의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선진국형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양레저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세일링요트 및 관련 장비 경우에는 대부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세일링요트 중에서 넓은 갑판면적 및 안정된 운항성능을 가지는 카타마란형 세일링요트의 선형설계와 형상에 따른 성능/특성 검증 위한 선형시험 등을 수행하여 국내에 적합한 카타마란형 세일링요트의 기초 자료를 정립하여 중소형조선소의 레저선박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와 해양레저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스마트 요트운용시스템 및 마리나 관제시스템 개발을 위한 시스템 설계

  • Gang, Nam-Seon;Sin, Il-Sik;Nam, Gy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86-187
    • /
    • 2012
  • 여가활동 및 가족단위 관광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해양관광활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양레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제반시설 구축이 현저히 적으며, 해양레저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으로 추진 중인 마리나 육성계획이유휴시설 발생 및 중복개발로 인한 예산낭비가 우려되고 있어 국내 마리나 항만에 적합한 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트의 운용상태 및 항해정보를 스마트기기 내장 S/W로 관리함과 동시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마리나 관제시스템에 전송하고, 마리나 센터로부터 항해와 안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요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 요트를 운항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요트를 운용, 관리, 항해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스마트 기기 기반의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33feet Class America's Cup Training CFRP Sailing Yacht for Marine and Leisure Applications (해양레저 분야 복합소재 적용 : 33피트급 아메리카스컵 훈련용 CFRP 세일링 요트 개발)

  • Seo, Hyoung-Seock;Jang, Ho-Yun;Lee, In-Won;Choi, Heung-Soap
    • Composites Research
    • /
    • v.28 no.1
    • /
    • pp.15-2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rends of composite applications in the marine and leisure fields and to study the development of 33ft class America's cup training CFRP sailing yacht. In the field of marine and leisure, composite materials have been just used to marine and leisure structures, recently. Especially, since the America's cup of sailing yacht racing has required the light weight and high mechanical performance to make a high speed, CFRP have been recognized as the critical material to construct the racing yacht structures. To establish the process of CFRP racing yacht construction, the design optimizations and production methods of carbon mast and CFRP yacht hull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Finally, the constructed CFRP sailing yacht exhibited high performance as the racing yacht through the sailing test.

Property and performance comparative analysis of yacht sail product using high modulus polyester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 요트 세일 제품의 특성 및 성능 비교 분석)

  • Son, Hyun-Sik;Sim, Seung-Bum;Yang, Sung-Young;Kim, Su-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5-105
    • /
    • 2011
  • 국내 해양레저산업 중 세일요트산업은 현재 초기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현재 정부의 해양레저 활성화 정책과 해양레저 인구 또한 관련 협회, 클럽 등의 중심으로 급속한 증가세를 이루고 있다. 이에 요트수요 증대에 따라 요트 관련 부품 소재의 경우에도 향후 그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 요트용 돛(Sail)의 경우에는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제품개발을 통해 국산화함으로써 해외 제품의 수입대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의 산업용 폴리에스터 원사로 제조된 요트세일 제품의 특성 및 성능 분석 결과와 국산 고강력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조된 요트 세일 개발 제품의 물성 및 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세일 제품 개발을 위해 해외 요트용 세일 제품을 분석한 결과, 소재는 고상중합형태의 폴리에스터 산업용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자체의 고강도 및 저신도 특성발현을 위한 고밀도 제직을 실시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가공에서는 해양에서 사용하는 세일 직물의 특성 상 일광 및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황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물표면에 멜라민계 수지를 이용한 함침방식의 특수코팅을 실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해외 요트용 세일 제품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산 고강력 폴리에스터 고밀도 직물에 자외선 및 일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무황변 타입의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사용하여 단면 코팅으로 양면코팅 가공효과를 부여하는 나이프 방식의 특수코팅, 에이징 처리를 통해 세일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된 세일 직물 제품에 대해,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장 강신도, 무게, 두께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등의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세일 성능 분석을 위해 공기투과도, 일광견뢰도 자외선 조사 후 강도변화, 황변 Test 등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해외 선진 제품과 개발제품의 물성 및 성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