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요소시스템디자인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학습성과 평가

  • Kim, Jeong-Yeop;Kim, Seong-Dong;Lee, Hui-Won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9
    • /
    • pp.35-39
    • /
    • 2012
  • 공학교육인증에서 필수 교육요소인 캡스톤디자인은 학생들의 전공교육을 마무리하는 종합설계 교과목이다. 이 글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에서 수행하고 있는 캡스톤디자인 교육과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

  • PDF

The empirical study for usability of digital contents interlocking system with metaphor of place (공간 메타포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온/오프라인 연동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실증적 연구)

  • Jeon, Seok-Won;Lee, Su-Jin;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24-434
    • /
    • 2006
  • 최근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의 서버와 오프라인의 개인 컴퓨터 혹은 소형 정보기기에서 공유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과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사용자가 언제, 어느 곳에 있더라도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도입 초기에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저지르기 쉬운 기능 중심적 사고에 치우친 시스템인 경우가 많다. 이들 기능 중심적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을 어떻게 인지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결국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적 메타포로 공간을 선택하였다.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으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과업으로서 관리/저장과 사용으로 시스템의 구조를 구분하였으며, 이상의 구분에 따라 공간의 메타포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하였다. 이와 같이 구분한 시스템의 공간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하여 갖는 관여도와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관여도의 수준과 동기의 차원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요소로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는 색상들 사이의 대비 수준과 색상의 색조 차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 PDF

A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Sensibilities related to Textile Design Factors (텍스타일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과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성 분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시스템)

  • 정경용;나영주;이정현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0 no.2
    • /
    • pp.174-188
    • /
    • 2004
  • In the life environment changed with not only the quality and the price of the products but also the material abundance, it is the most crucial factor for the strategy of product sales to investigate consumer's sensibility and preference degree. In this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erchandise the products in cope with each consumer's sensibility and needs as well as its functional asp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FDRAS-pro) for textile design applying collaborative filtering personalization technique as one of the methods of material development centered on consumer's sensibility and preference. For a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based on textile, Representative-Attribute Neighborhood is adopted to determine the number or neighbors that will be used for preferences estim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s used to calculate similarity weights among users. We build a database founded on the sensibility adjectives to develop textile designs by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sensibility adjectives from users' sensibility and preferences about textile designs. FDRAS-pro recommends textile designs to a customer who has a similar propensity about textile. To investigate the sensibility and emotion according to the effect of design factors, fertile designs were analyzed in terms of 9 design factors, such as, motif source, motif-background ratio, motif variation, motif interpretation, motif arrangement, motif articulation, hue contrast, value contrast, chroma contrast. Finally, we plan to conduct empirical applications to verify the adequacy and the validity of our system.

System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Mobility Using Reverse Engineering and QFD (역공학과 QFD를 활용한 퍼스널모빌리티 시스템 요구사양 도출)

  • Kim, In-Kyu;Park, Tae-han;Chung, Yun-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63-2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주행승차감 및 안정성을 고려한 전동킥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공학 기법을 사용하여 주요 시스템의 품질요소, 제품특성 등을 분석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품질기능전개(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로 사용자 요구사항은 6개의 범주에서 20개를 도출하였으며 품질특성 요구사항은 16개 도출하여 최종 12개를 시스템 품질특성(CTQ: Critical To Quality)으로 선정하였다.

  • PDF

디자인 지식창출을 위한 검색시스템 구축

  • 임옥수;오민권;정인수;유의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35-44
    • /
    • 2003
  • In the past era,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useful information was the main origin of competition. Nowadays, unlike that era, is the era of knowledge information(management) in which we should create a new knowledg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practice. And mor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o more the competitive power of any person, any company and any nation because in such the era of knowledge management, anyone can access and get the information he needs, utilizing internet-based searching system. Such demands of the times of knowledge management change rapidly in each field through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researches about knowledge management are actively processed in various academic branches. However, in our field of design, researches about those demands(knowledge management) still remain on the level of one-dimensional searching service for general data about desig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building database of researches on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satisfaction etc. about CI/BI of home electronics goods, living goods, apparels, and food goods companies, also suggesting searching system through which you can obtain useful data and information helpful for designers to process CI/BI works of new product by using that database. Especially, in case of developing specific CI/BI, various search results through help of suggested system will supply a useful design concept. And more, cross table which is the result of analysis two-dimensional categorical data about existing design factors(such as form, color, aesthetical elements, preference image word, and satisfaction) will make contribution for designers to create a new design knowledge.

  • PDF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for Idea Generation of Smart Products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제안)

  • Choi, Jung Min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0
    • /
    • pp.453-464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smart products and services have been spread in our daily life, providing users with convenie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Particularly, input and output technologies, sensor technologies, and intelligent system technologies have offered new opportunities for diverse interaction patterns and new user experiences.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idea generation of product designers who need to combine various technological aspects with users' need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which can be used in an idea generation stage. To do so,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products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interaction technologies, including input/output modality and context-aware technologies, were also investigated. Then, the frameworks that have been proposed in the deisgn fields were reviewed. This paper finally proposed the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and explained its application to the idea generation, using several case studies.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four categories: product components, context-awareness elements, information input elements, and feedback output elements. Each of these are 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focused on users' needs. Sub-categories includes some elements of interaction, and each of the elements is explained with an existing smart product/system. The paper also describes how the proposed framework would be used in the idea generation process, using some design ideation examples. In the future study, more various concept ideas will be proposed through some elaborated case studies, and the framework is expected to be verified in terms of its possibility as an idea generation tool.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Index Including North Korea (북한을 포함한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 지수 산정)

  • Song, Jae Yeol;Chung, Eun-Sung;Jeong, S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2-642
    • /
    • 2015
  •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와 수자원 취약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북한의 수자원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여 다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자료의 확보가 가능한 World Bank 자료를 바탕으로 Pressure-State-Response 구조에 따라 선정된 14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168개 국가를 대상으로 수자원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의사결정을 위한 가중치 결정은 객관적 가중치 산정방법인 Shannon의 entropy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TOPSIS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을 지수화하고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각 지표별 Positive Ideal Solution과 Negative Ideal Solution의 거리를 산정한 후 상대근접도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상대근접도계수가 작은 국가일수록 수자원이 취약한 국가가 된다. 연구결과 북한은 168개 국가 중 17위, 우리나라는 67위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남 북한의 수자원 취약성이 취약한 가운데 북한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연관이 깊은 주요 국가와 비교 시, 북한, 중국, 미국, 일본, 우리나라 순으로 취약성의 정도가 심각했다. 또한, 압력, 상태, 반응의 요소별로 수자원 취약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 반응요소 측면에서 타 국가에 비해 불안정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상태요소 측면에서 취약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간 우리나라와 북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수자원 취약성 극복을 위한 수자원 계획 및 대책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in Chinese and Korean subway's (한.중 지하철 내 시각정보디자인에 관한 연구)

  • Feng, Wen;Song, M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1-174
    • /
    • 2009
  • 본 소고의 목적은 중국과 한국의 지하철 역사 내에 있는 시각정보디자인의 양식 및 감성의 비교연구이다. 한국의 마찬가지로 중국 사회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지하공간의 중요성이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지하교통의 아내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지하 공간에서 시각적 정보 디자인 성패의 가장 큰 평가기준은 바로 그 디자인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의 강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철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일부 지하철 내부의 시각적 정보들은 사람들의 출입 등에 편의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지하철 역사내 시각정보시스템의 통일된 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적 특성도 부가되어야만 한다. 때문에 시각적 정보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를 어떻게 높일가? 하는 문제는 모든 지하공간의 시각정보디자인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구 부산의 서면 지하철 역과 베이징 서지문 지하철 역 내부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색채 조형 문자 등 시각 디자인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관련요소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항 하에서 두 곳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공통점과 감성의 다른 점 및 어떤 디자인이 대중들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인지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A systematic process for establishing basic system of corporate identification (CI 기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체계적 프로세스)

  • 안병호;정경원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6
    • /
    • pp.173-182
    • /
    • 1996
  • Recent Ci(Corporate Identification) booming in korea is representing the importance of managing corporate imge through desig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corporations can establish desirable corporate image through the selection of basic elements (symbol, logotype, corporate color and other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study is that the selecting procedure and evaluating criteria for basic elements are not well organuzed(or developed) yet. As the first step, the nature of managing corporato imnge, corporate identification and the needs of establishing process for CI basic system and field work. Then, the study suggested a systematic process for cstablishing basic systcm of corporate identity program. Finally, overall procedure and specific guidelines in each stage of the process in relation to the objectives of corporate activitice, basic corporate image strategios and the adoption patterns of CI have developed.

  • PDF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의류 생산설계 업무의 디지털화에 과한 연구 - 여성 자켓 디자인 및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 송지영;천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8-163
    • /
    • 2001
  • 본 논문의 국내 패션 업체에서 상품기획 과정 중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던 디자인 및 패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key word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여성 자켓 분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류업체 종사자 48명과 의류학 전공 대학원생 54명, 패턴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디자인 및 패턴의 분류 기준과 의류 생산기획 업무의 디지털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의류업체에서는 상품기획시 국외패션잡지와 collection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및 패턴 DB 프로그램에 대한 효용성 기대와 수용도 기대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켓 디자인 DB를 위한 구성요소 분류 기준은 7가지고 선정되었고, 이미지 형용사 분류 기준은 6가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자켓 제작을 위한 block pattern 분류 기준은 4가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켓 디자인 선택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효용성 및 사용가능성을 다시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제시 전 조사결과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자료 활용시 이미지 형용사를 통한 검색보다는 구성요소를 통한 검색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