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모향상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Imag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 서수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87-193
    • /
    • 2022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집략 무선표집법을 사용하여 6개월 이상 신체활동에 참여한 남학생 109명, 여학생 189명, 총 298명을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남학생은 외모, 체력, 건강요인과 외모향상형, 여학생은 외모관리형과 대인관계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 계열이 외모, 체력에서 용돈이 많은 대학생이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신체이미지는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행동은 앞으로 행복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여자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신체이미지가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Sociocultural Influence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인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0-82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facial management, clothing selection, and weight/figure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378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y $23^{rd}$ to June $10^{th}$ 2013. A SPS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data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ocultural influ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media influence, peer influence, and parental influence.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Second, body image was divided into: appearances-management, body-satisfaction and body confidence.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body image. Third, body image positively affected overall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이 여대생의 신체불만족과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박은정;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361-37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parental influence, media influence, peer influence) on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s(clothing selection, skin care, make-up, hair care, weight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562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honnam area and Chonbuk area, Korea, from May 23 to June 10, 2011. To analysis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body enhancement behavior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Second,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had positive effects on body dissatisfaction. Third, the overall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the effects that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mediated body dissatisfaction appeared to be insignificant.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과 신체이미지가 외모향상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Sociocultural Influences of Appearance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 박은정;정명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9-561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influences and body image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s (facial management, clothing selection, and weight/figure management).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562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Chonnam area and Chonbuk area, Korea, from May 23 to June 10, 2011. To analyze the data, a SPSS 18.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ocultural influence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parental influence, media influence, and peer influence. Overall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Second, body imag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weight-concern and appearance-concern. Sociocultural influenc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verall body image. Third, body image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appearance enhancement behavior.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 박순주;김현옥;안금옥;이이루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71-28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조사하고,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39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5월부터 7월까지 외모만족도 척도 및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외모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신체 부위별 외모만족도 순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성별에 관계없이 외모만족도 순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있는지 비교한 결과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외모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Adolescent)

  • 장미영;강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2개 중학교 재학생 158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문제해결력,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 정도는 중간이상이 었고, 문제해결력은 외모만족도(r=.602 p<.001), 자존감(r=.88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 외모만족도,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Abilities -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 -)

  • 이소은;장정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68-177
    • /
    • 2019
  • 본 연구는 외모만족도, 사회적 유능감, 대인관계능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2018년 12월 3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A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여 총 223명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적 유능감은 대인관계능력, 외모만족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유능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좋고 외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 대인 관계능력, 외모만족의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하위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사회적 유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외모만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me Dental Hygiene)

  • 지민경;이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0-70대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Appearance concern,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of the 60s and 70s)

  • 이영희;고성희;윤옥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401-411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G시 여성노인 16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chi}^2-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외모관심도, 미용성형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은 60대군과 70대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삶의 질은 60대군과 70대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60대군에서는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39.1%의 설명력이 있었다. 70대군인 경우 자아존중감, 교육수준이었으며 41.7%의 설명력이 있었다. 이는 여성노인의 외모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노화 준비교육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