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천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온양 지역 온천수의 수질 특성 : 천부 지하수와 혼합 비율 분석

  • 정복선;구민호;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99-203
    • /
    • 2001
  • 온양온천지구의 13개 온천공에서 채취한 온천수의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심부 온천수와 천부 지하수의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온천수의 pH, EC, 및 주요 이온의 농도는 40~54$^{\circ}C$의 범위를 나타내는 온천수의 온도와 뚜렷한 선형의 비례관계를 나타내며, 수온이 낮아질수록 천부 지하수의 수질 특성에 가까워지는 특성을 보인다. pH, $K^{+}$, F$^{-}$, 및 Si는 온도와 정(+)의 비례관계를, $Ca^{2+}$, $Mg^{2+}$, Cl$^{-}$, HCO$_3$$^{-}$, SO$_4$$^{2-}$ , NO$_3$$^{-}$ 및 EC는 부(-)의 비례관계를 나타낸다. 온천수의 온도와 수질과의 이러한 상관성은 수질 특성이 상이한 고온의 심부 온천수와 저온의 천부 지하수가 각 온천공에서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되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최고 온도를 나타내는 온천수와 온천지구 내 지하수의 수질을 끝 성분(end member)으로 가정하고 혼합비를 계산한 결과, 온천지구에서 현재 채수되는 온천수에는 20% 내외의 천부 지하수가 혼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천수와 지하수의 수질 자료를 파이퍼 다이어그램에 도시한 결과 $Na^{+}$-HCO$_3$$^{-}$의 유형을 나타내는 13개 온천수는 전체적으로 직선 상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a^{2+}$-HCO$_3$$^{-}$의 유형을 나타내는 지하수는 직선의 연장선상에 분포하여 온천수와 지하수의 혼합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천공 수질 검층 결과, 심도 145m를 경계로 지하수와 온천수가 상하부에 부존되어 있으며, 경계부에서 혼합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온천수가 반죽의 발효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예경;김순동;이명예;김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21.1-121
    • /
    • 2003
  • 증류수, 수도수, 온천수(경산 사이판 온천) 희석액 (55배 희석; I, 4배 희석; II, 2배희석; III을 사용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경산사이판 온천수는 총고형물이 8,765 ppm 이였으며 주요 무기질로는 Na가 2296 ppm, Ca가 287 ppm, Mg와 K가 각각 65 및 8 ppm을 함유하였다. Fe, Cu, Co, F. Zn Al, S, Mo, Se 및 Si 등이 0.002~5.2 ppm을 함유하였다. 온천수를 사용한 반죽의 pH는 6.95~7.68로 증류수의 6.40보다 높았다. 반죽부피는 온천수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pH를 5.5로 조정한 온천수를 사용한 반죽의 부피는 대조구 보다 오히려 높았다. 온천수를 사용한 빵의 경도 (hardness)와 신장성(strength)는 대조구 보다 높았으나 pH를 조정한 온천수의 경우는 낮았다. 점착성은 경도 및 신장성과는 역으로 희석 온천수에서 낮았다. pH 조정 없이 구운 빵의 부드러운 정도는 4배로 희석한 온천수가 증류수 및 55배, 2배 희석 온천수보다 높았다. 쫄깃한 맛도 온천수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종합적인 기호도는 4배 희석 온천수가 가장 좋았다.

  • PDF

The Evaluations of Daily Safe Yield and Influence of Hot Spring Wells (온천공에 대한 일일 적정양수량 및 영향평가)

  • Lee, Chol-Woo;Moon, Sang-Ho;Kim, Hyeong-Cha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4
    • /
    • pp.41-47
    • /
    • 2006
  • The evaluations of daily safe yield and reciprocal influence of hot spring wells are important subjects that the specialized agencies of hot spring has to survey. The survey of hot spring had been executed by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prior to 1996. However, as of 2006, eight specialized agencies of hot spring are working on it and so the survey of hot spring is not consistent now.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data from hot spring in the same way by every specialized agency. The time of residual drawdown was applied to evaluate daily safe yield because some of wells have slow recovery of drawdown. The reciprocal influence between hot spring wells was evaluated by drawdown of observation wells when a new well was pumped.

경남 창원 마금산온천의 수리화학

  • Kim Geon-Yeong;Park Gyeong-U;Kim Ch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276-279
    • /
    • 2005
  • 마금산온천 지역에 대한 기초적인 지화학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내에는 일반 지하수와 온천수가 함께 산출되며, 온천수의 지화학적 특성은 마금산 온천이 해수의 영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또한 주변의 일반지하수와의 혼합정도에 따라 지화학적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일반지하수 또한 온천수의 영향을 지역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마금산온천을 생성시킨 지열수가 연구지역의 지하수체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raditional Spa and Newly-established Spa (전통온천과 신설온천의 지질학적 특성 비교)

  • Lee,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6
    • /
    • pp.851-862
    • /
    • 2007
  • The main reas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due to an indiscreet development of spa is the law of spa in use. According to the law of spa, the water of spa is ordained not mineral component and its efficacy but water temperature of over $25^{\circ}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spa and newly-established spa based on heat flow, geological rock, and fault relating to spa in order to call attention to a revision of the law of sp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spas was in accord with places which are Pohang, Bugok, Dongrae and Haeundae-gu of Busan, Uljin, Chungju, Usung-gu of Daejeon, Yesan, Asan, and Ichon. The heat flow of these places is over 67mW/m2 that is an average of South Korea. Relating to a fault, 92.3% of the traditional spas concurs with a fault and 33.5% of newly-established spa is in accord with a fault. 58.2% of the traditional spas and 42.7% of the newly-established spa are consistent with the granite.

A Study on the Impact Visitors' Satisfaction on Revisit and Recommend Intention to Other in Onyang Spa Destination (온양온천관광지 방문객 만족이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Si-J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566-57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visitor's satisfaction on revisit and recommend intention to other in Onyang spa destination. These analyses is based on the Visitors' Survey and, the survey conducted in Onyang Spa Destination in Chung Cheong Provinc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s: First, six factors are extracted for the attributes of choice towards spa destinations: facilities of the spa, accessibility, water quality of the spa and surrounding areas, costs and prices, hospitality and shopping opportunities, and tourism space. Second, visitor satisfaction is e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facilities of the spa, accessibility, water quality of the spa and surrounding areas, and tourism space. Lastly, the overall visitor satisfaction with the spa destination positively affected visitor loyalty, that is, their intention to revisit the place and recommend it to others.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lection Attributes of Spa Destination by IPA (IP분석에 의한 온천관광지 선택속성 평가 연구)

  • Kim, Si-Jo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2
    • /
    • pp.159-178
    • /
    • 2009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ortance-performance levels for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pa destination and to analyze the gap between importance level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pa visitors to Yuseong spa complex.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belows: 1. a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f 32 selection attributes, five factors were generated, such as "spa and supporting facilities", "surrounding conditions around spa resort", "friendship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spa water" and "fees of spa entry". 2. the mean analysi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importance-performance levels and the mean levels of five factors were rank-ordered as in "spa and supporting facilities", "friendship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fees of spa entry", and "surrounding conditions around spa resort", "spa water". 3. as the results of IPA, the selection attributes were distributed as belows: 9 attributes were located in I (Keep up the Good Work), 4 attributes were located in II (Possible Overkill), 7 attributes were located in III (Concentrate Here). and 12 attributes were located in IV (Low Priority).

  • PDF

우리나라 고온성 온천수에 함유된 희토류원소 존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

  • 이승구;김통권;이진수;송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10-412
    • /
    • 2004
  • 한반도남부에 분포하는 중생대의 화강암류는 경기육괴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와 옥천대 이남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백악기의 불국사 화강암류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다. 우리나라의 4$0^{\circ}C$ 이상의 고온성 온천수는, 이암층으로 덮여있는 포항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상기의 화강암류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고온성 온천수의 지구화학적특성, 특히 희토류원소의 분포특성을 화강암류의 분포지역과 비교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화학분석에 이용된 온천수 시료는 2004년도 2월의 건기에 채취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산온천(구 온양온천), 덕산온천, 포천지구 및 속초지구와 같이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온천수는 PAAS(Post-Archean Australian Shale)로 규격화하였을 경우 경희토류(La-Sm)이 결핍되어 있고, 중희토류는 편평한 분포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Eu의 이상(anomaly)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Ce의 경우 부(-)의 이상 (Ce netative anomaly)을 보여주기도 한다. 반면에 옥천대 이남에 분포하는 백암, 덕구, 부곡, 마금산, 동래, 해운대, 포항지구의 온천수들은 전반적으로 편평한 분포특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Eu 과 Ce의 강한 정(+)의 이상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Eu과 Ce의 이상은 온천수와 대수층간의 반응에 따른 결과로서 사료된다.

  • PDF

The Study of Development Skin Improvement Cosmetic by Spring Water of Asan City (아산지역 온천수를 활용한 피부개선 화장품의 개발)

  • Shim, Seung-Bo;Chu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500-502
    • /
    • 2010
  • 온천수는 땅 표면에 자연 용출되거나 인공적으로 시추하여 끌어올린 지하수로서 수온이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 또는 그 지역의 얕은 지층의 지하수 수온보다 높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섭씨 25도 이상을 온천으로 규정하고 있다. 온천수는 일반적으로 혈액순환, 진통완화, 진정작용,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것의 효능은 일반적으로 수온과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미네랄 성분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아산지역은 온양, 도고, 아산 온천으로 유명한 온천지대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천수를 화장품 제형에 적용시키고 피부자극테스트를 통하여 피부자극이 없음과 온양온천수를 이용한 제품에서 8.56%의 경피수분함유량의 증가가 나타나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Analysis of long-term water level change of Dongrae hot spring using time series methods (시계열 방법을 이용한 동래온천 수위의 장기적인 변화 분석)

  • Jeon, Hang-Tak;Hamm, Se-Yeong;Cheong, Jae-Yeol;Lee, Cheol-Woo;Lee, Jong-Tae;Lim, Woo-Ri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4 no.5
    • /
    • pp.529-544
    • /
    • 2018
  • Dongrae hot spring belongs to the residual magma type and has a long history of bathing since the Silla dynasty in Korea. Due to long development of hot spring water, it is expected that the amount of hot spring water in Dongrae hot spring has been changed. In this study, long-trem water level data of Dongrae hot spring were examined for recognizing the change of the hot spring. By the fluctuation analysis of the hot spring water level from January 1992 to July 2018, the maximum and minimum annual drawdowns of no. 27 well were 137.70 and 71.60 meters, respectively, with an average drawdown of 103.39 m.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and minimum annual drawdowns of no. 29 well were 137.80 and 71.70 meters, with an average drawdown of 103.49 m. Besides, drawdown rate became bigger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analyzing autocorrelation of the two well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anged from 0.919 to 0.991, showing seasonal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as well as water level and hot spring discharge resulted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280 ~ 0.256 and 0.428 ~ 0.553, respectively. Therefore, using Dongnae hot-spring water level data from 1992 to 2018, the Mann-Kendall test and Sen's test showed that the continuous decline of water level was mainly caused by the pumping of the hot spring water among various rea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