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raditional Spa and Newly-established Spa

전통온천과 신설온천의 지질학적 특성 비교

  • 이영희 (강원대학교 DMZ HELP 센터)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main reas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due to an indiscreet development of spa is the law of spa in use. According to the law of spa, the water of spa is ordained not mineral component and its efficacy but water temperature of over $25^{\circ}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spa and newly-established spa based on heat flow, geological rock, and fault relating to spa in order to call attention to a revision of the law of sp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spas was in accord with places which are Pohang, Bugok, Dongrae and Haeundae-gu of Busan, Uljin, Chungju, Usung-gu of Daejeon, Yesan, Asan, and Ichon. The heat flow of these places is over 67mW/m2 that is an average of South Korea. Relating to a fault, 92.3% of the traditional spas concurs with a fault and 33.5% of newly-established spa is in accord with a fault. 58.2% of the traditional spas and 42.7% of the newly-established spa are consistent with the granite.

현행 온천법은 온천수를 광물질 성분이나 그 효능에 두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25^{\circ}C$ 이상의 수온으로만 온천수를 규정하여 온천의 무분별한 난개발과 그에 따른 환경파괴 및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천법 개정을 촉구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349개의 현행온천을 전통온천과 신설온천으로 구분하고 그 차이점을 온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지열류량, 지질암석, 그리고 단층선과의 상관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통온천은 지열류량이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 $67mW/m^2$보다 큰 포항, 부곡, 부산 동래구 및 해운대구, 경북 울진군, 충주, 대전 유성구, 충남 예산군, 아산, 이천 지역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반면에 신설온천은 337개의 온천 중에서 20.1%인 68개의 온천만이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 $67mW/m^2$ 이상인 지역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단층선과 지질암석과의 관계에서 전통온천은 92.3%가 단층선과 일치하고, 58.2%가 지질암석 중에서 화강암의 분포지역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에 비해 신설온천은 총 337개 중에서 33.5%인 113개의 온천만이 단층선과 일치하였고, 화강암 분포지역과의 상관성 정도는 42.7%로서 전통온천 보다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견, 2003, 온천여행, 서울문화사. 서울
  2. 국립지리원, 1981, 지도와 지명, 진명사, 서울
  3. 김규한, 2007, 한국의 온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4. 김기빈, 1989, 한국지명의 신비, 지식산업사, 서울
  5. 김형찬, 2004, 남한의 지열류량과 지질 자료를 이용한 지열이상대 해석, 충남대 박사학위논문
  6. 내무부, 1983, 온천지, 동양문화인쇄, 서울
  7. 대한지질학회, 1998,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래스, 서울
  8. 류재영, 1982, 전래지명의 연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이리
  9. 민족문화연구원, 2007, 민족문화의 공간과 미학,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창설 50주연 기념 학술발표회
  10. 설혜심, 2001, 온천의 문화사, 한길사
  11. 소재두(역), 2006, 한국 온천이야기, 논형(다케쿠니 토모야스 원저)
  12. 송윤호 외 14인, 2004, 지열자원 부존특성 규명 및 활용기반기술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3. 이민부.전종한, 2005, '추가령 지명의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14. 이영희, 2001, 관광지 라이프사이클 모형개발-수안보온천을 사례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태종.송윤호(역), 2004, 지열에너지란?, 한국지질자원 연구원(Dickson, M.H. and Fanelli, M.)
  16. 임정웅 외 4명, 1992, 한국온천의 지열적 특성, 과학기술처 한국자원연구소 KR-91-(B)-3
  17. 임정웅.이승구.염병우.김형찬, 1996, 지열자원 조사연구, 한국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96(C)-17
  18. 정관호.윤중한(편), 1982, 전국행정구역명람, 행정출판부, 서울
  19. 정경숙, 1989, 한국 온천과 약수, 하나의학사, 서울
  20. 최현정, 1997, 남한의 온천지역의 열수와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형기주 외, 1995, 지리부도, (주)보진재
  22. 光岡雅彦, 1982, 韓國古地名の謎, 學生社, 동경
  23. 越智唯七, 1917,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兵林館印刷所
  24. Chung, S. H. and Park, Y. S., 1999, Geothermal resources in Korea - Present status and perspective, Chinetsu, 36(3), 194-202
  25. Lund, J. W. and Freeston, D., 2001, World-wide direct uses of geothermal energy 2000, Geothennics, 30, 29-68
  26. Vrouzi, F., 1985,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eothermal resources in Greece: 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Geothermics, 14(2/3), 213-227 https://doi.org/10.1016/0375-6505(85)90063-X
  27. Wollenberg, H. A., 1982, Geothermal resource explorati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89, 375-386
  28. http://kin.searc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