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동영상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온라인 동영상 부가정보 처리 기술

  • Park, Yu-Mi;Heo, Se-Yeong;Lee, Jin-U;Choe, 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3
    • /
    • pp.18-28
    • /
    • 2015
  • 현재 온라인 동영상 트래픽은 인터넷 전체 트래픽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인터넷 상에서 온라인 동영상의 생성과 배포에 관한 생태계가 견고히 구축되었고, 유통되는 동영상의 품질이나 압축기술 등은 그 어느 때보다 급속히 발전되어 왔다. 그에 비해 동영상의 활용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이용자가 주로 동영상을 찾고 보고 듣는 데 그치고 있다. 그러나 동영상에는 스토리, 등장인물, 배경이 되는 장소, 의미 있는 사물 등과 같은 부가 정보들이 내포되어 있어 이 정보를 적극 활용하면 동영상의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동영상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동영상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모델링하고, 표현하는 기술들에 관해 고찰한다. 더불어 현재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살펴보면서 부가정보를 적극 활용하게 될 미래의 동영상 서비스를 가늠하고자 한다.

Content analysis of video lecture on making electric car for prospective teachers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기 자동차 만들기 동영상 강의 컨텐츠 분석)

  • Lee, 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43-44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상에서 수행된 실습 수업 방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전기 자동차 만들기'수업 주제로 실습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온라인 동영상 강의 컨텐츠 3편을 제작하였다. 동영상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해 교수용 홈페이지 제작, 수업에서 사용할 동영상 제작, 과거 촬영하거나 제작해 두었던 동영상 준비, 실습 재료 준비, 실습 활동 관련 교과서 준비 등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사전에 준비하였다. 동영상 강의 컨텐츠는 CODTRA 분석 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분석 코드는 '동영상에서 제시된 교수학습자료'와 '교수자가 행하고 있는 상태'이었다. 분석 결과는 CODTRA 다이어그램에 의해 분석 코드를 시간에 따라 도식화하여 도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중등학교의 기술 교과나 공업계 교과에서 온라인 실습 수업을 위한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on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ors in China (중국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발전 현황과 사례 분석)

  • Park, Sung-Eun;Lee, Gun-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137-147
    • /
    • 2016
  • The Online video content service developed into one of the most popular network service of internet and mobile users. The number of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ors are rapidly increasing in China. But, at present,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ors in china has the following problems: severe similar content, copyright infringement issue and profit model abs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these distributors, especially YoukuTudou and iQiyiPPS. This study also reviews the stage of development and current situation of online video content market in china.

A Research on Online Video Content Distributors in China (중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비즈니스 사례 비교 연구)

  • Lee, gun-woong;Park, s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33-134
    • /
    • 2015
  • 중국 콘텐츠산업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와 시장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중국 특색의 환경 요인이 작용했다. 특히, 중국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관련 업체들은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우위를 지속하며 경쟁력 강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성장요인을 살펴보는 한편, 대표적인 업체인 유쿠투도우와 아이치이PPS의 인수합병을 통한 비스니즈 사례를 비교하고자 한다.

  • PDF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이 제품 및 서비스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임권순;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1-13
    • /
    • 2023
  • 대기업 등을 비롯한 중소기업들은 여러 광고 매체를 이용해 자사의 상품이나 브랜드 이미지를 홍보하는 것 이외에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가공, 소개하며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의 동영상 마케팅이 소비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인 매출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이미 파악하고 접근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상대적으로 소상공인들은 동영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에서 효과적으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 동영상 마케팅을 시행하고자 할 때 동영상은 어떤 요소들이 충족되어야 하는지를 연구하려고 한다. 그리고 정확하게 동영상의 어떤 요소들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상승시키는지와 같은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 부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동영상의 요소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구매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동영상의 요소들을 역설적으로 소상공인들에게 영상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video class using the online learning judgement system :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온라인 학습판단 시스템을 활용한 e-러닝 동영상 수업의 효과연구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 Kim, Jihyun;Jung, Jaebum;Jo, Jaechoon;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2
    • /
    • pp.141-1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in e-Learning video lessons. In an elementary school where the educational videos are frequently used, the learning about video materials is important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all students by a teacher in a classroo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ield, In the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 learning using video material was conducted by using the online learning judgment syste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learning using video material was conducted by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controlled group.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lass using the online learning judgment syste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learner 's academic achievement. It also positively influenced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Teachers'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teachers. However, The mean value of the teachers'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 and the deviation was small.

A Design of Automatic Words Generation Model for Wandering of Online Learner Judgement System (온라인 학습자의 주의집중 판단 시스템을 위한 단어 자동생성 모델 설계)

  • Jo, Jaecho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966-968
    • /
    • 2015
  • 온라인 교육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학습자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기반의 단방향적인 지직전달 방식인 온라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주의집중 여부가 학습 효과 및 학습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주의집중 판단 단어 자동생성 모델을 설계하고 제안하였다. 학습자가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면 시청중인 콘텐츠의 단어와 기존에 학습했던 모든 콘텐츠의 단어를 호출하여 단어별 가중치 값을 계산하고 상위 단어들을 주의집중 판단 단어 셋으로 자동 생성한다. 생성된 주의집중 판단 단어 셋은 주의집중 판단 시스템에서 적용되어 학습자들이 동영상 콘텐츠에 단어가 노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의집중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Based Online Science Class Video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lass Content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개발된 수업 콘텐츠의 특징 분석)

  • Shin, Jung Yun;Park, Sa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6
    • /
    • pp.595-60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online science class videos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ir perception of online science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content developed by teachers.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made online science class videos themselve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online science class video produced by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participants in the study recognized the lack of production time, difficulty in filming and editing, concerns over misconceptions, the problem of solving copyrights for existing materials, and the burden of external disclosure. Although it was a teacher who had experience producing online science class video contents, no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answered the merits of online scienc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participants cited that the shortcomings of online science classes were that students had fewer opportunities for inquiry and lack of communication or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se shortcomings were thought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online science classes, especially in making inquiry classes difficult. Some teachers took a negative view that online science classes could not completely replace face-to-face classes. However, if multiple teachers are presented with supplementary teaching activities that complement the content-based online teaching method, the method of combining online scienc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is no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the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steps of the online science class were similar to the process of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but the inquiry step and the conceptual explanation step showed a big difference from the face-to-face science class.

The present and prospect of Online Video, Music service and Media Usage (온라인 동영상, 음악서비스 및 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 -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 Kim, Sun-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1
    • /
    • pp.137-144
    • /
    • 2015
  • This study tried to anticipate the near future changes of domestic online video, music service and media usage through the status quo. The research group was focused on the twenties, University students because they are the active media contents users. It surveyed the students in Busan, and used the method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tate and near future prospect. This study shows that almost half of them use both services, and three people out of ten are the heavy users who use the services for over 3 hours a week. The streaming method is higher proportion than download method in using type. They are getting accustomed to pay contents cost, but it couldn't be said the paying content cost has been established. Preferred contents genre appears to be the RMC(Ready Made Contents) such as existing broadcaster contents and movies. Notable result on media usage was the proportion of the so-called 'Zero-TV'. It was 32%,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the total population(4.4%). Integrating the analysis results, we can expect that the usage pattern will be changed gradually, thus the advent of various revenue models will emerge.

Prototyp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lligent Video Interview System for Online Recruitment (원격 온라인 인력 채용을 위한 지능형 동영상 면접시스템 설계 및 시작품 개발)

  • Cho, Jinh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2
    • /
    • pp.189-194
    • /
    • 2018
  •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trend of the blind hiring culture focused on job competency rather than education specification as government initiativ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document-oriented online recruitment process, we proposed a system architecture design of video interview system. In addition, we hav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and performance experiment based on it. The proposed online video interview system is designed to combine intelligent Web technology to enable customized job matching and distant job coaching. This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recruitment cost and opportunity cost of job seekers. Based on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commercialization of the proposed video interview system can be expected to be an practical online recruitment solution for the job competency based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