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정렬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42초

고기동 영상촬영 저궤도 위성 자세제어계 궤도상 보정 (AOCS On-orbit Calibration for High Agility Imaging LEO Satellite)

  • 윤형주;박근주;임조령;최홍택;서두천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2호
    • /
    • pp.80-86
    • /
    • 2012
  • 빠르게 기동하면서도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자세지향 및 높은 지향안정도가 요구된다. 자세제어계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고성능 별추적기와 자이로를 장착하고 있다. 하지만, 위성에 장착된 자세센서인 별추적기와 자이로는 발사환경과 발사체에서 분리된 후 놓여지는 우주환경의 영향으로 지상에서 예측한 위성 동체기준좌표계에서 벗어난 오정렬 값을 가지게 되며, 자세제어계에서는 자세지향 오차 및 기동 성능 향상을 위해서 해당 오정렬 값을 추정하여 보상해주는 궤도상 보정을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기동 저궤도위성의 초기운용기간 중 위성본체 성능확인 단계에서 자세제어계에서 수행한 궤도상 보정에 대해서 기술하고 실제 얻어진 자세지향 및 지향안정도 성능 향상 결과를 제시한다.

마스크 오정렬 및 결정 결함이 PN 접합 아이솔레이션의 항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sk Misalignment and Crystal Defects on the Breakdown characteristics in the PN Junction Isolation)

  • 조경익;백문철;송성해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7-53
    • /
    • 1984
  • PN 접합 아이솔레이션의 항복 특성, 특히 소프트 항복 현상에 대해, 아이솔레이tus 마스크를 오정렬시킨 정도와 공정중 생성된 결함들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이솔레이션 마스크를 인위적으로 오정렬시킴으로써, 매입층과 아이솔레이션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켰을 때, 이것은 항복 전압에만 영향을 줄 뿐 소프트 항복 현상과는 무관하였다. 소프트 항복 현상, 즉 항복 전압 이하에서 역방향 누설 전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은 소자 제조 공정중 생성된 산화 적층 결함(OSF)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웨이퍼 레벨 적층 공정에서 웨이퍼 휘어짐이 정렬 오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fer Warpage on the Misalignment in Wafer Level Stacking Process)

  • 신소원;박만석;김사라은경;김성동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웨이퍼 레벨 적층 과정에서 발생하는 웨이퍼 오정렬(misalignment) 현상과 웨이퍼 휘어짐(warpage)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0.5{\mu}m$ 두께의 구리 박막 증착을 통해 최대 $45{\mu}m$의 휨 크기(bow height)를 갖는 웨이퍼를 제작하였으며, 이 휘어진 웨이퍼와 일반 웨이퍼를 본딩하였을 때 $6{\sim}15{\mu}m$ 정도의 정렬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는 약 $5{\mu}m$의 웨이퍼 확장(expansion)과 약 $10{\mu}m$의 미끄러짐(slip)의 복합 거동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웨이퍼 휘어짐의 경우 확장 오정렬보다 본딩 과정에서의 미끄러짐 오정렬에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기동위성 지상처리 정밀자세결정 성능 향상

  • 박근주;임조령;우현욱;서두천;이선호;최홍택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77.1-177.1
    • /
    • 2012
  • 국내기술로 개발된 고기동 위성이 해상도 70cm급 광학카메라를 탑재하고 태양동기궤도를 따라 지구 주위를 하루에 14바퀴이상 돌면서 임무를 수행한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 자세제어계에서는 고성능 별추적기와 자이로를 사용하는 정밀자세결정 로직과 반작용 휠을 사용하는 자세제어 로직을 운용한다. 자세제어계에서는, 발사환경 및 우주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자이로의 오정렬, SF오차, 별추적기 상호간 오정렬에 대한 상대보정과 탑재컴퓨터에서 결정한 궤도 및 자세정보와 영상 기준점 정보를 이용하여 절대보정을 수행한다. 한편, 탑재 알고리즘에서는 강건한 자세결정로직을 운용하고 있고, 별추적기의 측정지연 보상, 처리 주기내의 평균 각속도 사용 등 실시간 운용으로 인한 제한으로 성능상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정밀자세결정 지상 후처리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 개발된 지상처리용 정밀자세결정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접속요구규격에 맞춰 업그레이드하였다. 지상처리 정밀자세결정을 위해서 탑재컴퓨터는 영상촬영 전후 일정기간 동안 별추적기 데이터, 자이로 데이터, 탑재컴퓨터에서 결정한 자세정보 등을 매 탑재컴퓨터 처리 주기로 저장하여 지상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상처리용 정밀자세결정 소프트웨어는 정밀궤도 정보와 결합하여 정밀자세결정을 수행한다. 고기동 위성의 경우 기동 후 정밀자세결정 수렴 속도 향상이 필요하며, 소프트웨어의 필터 파라미터를 조율하여 성능을 향상하였다.

  • PDF

다중빔 음향측심기 수심 정확도 개선 (Improvement of Multi-beam Echo Sounder's Depth Accuracy)

  • 최철웅;김연수;서용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5
  • 다중빔 음향측심기는 수심의 3∼4배되는 주사 폭으로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량하므로 자료의 정밀도와 작업효율성이 단빔 음향측심기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빔의 생성 및 계측 원리가 정교하여 탐사선의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가장치의 정확한 조정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빔 음향측심기의 정확도 향상을 목적으로 평탄 해저지형에서 빔의 중앙과 ± 45°의 빔각을 이루는 지역의 수심단면을 가시·통계적으로 분서한 결과, 관성센서의 진동과 부가장치의 오정렬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여 부가장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방진재를 관성센서에 부착하여 선체로부터 받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선체 자세요소와 부가장치의 오프셋 값을 정밀 계측하여 수평자세요소 값으로 변환·정렬시켰다. 그 결과, ±45° 빔각 지역의 수심 정확도는 IHO S44의 1등급 수로측량 수준에서 특등급 수로측량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오정렬에 의한 중첩구역의 물결무늬 현상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회전체의 축정렬 연구 (A Study on Shaft Alignment of the Rotating Machinery by Using Strain Gages)

  • 김경석;장완식;나상수;정현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6-132
    • /
    • 2002
  • Misaligned shafts of the rotating machinery have caused noise, vibration. bearing failures, and stress concentration of coupling parts which decrease the efficiency and life of shaft systems. Therefore the proper shaft alignment of those system should be monitored continuously in dynamic condition. To solve these problems under dynamic condition a telemetry system is used. In this study, the condition of the least bending moment which is known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stress induced by misalignment is found. After the shaft is aligned by dial gage, a telemetry system with strain gages is installed on shaft. The relationship between bearing displacement and moment of coupling part influenced by misalignment is investigated. The moment derived from two shaft strain at the nearby coupling is measured. The bending strain is measured 5 times for average in static state as well as in dynamic state with 100∼700 rpm.

화이버 요소를 이용한 3차원 강구조물의 개선소성힌지해석 (Refined-plastic hinge analysis of 3D steel structures using fiber elements)

  • 김승억;오정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1-287
    • /
    • 2004
  • In this paper, the refined plastic-hinge analysis accounting for gradual yielding with fibers on a section is developed. Geometric nonlinearities of member(P-δ) and frame(P-Δ) are accounted for by using stability functions. Residual stresses are considered by assigning initial stresses to the fiber on the section. The elastic core in a section is investigated at every loading step to determine the axial and bending stiffness reduction. The strain reversal effect is captured by investigating the stress change of each fiber. The proposed analysis proves to be useful in applying for practical analysis and design of three-dimensional steel frames.

  • PDF

반사판의 표면거칠기와 구조의 오정렬에 의한 파라볼라 반사판 안테나 패턴 일그러짐 계산 (Calculation for the pattern degradation of the parabolic reflector caused by both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flector and the structural misalignment)

  • 김주완;김병성;남상욱;이충웅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1호
    • /
    • pp.36-44
    • /
    • 1995
  • For a parabolic reflector antenna, a simple method is presented for computing efficiently the average power pattern degradations caused b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flector and misalignments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feed. In this procedure, both nonuniform surface errors and nonuniform illuminations are employed. The assumptions to derive the expressions are that in each annular region of the antenna, the rms value of the surface roughness is known, and in a zone in a annular region, the phase error by misalignments is constant, and can be taken to its value at the center of the zone. Detailed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with derived expression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ose errors and illumination tapers on parameters such as gain and sidelobe levels.

  • PDF

상용 자기유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인체영향 분석 (Human Effect for Commercial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Operating at Low Frequency)

  • 강준석;이승우;홍익표;조인귀;김남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382-39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저주파 대역 자기유도방식 상용 무선충전기기에 대해 특정 노출 조건을 고려하여 인체영향을 평가하였다. 상용 무선충전기기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 제안하는 Qi 규격 중 A10 모델을 대상으로 했으며, 155 kHz의 공진 주파수에서 5 W의 출력으로 동작한다. 송 수신기가 완벽히 정렬된 상태에서, 기기로부터 방사되는 누설 자기장은 기기의 측면에서 최대 $257.58{\mu}T$로 ICNIRP 2010 기준인 $27{\mu}T$보다 7.4배 초과하는 세기를 보였다. SAR(Specific Absorption Rate)는 젖은 피부의 전기적 상수를 적용한 균질 인체팬텀을 이용해 평가하였으며, 마찬가지로 기기의 측면에서 대략 $134.47{\mu}W/kg$으로 최댓값을 보였지만, 10 g 평균 SAR 국제 기준인 4 W/kg에 상당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오정렬 상태를 고려한 노출 조건에서 SAR는 대략 $199.43{\mu}W/kg$으로 일반적 노출 조건보다 대략 48 % 이상 증가했고, 이를 통해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인체영향을 평가할 때 오정렬 상태 또한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