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유전자 분리 및 담배로의 형질전환 (Isolation of Coat Protein Gene from Cucumber Mosaic Virus and Its Introduction into Tobacco)

  • 손성한;김경환;김영태;박종석;김주곤;이광웅;황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9-155
    • /
    • 1995
  • 국내에서 분리 동정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CMV)로부터 외피단백질(CP)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129번째 아미노산이 proline으로서 mosaic symptom을 보이고 염기 및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subgroup I (type I)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CP 유전자를 식물형질전환용 운반체에 삽입하여 담배 재배종인 NC82와 바이러스 증식용인 Samsun에 잎절편을 통하여 형질전환시켰다. 형질전환된 담배의 DNA를 분리하여 Southern blotting과 PCR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형질전환체에 CP 유전자가 삽입되였음을 확인하였고 T$_1$ 종자를 kanamyc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후대 항생제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1개의 CP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가 50%에 달했고 2개와 3개의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도 각각 39%와 11%에 달했다.

  • PDF

참깨의 모자이크 증상에서 분리한 수박${\cdot}$모자이크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A virus disease of sesame (Sesamum idicum L.) caused by watermelon mosaic virus (WMV))

  • 장무웅;이창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3-198
    • /
    • 1980
  • 참깨, 호박, 오이의 모자이크 증상주에서 전자현미경 및 즙액접종에 의하여 분리한 바이러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바이러스를 즙액접종 하였을 때 P. vutgaris, P. sativum, S. indicum, C. melo, C. maxima, C. pepo는 전신감염, C. amaranticolar는 국부감염 되었다. 2. 본 바이러스는 M. persicae로 쉽게 전반되었고, 종자전염은 하지 않았다. 9. 조즙액중의 물리성은 내열성이 $55\~60^{\circ}C$(10분), 희석성이 $10^{-3}\~10^{-4}$, 내보존성이 $10\~14$$(22^{\circ}C)$이었다. 4. 본 바이러스의 형태는 길이 $750\~800nm$의 사상립자이고, 본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세포질내에서 세포질봉입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5. 본 바이러스에 감염된 S. indicum, C. amaranticolor의 병엽초박절편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던바, 각종세포의 세포질내에 사상립자가 병행배열 또는 산재해 있고, 또 사상립자와 함께 반드시 세포질내입체(pinwheel, boundles, laminated aggregates)가 확인되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서 참깨 모자이크병의 병원바이러스를 Watermelon mosaic virus(WMV)로 동정하였다.

  • PDF

치즈 유청의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와 고추모틀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heese Whey on Cucumber Mosaic Virus and Pepper Mottle Virus in Capsicum annuum)

  • 정봉남;권선정;최국선;윤주연;조인숙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103-108
    • /
    • 2020
  • 치즈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유청이 진딧물에 의해 전염되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와 고추모틀바이러스(pepper mottle virus, PepMoV)의 감염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고추 '청양' 품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온실에서 유청 원액 및 원액을 물로 2-20배로 희석하여 고추 '청양' 품종에 분무한 후 복숭아혹진딧물을 이용하여 CMV-Vch를 접종한 결과, 원액을 처리한 실험 구의 감염률이 6.6%로, 대조로 물을 처리한 실험 구의 감염률 23.3%에 비해 저하되었다. 노지에서 재배하는 고추 '청양' 품종에 CMV는 인위적으로 접종하지 않고 자연 감염되도록 둔 상태에서 정식일부터 6월 말일까지 1주일 간격으로 유청 원액을 분무 처리한 결과, 6월5일 이전에 자연적으로 CMV에 감염된 식물체의 비율이 무처리와 살충제 처리에 비해 각각 18.9%와 16.7% 감소하였다. 유청의 식물 바이러스 감염억제에 대한 작용 기작을 알기 위하여 온실에서 PepMoV-kr에 감염된 식물체 즙액과 유청을 1:1로 혼합하여 고추에 인공접종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외피단백질 농도 변화를 웨스턴 블로팅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접종 6일 후 대조에 비하여 적었으나, 접종 9일 후에는 대조와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청이 고추에 발생하는 서로 다른 속에 속하는 두 종류의 바이러스인 CMV와 PepMoV에 의한 감염 억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국내 닭의장풀에서 분리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 유전자와 병징 다양성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from Commelina communis in Korea)

  • 박태선;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70-173
    • /
    • 2018
  • 춘천과 충주에서 퇴록현상과 모자이크 병징이 뚜렷한 닭의 장풀을 채집하여 바이러스 분리 동정하였다. 해당 바이러스는 RT-PCR과 RFLP 분석결과 CMV로 동정되었으며, 닭의장풀 CMV 분리주들은 서로 다른 서브그룹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외피단백질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각 CMV 분리주들은 CMV-Fny와 비교 하였을 때 CMV-Co와 96.3%, CMV-Co2는 96.3%, CMV-Co3는 95.9%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주 반응 분석 결과 닭의장풀 분리주들은 대조바이러스(CMV-Fny)와 달리 C. pepo에서 전신 괴사병징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Physalis angulata과 N.rustica의 경우 닭의장풀 분리주 간에 병징의 차이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국내 닭의장풀에서 분리된 CMV들에서 유전적, 생물학적 다양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관내에서 합성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RNA단편을 성공적으로 절단한 ribozyme의 식물체내의 발현 (Expression of in vitro-tested ribozyme against cucumber mosaic virus RNA in tobacco plant)

  • 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55-360
    • /
    • 1996
  • 시험관내에서 합성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RNA단편을 성공적으로 절단한 ribozyme (한국농화학회지 37: 56-63(1994))을 담배 식물체에 발현시켜 바이러스 저항성 식물체를 만들려고 하였다. 해당 ribozyme의 염기서열을 함유한 DNA 단편을 꽃양배추 바이러스 35S promoter와 nopaline 합성효소 terminator에 연결시키고 연결 부위 및 ribozyme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을 확인한 합성유전자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에 합성유전자를 함유한 E. coli HB101을 E. coli HB101(pRK2073)를 helper로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함께 배양하는 tri-parental mating system을 이용하여 도입시켰다. Ribozyme 유전자를 함유한 Agrobacterium 세포를 담배잎 조각과 함께 배양한 후 항생제인 kanamycin을 함유한 MS 배지에서 자란 열개의 작은 식물체를 재분화하였다. 형질전환한 식물체내에 ribozyme 유전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합성효소증폭반응(PCR)을 이용하였던바, 일곱개체가 예상된 570 염기쌍의 DNA 단편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중 네 개체로부터 RNA을 분리하여 formamide를 함유한 agarose에서 전기영동한 후 35S-ribozyme-nos의 DNA 단편으로 Nor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였던 바, 식물세포내의 nuclease에 의해 ribozyme RNA가 분해된 듯 감지 할 수 없었다. 따라서 ribozyme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저항성 식물체를 얻으려면 nucle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ribozyme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006년과 2007년 상주와 구례에서 발생한 오이 바이러스병의 병징 특성 (Symptoms of Cucumber Virus Diseases Occurred in Sangju and Gurye in 2006 and 2007)

  • 조점덕;이중환;고숙주;최홍수;이수헌;최국선;김정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6-204
    • /
    • 2011
  • 오이 주요재배지인 상주와 구례에서 오이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2006년과 2007년에 조사하였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 오이의 병징 발생률은 농가 포장에 따라서 14%에서 90%이었으며 평균 발생률은 46%이었다. 전라남도 구례 지역의 경우 농가 포장에 따라서 9%에서 100%이었으며 평균 발병률은 48%이었다. 주요 발생 바이러스는 CGMMV, ZYMV, PRSV와 WMV2의 4종류였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단독감염과 복합감염 형태로 발생하였다. 2006년과 2007년의 평균 감염률을 보면 단독감염의 경우 ZYMV가 23.5%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PRSV가 13.0%, CGMMV가 9.0%, WMV2가 2.0% 순서이었다. 복합감염의 경우에는 2종 바이러스 복합감염이 31.5%, 3종 복합감염이 7.5%, 4종 복합감염이 2.0% 발생하였다. 오이에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 감염형태는 단독감염과 2종 복합감염이 각각 47.7%와 31.5%로 총 88.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오이에 발생한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으로 많이 발생되는 바이러스로는 ZYMV, CGMMV, PRSV, BBWV2의 순서이었다. 단독감염된 오이의 병징은 다다기 계통이나 취청 계통 오이 모두 비슷한 병징이 나타났으나, CGMMV의 경우 퇴록 반점, 엽맥 퇴록, 엽맥 쭈그러짐 등 매우 다양한 병징이 나타났다. ZYMV는 엽맥 퇴록 병징을 위주로 심한 모자이크 및 기형 병징이 나타났다. 그 이외의 PRSV, WMV-2의 병징은 CGMMV와 ZYMV에 의한 병징에 속하는 비교적 약한 병징이었다.

열무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from Raphanus sativus L.)

  • 이선주;홍진성;최장경;김은지;이긍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1-215
    • /
    • 2011
  • 모자이크증상을 나타내는 열무로부터 Cucumber mosaic virus의 한 계통을 분리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Vigna unguiculata,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Gomphrena globosa에서 분리 바이러스의 기주반응과 dsRNA 분석, RT-PCR 검정, PCR-RFLP, 혈청학적 분석을 통하여 CMV의 한 계통임을 확인하였다. 이 CMV 계통을 다양한 지표식물에 접종하였을 때, Nicotiana benthamiana와 N. glutinosa, N. tabacum, 고추, 오이 그리고 멜론에서는 전형적인 강한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났으나, 열무, 배추, 적갓은 매우 약한 병징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새롭게 분리된 CMV 계통은 가지과, 박과 및 배추과 등 광범위한 작물에 감염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추과에서의 감염성 차이를 근거로 Gn-CMV로 명명하였다. Double-stranded (ds) RNA를 분리한 분석에서 Gn-CMV는 기 보고된 CMV 계통과 마찬가지로 3.3, 3.0, 그리고 2.2 kb의 독립된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SDS-PAGE와 Western blotting 분석으로 통하여 28 kDa의 외피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RT-PCR로 얻어진 증폭산물을 Cac8I, ClaI and MspI을 이용한 PCR-RFLP를 통하여 CMV subgroup I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월초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 첫 보고 (First Report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Sambungai (Gynura procumbens))

  • 권준;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79-382
    • /
    • 2017
  • 2016년 3월, 모자이크와 황화 병징을 보이는 명월초 잎에서 CMV를 분리하여 CMV-Gyp로 명명하였다. 기주식물의 생물적 반응과 RT-PCR, PCR-RFLP, 이동단백질 및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V를 동정하였다. 가지과(담배, 고추, 꽈리)와 비름과(흰명아주, 붉은명아주)에서는 전형적인 CMV의 병징이 나타났으나 박과(쥬키니호박, 오이)에서는 병징이 발현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3a 및 CP 유전자의 계통학적 분석 결과, CMV-Gyp가 CMV Subgroup II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CMV-Gyp의 이동단백질과 외피단백질유전자의 서열은 아미노산 수준에서 CMV-Hnt와 99.3% 및 100% 일치하였다. 이 논문은 명월초에서 CMV 감염에 대한 첫 보고이다.

고추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GTN)의 특성과 고추 품종의 저항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Cucumber mosaic virus-GTN and Resistance Evaluation of Chilli Pepper Cultivars to Two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s)

  • 최국선;권선정;최승국;조인숙;윤주연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99-102
    • /
    • 2015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고추에 심한 피해를 주는 바이러스이다. 2013년 고추 품종 청양의 선단부위에 괴저증상이 나타난 식물체로부터 CMV를 순수 분리하였고 이 분리주를 CMV-GTN으로 명명하였다. CMV-GTN과 기존에 특성이 잘 알려진 CMV-Ca-P1을 대상으로 외피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여러 기주식물에서 생물적 반응을 비교하였다. CMV-Ca-P1의 외피단백질 아미노산은 217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CMV-GTN은 아미노산 서열 57번째에 발린이 추가된 218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CMV-GTN과 GeneBank에 등록된 다양한 CMV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유전자 유사성은 96-99%였다. 생물 검정에서 토마토와 고추에서 병원성이 강하게 발현되는 CMV-GTN을 고추 품종에 대한 저항성 스크린을 위하여 선발하였다. 고추 시판 품종 135종에 대하여 CMV-GTN으로 검정하였고 CMV-Ca-P1과 저항성 반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CMV-GTN에 대하여 저항성 반응을 표현한 품종은 프레미엄, 중도 저항성 품종은 핫스타, 카이저, 굿쵸이스였다. 한편 CMV-Ca-P1에 대한 저항성 품종은 베로따와 카이저였다.

PCR기법을 이용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개나리 분리주(CMV-Fk)의 동정과 구분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Forsythia koreana (CMV-Fk) Using PCR Techniques)

  • 이상용;박선정;최장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8-313
    • /
    • 1998
  •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echiniques were used to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Forsythia koreana (CMV-Fk). RT-PCT used by two set of 20-mer primers one was CMV-common primers and another was CMV subgroup I-specific primers designed in a conserved region of the 3' end of CMV RNA3, amplified about 490 bp and 200 bp DNA fragments from CMV-Fk, respectively. CMV could be detected by RT-PCR at a dilution as low as 10-4 in forsythia crude sap extracts.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RT-PCR products using EcoRI and MspI showed that CMV-Fk belonged to CMV subgroup I. But, analysis of RNA fingerprinting by arbitrarily 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 (RAP-PCR) showed heterogeneity of RNA3 between CMV-Fk and CMV-Y as a member of subgroup 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