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of Waterbirds in the west coast of Korea is Saemangeum and its mudflat, located within the estuary of the Dongji and Mankyung Riv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wintering waterbirds in Saemangeum from November 2008 to February 2009. Waterbirds and Raptor are 69 species and 409,044 individuals by the sum of peak counts were recorded. We classified the wintering waterbirds into 14 groups of taxa based on the similar ecological attributes. The dominant species were Baikal Teal Anas formosa, Mallard Anas platyrhynchos, Greater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Greater Scaup Aythya marila. Greater White-fronted Goos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urvey period. Baikal Teal, Greater White-fronted Goose, Bean Goose, Greater Scaup, Common Shelduck Tadorna tadorna were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last report but Mallard,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Dunlin Calidris alpina were no difference.
국내산 오리고기의 차별화를 위해 가금류에 대한 원산지 표시가 의무화 되어 있지만 생산에서 소비까지 품질관리가 업체 자율에 맡겨져 있어 소비자가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직 미흡한 단계다. 이에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는 '오리고기 등급판정'을 지난 2011년 11월 21일부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해 2012년 7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실시하여 오리고기 제품에 품질등급 및 등급판정일자를 표시토록하고 품질공정관리를 통해 수시 모니터링을 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오리고기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지난 10월에서 소개한 바 있다. 그렇다면 우리 식탁에 올라오는 등급판정 받은 오리고기의 등급판정 과정을 어떻게 될까? 이번 11 월호에는 그 과정을 따라가 보자.
The duck meat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nd is likely to continue with genetic and husbandry advances, making duck increasingly competitive to other poultry and meat products. Duck meat currently represents less than 10% of total poultry meat production and is largely concentrated in China and southern Asia.
한국오리협회와 농협중앙회는 5월2일 오리데이(5.2 Day)를 맞아 양재동 하나로 마트에서 대대적인 오리데이 행사와 오리고기 홍보를 실시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오리데이 기념행사를 갖고 함께 시식하는 행사를 가졌고, 오리고기로 장식한 조형물 설치 및 52종 오리요리 전시회, 베이징덕, 철판요리 등 5천200여 명 분량의 오리요리 시식회, 한의사 박경호의 오리관련 한의학 특강 등이 펼쳐졌다. 최근 AI 발생으로 오리 등 가금류 소비가 많이 감소하고 있어 이날 행사장에서 오리고기의 경우 저항성이 뛰어나고 기운을 보강해 주는 음식으로 동의보감에 수록돼 있고, 'AI에 감염된 가금산물이라도 상온 $75^{\circ}C$ 이상에서 5분만 가열하면 바이러스가 모두 사멸되므로 익혀 먹으면 안전하다.'는 사실을 홍보했다.
2003년 12월 10일 국내에서 첫 발생한 고병원성 AI는 올해까지 15차례 발생하며 1억 4,000여 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됐고 이로 인한 방역예산 지출 누계액은 약 2조원에 달한다. 이 중 오리 발생 건수는 전체의 51.5%로 전체 가금산업에서 오리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감안하면 오리에서의 AI 발생이 많은 편이라고 볼수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열악한 오리산업과 이에 따른 시설 문제 등 근본적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오리사육제한 등으로 인한수급불균형으로 산업이 침체되고 있는상황에 대한 대책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오리 주산지의 지자체에서는 오리산업에 대한 지원을 보다 구체화 시키고 있다. 주요 지자체의 눈에 띄는 오리관련 신규 지원사업을 알아본다.
We used the visitation aspect of dabbling ducks(Anas spp.) to investigate the estuarine ecosystem of Nakdong River and to compare the data collected during two periods: trom May, 1989 to April 1993 and from May, 2002 to April 2006. Over for the 8 years of field surveys, 356,110 individuals from 11 species of dabbling ducks(Anas spp.) were observed in the Nakdong estuary. In the early 1990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gradually increased from October through November, whereas the highest numbers of species were recorded in October during the second survey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recorded during the second period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1990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t-test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5% level between November and February in both the early 1990s and the mid-2000s. During the winter, dabbling ducks select both estuarine wetlands as resting sites and rice paddy as feeding sites. More wintering migrants including ducks would visit to Nakdong river if we provide with enough rice paddy near the estuary. The farmland around Nakdong estuary is used by dabbling ducks as a habitat, we hope it must be conserved thoroughly. CRP(crop reserve program), implem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Kangseo-gu, Busan City is effective in conserving rice paddy; therefore, the CRP program need to be continuously appli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바야흐로 복날의 계절, 여름! 대표 보양식으로 손꼽히는 것은 닭과 오리! 복날 닭 소비량은 평소보다 50% 이상 급증한다고. 또한 오리 역시 최근 보양식으로 새롭게 뜨고 있는데...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 무더운 여름! 지친 체력을 위해 보양식으로 챙겨 먹는 닭과 오리, 과연 그 영양학적 가치는 어느 정도 일까? 청나라의 여황제로 중국전체를 호령했던 서태후도 오리고기를 즐겨 먹었다고... 역사가 인정한 절세 미녀 양귀비, 중국대륙을 호령한 청나라 여황제 서태후. 중국의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여인들인 이 둘에게 천년의 세월을 뛰어넘는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닭과 오리 즉, 가금류를 즐겨 먹었다는 것. 양귀비가 자신의 아름다운 피부를 위해 잊지 않고 챙겨먹었던 음식이 닭고기이다. 특히 콜라겐이 풍부한 닭날개를 가장 선호했다고... 또 대단한 정력가이자 미식가로 알려진 여걸 서태후는 오리고기를 즐겨 먹었다. 이렇게 두 여인이 사랑한 닭과 오리요리. 그 비밀을 밝혀본다.
Kim, In-Kyu;Lee, Han-Soo;Paek, Woon-Kee;Lee, Joon-Wo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4
no.2
/
pp.147-156
/
2010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002 to March 2006, using three urban streams(Gap Stream, Yudeung Stream and Daejeon Stream)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12,027 individual birds summed by the peak count in 126 species, 34 families, and 13 orders were observed from three stream sites. Dominant species were of Anas poecilorhyncha, Anas crecca, Columba livia, Passer montanus, and Egretta garzetta(in that order). The groups of bird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The most frequent group were the arbor birds(54 species), while the smallest group was the diving ducks(7 species).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s, the shrub bird group had 721 individuals while the dabbling ducks observed had 4,974 individual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birds appeareing in each stream, 14,885 individual numbers in 114 species were observed at Gap Stream, 6,642 individuals in 90 species at Yudeung Stream and 4,202 individuals in 69 species at Daejeon Stream. Various indices of the birds were analyzed with respects to the similarities between streams. Gap Stream had similar characteristics to Yudeung Stream, and the latter was similar to Daejeon Stream. However, Gap Stream and Daejeon Stream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dominance index of each section was calculated using ten dominant bird species top-down. Subsequently, the birds and their preferred environm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hrub birds and arbor birds preferred the upper stream of every stream, while herons and dabbling ducks inhabited the midstream. Dabbling ducks and some diving ducks appeared downstream.
Species of 741 charcoal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bout\;2500\~3100\;B.P)$ at Hyeonwha-ri, Pyungteak, Korea, were identified. Most of samples were deciduous oaks (Quercus spp.; $97.7\%$) and others were alders (Ainus spp.; $1.9\%$) and soft pines (Pinus spp.; $0.4\%$). Tree rings of nine largest samples were also examined. The numbers of annual rings were 8 to 36 and mean ring width was rather narrow $(0.65\~1.82\;mm)$. Most samples possessed pith and tylo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gs 10 to IS cm diameter had been used for the poles of house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he survey of birds in Nakdong River Basin was conducted from March in 2003 to February in 2004. This study shows that the population of birds was 94,481 individuals and 114 species. The bird recorded in Daemadeung (Ⅰ) was 21,781 individuals and 55 species. It is surrounded with silt to have a better condition for a habitat and the rest place than other areas in the Nakdong River Basin. In the traits of the groups, Grebes were well established in the lower estuary(Eulsook islet), Cormorants in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and around West Nakdong River (F). Swans, Shelduck and Shorebirds were using silt in the lower estuary where the depth of water is shallow, dabbling ducks were also established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diving ducks in the upper No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Besides, land birds was distributed in the Yummak (C), Eulsook islet (A) and West-Nakdong River (F).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the artifical forest in Eulsook Islet Garbage Field and Ⅱwoong islet, it is good for the land birds and the water birds to have a habitat in this kinds of vacant lot. The Nakdong River Basin is not only an important area as the habitat and rest place for ducks and geese but also one of the areas where we can not get out of the temptation to development. To preserve effectively the natural habitat from human s intervention, it needs to keep supervising in Daejeo Watergate (E) and the upper area Noksan watergate in West Nakdong River (F) and Yummak (C).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