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the Charcoals Excavated From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t Hyeonwhari, Pyungteak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 분석

  • Park, Won-Kyu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oo-Choul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수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Species of 741 charcoal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bout\;2500\~3100\;B.P)$ at Hyeonwha-ri, Pyungteak, Korea, were identified. Most of samples were deciduous oaks (Quercus spp.; $97.7\%$) and others were alders (Ainus spp.; $1.9\%$) and soft pines (Pinus spp.; $0.4\%$). Tree rings of nine largest samples were also examined. The numbers of annual rings were 8 to 36 and mean ring width was rather narrow $(0.65\~1.82\;mm)$. Most samples possessed pith and tylo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ogs 10 to IS cm diameter had been used for the poles of houses without further processing.

평택 현화리 청동기 시대 (약 2500-3100 B.P.)집터들 에서 발굴된 숯 741점에 대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이중 크기가 큰 9점에 대해서는 나이테의 수와 너비 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종은 대부분$(97.7\%)$ 참나무속 상수리나무류로 밝혀졌으며 나머지 수종은 오리나무속 오리나무류$(1.6\%)$, 오리나무속 두메오리나무류$(0.3\%)$, 소나무속 잣나무류$(0.4\%)$이었다. 나이테의 수는 $8\~36$개에 이르렀으며 나이테의 평균너비는 $0.65\~1.82mm$이었다. 나이테 분석 대상 숯시료는 모두 상수리나무류로 대부분 수(髓)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심재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타이로시스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지름이 $10\~15cm$ 이상인 임목이 특별한 가공없이 수간 형태로 주거지 기둥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