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자아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목회자 아내의 자아정체감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elf-Identit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Pastor's Wives: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 김신섭;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42-253
    • /
    • 2015
  • 본 연구는 목회자 아내들의 자아정체감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 아내 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경로분석과 Sobel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정체감과 영적 체험, 우울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영적 체험과 우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자아정체감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넷째, 영적 체험은 우울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목회자 아내들의 자아정체감과 영적 체험이 행복을 증진시키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 윤순영;민신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95-40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 도에 소재한 2개의 4년제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총 530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들의 자아탄력성, 영적안녕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 실존적 영적안녕, 종교적 영적안녕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고, 설명력은 39%였다. 결론적으로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제도적 접근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Meaning in Life in Adolescents with Leukemia)

  • 홍성실;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74-81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정도를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백혈병으로 진단받고 C대학병원에서 관해유도요법을 마친 후 외래에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11-21세 청소년 1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적 안녕은 Paloutzian과 Ellison (1983)의 영적 안녕 측정 도구를, 생의 의미는 Kang 등(2007)의 청소년 생의 의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영적 안녕과 생의 의미 영향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영적 안녕은 중간 수준이었고 생의 의미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영적 안녕은 생의 의미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영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의 지지였으며, 생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실존적 안녕,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였다. 결론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이 질병과정을 성공적으로 이겨내고 생의 의미를 찾도록 돕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실존적 안녕을 높이고 가족 및 친구 지지를 촉진시켜줄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209-21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 임현정;박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61-2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7년 2월 27일부터 5월 19일까지 J시 소재 간호대학생 83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1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영성교육은 자기 인식과 영성 및 간호의 영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1회에 120분씩, 5주 동안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확인하였고 가설 검증은 χ2-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수의 변화는 실험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영성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영성과 자아정체감, 영적 안녕과 삶의 만족도 및 영적간호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성교육을 시행하고 5주 후에도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이에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은 전인간호를 위한 영적 간호교육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Nursing Students)

  • 손혜경;권수혜;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6-64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5일에서 12월 10일까지 B시와 C시에 소재한 3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ANOVA, Scheffe 검정,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생활스트레스 정도(r=-.657, 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탄력성(r=.455, p<.001)과 영적안녕(r=.494,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beta}=-.418$, p<.001), 건강상태(${\beta}=.213$ p<.001), 영적안녕(${\beta}=.210$, p=.025), 전공만족도(${\beta}=.146$, p=.003), 자아탄력성(${\beta}=.109$, p<.001)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56.5%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을 함양하고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ultural adaption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piritu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

  • 윤은영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7호
    • /
    • pp.83-1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가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통해 아동의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에 위치한 200개의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와 다문화 예비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으로 119개의 대상학교에 재학중인 706명이 포함되었으며, 아동의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서 Sobel 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우선,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는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직접적 영향을 보였으나 아동의 문화적응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관계는 아동의 영적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을 높임으로써 문화적응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ome Health Care Nurses'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n their Spiritual Care)

  • 김채원;박미현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3-24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piritual care among home healthcare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8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ing in 94 hospital-based facilities for home health c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4, 2019, to March 7,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spiritual care and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using SPSS Version 23.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spiritual care of home health care nurses was 3.44 points out of a possible 5 points. Factors affecting nurses' spiritual care were spiritual well-being(𝛽=.36, p<.001), recognition of spiritual care as the nature of nursing(𝛽=.17, p=.016) and role of nurses(𝛽=.22 p=.002), regular-based education for spiritual care(𝛽=.23, p<.001), patients' discomfort with spiritual discussion(𝛽=-.18, p=.001), and nurses' experience in home health care area(𝛽=.14, p=.010), which explained 57.2% of the observed variation in spiritual car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regular-based education programs for facilitating spiritual care and strengthening home health care nurses' spiritual well-being and their positive perceptions toward spiritual care.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of Adults)

  • 김복연;오청욱;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56-16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설계는 비 동등 대조군 실험 연구이며, 충청북도 청주시의 C병원에서 2016년 01월 04일부터 13일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가에 동의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2, 26 명의 참가자를 무작위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실험군의 참가자들(n=22)은 매 회 2 시간, 주 3회, 2 주간에 걸쳐 죽음교육을 받았다. 실험 처치 효과는 2 주간의 중재 전, 후에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들은 t-test, chi-square test, Fisher Exact-test and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 주간의 중재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자아 존중감 (P<.002), 영적 안녕 (P<.01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증 (P<.014)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성인에게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보인다. 그러므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간호사를 위한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 최수경;김진;김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67-77
    • /
    • 2019
  • 본 연구는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 C대학의 간호학 학사학위과정 중에 있는 간호사 63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에 7회기 동안 참석하였으며, 회기는 회당 90분, 주 1회, 7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의 자료 수집과 실험 처치는 2017년 10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되었고 대조군은 2018년 4월 24일에 사전조사, 6월 5일에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존적 안녕(p<.025)과 영적간호역량(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