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5.242

Influence of Self-Identit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Pastor's Wives: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Kim, Sin-Seop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Jeong, Goo-Churl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between self-ident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8 pastor's wives,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sed through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elf-identity, spiritual experie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not between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Second,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self-identity and subject well-being. Third, self-identity had no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rth, spiritual experience had no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self-identity and spiritual experience that could be taken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Self-Identity; Spiritual Experience;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Pastor's Wiv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지숙, "사모의 인생, 남는 건 곪아 터지는 속", 한국여성신학, 제57호, pp.23-30, 2004.
2 장은진, "목회자 아내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6권, pp.187-210, 2008.
3 이진영, 전요섭, "목회자 아내의 정서적 고립감 극 복을 위한 자기노출과 지지집단 형성", 한국개혁신학, 제34권, pp.193-231, 2012.
4 전정희, 한재희, "자기소외를 경험하는 목회자 아 내의 심리사회적 현상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59-186, 2012.
5 D. C. Baker and H. P. Scott, "Predictors of Well-Being Among Pasters' Wives: A Comparison With NonClergy Wives," The Journal of Pastoral Care, Vol.46, No.1, pp.33-43, 1992.   DOI
6 국가통계포털, 건강검진통계,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정신건강검사 결과, 2010.
7 국가통계포털, 국민건강영양조사, 우울증상 경험률 추이, 2012.
8 L. A. Brackin, Lonelin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Spirituality as Experienced by the Southern Baptist Clergy Wife, The Graduate College of University of Arizona Doctoral Dissertation, 2001.
9 변외진, 김춘경,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구심리학회지: 여성, 제12권, 제3호, pp.255-257, 2007.
10 이경혜, 중년 기혼여성의 역할적응과 자아정체감 형성과의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1 홍용인,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의 돌봄 (Caring)의 개념으로 본 목회자 아내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0권, pp.347-378, 2010.
12 고효정, 오명옥, 김혜영,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질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6권, 제4호, pp.619-631, 2000.
13 김경신, 김정란,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4호, pp.105-120, 2001.
14 한미정, 이지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75-284, 2013.   DOI
15 김정엽,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pp.103-116, 1997.
16 L. Underwood and J. Teresi,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Theoretical Description,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liminary Construct Validity Using Health-Related Data,"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Vol.24, No.1, pp.22-33, 2002.   DOI   ScienceOn
17 장영림, 중년기 여성의 영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생산성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8 홍주연, 윤미,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1호, pp.219-242, 2013.
19 신희석,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7권, 제1호, pp.29-45, 2002.
20 정덕신, 배성만, 주은선,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9권, 제3호, pp.301-314, 2014.
21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차경호, 한영석, "한국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415-442, 2003.
22 C. Lee, "Patterns of Stress and Support Among Adventist Clergy: Do Pasters and their Spouses Differ?," Pastoral Psychology, Vol.55, pp.761-771, 2007.   DOI
23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5권, 제1호, pp.140-162, 1996.
24 배성우, 신원식, "CES-D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제18권, pp.165-190, 2005.
25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 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26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DOI
27 B. Doolittle and M. Farrell, "The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an urban clinic,"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 No.3, pp.114-118, 2004.
28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3호, pp.113-131, 2012.
29 윤현숙, 원성원,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077-1093, 2010.
30 장요한, 권명진, "영성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4호, pp.437-442, 2014.   DOI
31 박희숙, 중년 여성의 우울,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및 자살하지 않는 이유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2 R. M. Baron and D. M.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