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아 몸짓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1-1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3~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놀이의 관계에서 어머니 반응성의 역할 (The Roles of Maternal Respon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Play)

  • 이지영;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9-3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rst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and secondly, to examine the role of maternal responsivenes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play. The subjects comprised 42 infants (21 boys and 21 girls) and their mothers. The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the infant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were observed during free play sessions lasting 20 minu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thers of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responsiveness than the mothers of boys. In addition, 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pla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Maternal responsiveness was observ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on the infants' average level of pl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for caregivers to interpret infants' communicative intentions appropriately and respond promptly and adequately in play situations.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ve Gesture and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Infants)

  • 김의향;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217-23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variability of gestur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cquisition in the communication of infants. Subjects were 96 infants, 7 to 24 months of age, residing in Seoul and its vicinity. Instruments were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Iverson, et al., 1999) and the MacAuthe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Bae and Lim, 2002).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identified monthly changes in types of communicative gesture used by infants: more deictic at younger and more representational at older ages. Deictic gestures were related to size of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size of the whole vocabulary. Representational gestures were related to acquisition of expressive vocabulary, size of the receptive, and size of the whole vocabulary.

  • PDF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 몸짓의 발달 (The Development of Gesture in the Early Communication of Korean Infants)

  • 장유경;최윤영;김소연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5-167
    • /
    • 2005
  • Korean infants' use of gesture was examined with 45 10-to 17-month olds. The mothers of infants were asked to check each word in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n (MCDI-K) vocabulary checklist if their infant had a gesture for a given word and to indicate what kind of early communicative behavior she showed in 5 different situations. The results show that infants in this study have 11 gestures, of which many are learned within the context of routines or games. Referential gestures were rarely reported. There was n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gestures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words. However, more qualitative measures on early communicative behaviors show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requent use of gestures" and "try to communicate by verbal means".

  • PDF

<셜리에 관한 모든 것>(2013)에 나타난 움직임 분석 (Analysis of movement in (2013))

  • 문재철;이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3-52
    • /
    • 2020
  • 본 논문은 구스타프 도이치(Gustav Deutsch) 감독의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것>(2013)에 대한 연구이다. 이 영화는 화가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의 회화를 오마주 해 영화로 변환하였는데. 회화 작품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움직임을 가미였기 때문에 마치 그림이 움직이는 것 같은 효과를 준다. 그런 점에서 영화와 회화간의 재매개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이 호퍼의 그림을 영화로 전환함에 있어 어떤 방식으로 움직임을 다루었는가를 배우의 움직임과 화면의 움직임이라는 두 측면에서 살펴본다. 조르조 아감벤의 몸짓(gesture) 개념이 이 과정에서 분석의 틀로 사용되었다. 이 영화에서 배우의 움직임은 사건을 만들고 전개하는 일반적인 액팅(action)이라기보다는 인물의 동작과 표정 그 자체를 드러내는 몸짓이다. 스토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기가 아닌 조르조 아감벤이 영화의 가능성으로 말했던 물화된 이미지를 해방하는 몸짓인 것이다. 편집과 카메라 움직임은 정면성을 유지한 채 사용된다. 이는 화면의 움직임이 관객 시선임을 말해주며 언뜻 보기엔 원작의 관음증적 시선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관객은 주류 허구 영화에서와 같이 이미지 대상을 일방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 또한 보여지고 있다. 또한 화면의 디테일을 자세히 보려는 카메라 움직임은 세부를 드러내는 수단이라기보다는 움직임 그 자체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현실감은 움직임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이영화는 회화와 영화 사이에서, 말과 이미지 사이에서 현실의 비전을 질문하고 있다. 움직임은 현실을 매개하는 수단이지만, 이 영화는 그 매개성을 드러냄으로써 아감벤이 말했던 잃어버린 몸짓을 다시 되찾고 있다. 이는 현실의 비전이 그러한 매개성을 가렸을 때 출현함을 말해준다.

과학 탐구에서 몸짓의 역할과 중요성 (The Role and Importance of Gesture in Science Exploration)

  • 한재영;최정훈;신영준;손정우;차정호;홍준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51-58
    • /
    • 2006
  • The language and the gestures of a teacher, generally,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ffect of a lesson. This is because subject content is transferred to students by teachers' language and gestures. In the science lessons which focus on experiments, the language and gestures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will help the learning of scientific content. However, the role of gestures, despite its importance,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e role of gestures of students and teachers is a much needed area of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stures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process performed b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cience exploration activity. Students' gestures play an essential role in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 and they could function as a process of solving the contradictory situation. In addition, the demonstration and the communication of gestures should be performed very cautiously. There were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long-standing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and the performance of experiments.

  • PDF

한국 전통무예로서 태권도의 문화적 정체성 탐색 (An investigation of cultural identity of taekwondo as a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 안정덕;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2-269
    • /
    • 2008
  • 본 연구는 태권도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우선 태권도 발생에 대한 역사적 기원을 최홍희 중심설, 도장중심설, 가라테 유입설, 전통무예 계승설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태권도에 내재한 한국 전통 무예로서의 정체성을 탁석산(2000)이 제시한 정체성 판단의 3가지 기준인 현재성, 대중성, 주체성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는 최홍희와 일제시대의 문화적 단절기에 유입된 가라테, 그리고 최초의 기간도장 지도자와 우리민족의 전통무예가 융합되어 격동의 혼란기와 문화적 재생산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둘째, 태권도는 발기술을 중시하는 우리 민족의 맨손 무예 몸짓을 본질적으로 계승 발전시켜 손기술 중심의 일본 가라테나 중국의 우슈와 확연히 구별된 독창성을 확보하고 있다. 게다가 호구나, 삿보대, 헤드기어 등에는 태극문양과 전통적 오방색상을 잘 조화시켰으며, 모든 용어를 순 우리말로 바꾼 것은 한국적 토착화의 결정체이다. 따라서 태권도는 한국전통무예로서의 정체성을 뚜렷이 내포한 가장 세계화된 한국의 문화유산이며, 배타적 민족주의를 극복해 가는 노력과 함께 글로벌 무도 스포츠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달구벌 북춤 춤사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algubal Drum Dance)

  • 최원선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47-181
    • /
    • 2021
  • 달구벌 북춤은 영남지역의 전통 북춤의 전형에 기반하여 지역적 상징성과 전승자 황보영의 춤철학과 사상, 예술적 감각을 가미해 현대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는 춤이다. 이 춤은 전통춤의 주요한 요소들과 예술성을 장점으로 대구,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무대에 초청받아 활동을 이어오며 전통문화의 변용을 통한 대중적 가능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달구벌 북춤의 움직임 특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 춤이 지닌 독특한 매력과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 분석은 제89회 한국의 명인 명무전의 달구벌 북춤의 영상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해 진행하였다. LMA의 4가지 주요한 카테고리-신체, 에포트, 형태, 공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달구벌 북춤은 군더더기나 지나친 화려함 없이 담백한 움직임과 강렬하지만 단순하고 경쾌하며 큰 산맥으로 둘러싸인 대구지역의 사람들의 호방한 기질이자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강하게 북을 쳐 소리를 만들고, 그 음악적 행위가 다채로운 춤으로 발전되어 형성되는 북소리와 춤사위의 멋드러진 조화는 악(樂)과 무(舞)의 일치를 통한 활달한 한국적 풍류, 멋과 흥, 신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프로시니엄 무대를 고려하여 구성된 춤사위 그리고 북놀음의 모습은 3차원 공간의 입체 구조를 활용한 조형미와 인간의 몸짓을 드러내는 문화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또한, 사상적으로 삼수분화(三數分化), 천지인(天地人) 합일사상(合一思想)과 음(陰) 양(陽)의 조화가 깃든 짜임새 있는 구조와 정(靜), 중(中), 동(動)의 조화로운 움직임 표현을 보인다. 인간사의 갈등과 모순, 대립에서 벗어나 신명으로 소통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희망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춤은 한국춤의 독특한 가치와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동양 사상의 의미성을 현대적 재해석한 작품으로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