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of cultural identity of taekwondo as a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한국 전통무예로서 태권도의 문화적 정체성 탐색

  • Published : 2008.05.01

Abstract

This research, to find the cultural identity of taekwondo, presents the historical origin of taekwondo in lights of Choi-centric theory, kwan-centric theory, karate inflow theory, and successive traditional martial arts theory. Then it investigates taekwondo's inner identity as a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according to presence, popularity, and independence, three factors of identity suggested by Tak, S. S.(2000).As a result, it reached these conclusions: First, taekwondo was formed after going through fusion of Hong Hi Choi, karate income in period of cultural severance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e first kwan leaders and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s, process of disorder and cultural reproduction. Second, taekwondo has essentially inherited and developed Korean barehanded martial arts' movements that lay stress on foot skills, and this distinguishes it from hand-skill-based Japan's karate and China's Wushu Furthermore, trunk/groin protectors and headgears are blended remarkably with taeguk patterns and traditional Colors of Five Directions. All terms rendered into pure Korean words shows the essence of Korean localization.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Koreans should, along with trying to overcome exclusive nationalism as a country of origin, build a new paradigm of establishing an identity as a global martial art sport.

본 연구는 태권도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우선 태권도 발생에 대한 역사적 기원을 최홍희 중심설, 도장중심설, 가라테 유입설, 전통무예 계승설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태권도에 내재한 한국 전통 무예로서의 정체성을 탁석산(2000)이 제시한 정체성 판단의 3가지 기준인 현재성, 대중성, 주체성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는 최홍희와 일제시대의 문화적 단절기에 유입된 가라테, 그리고 최초의 기간도장 지도자와 우리민족의 전통무예가 융합되어 격동의 혼란기와 문화적 재생산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둘째, 태권도는 발기술을 중시하는 우리 민족의 맨손 무예 몸짓을 본질적으로 계승 발전시켜 손기술 중심의 일본 가라테나 중국의 우슈와 확연히 구별된 독창성을 확보하고 있다. 게다가 호구나, 삿보대, 헤드기어 등에는 태극문양과 전통적 오방색상을 잘 조화시켰으며, 모든 용어를 순 우리말로 바꾼 것은 한국적 토착화의 결정체이다. 따라서 태권도는 한국전통무예로서의 정체성을 뚜렷이 내포한 가장 세계화된 한국의 문화유산이며, 배타적 민족주의를 극복해 가는 노력과 함께 글로벌 무도 스포츠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