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 북춤 춤사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algubal Drum Dance

  • 투고 : 2021.01.28
  • 심사 : 2021.02.19
  • 발행 : 2021.02.28

초록

달구벌 북춤은 영남지역의 전통 북춤의 전형에 기반하여 지역적 상징성과 전승자 황보영의 춤철학과 사상, 예술적 감각을 가미해 현대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는 춤이다. 이 춤은 전통춤의 주요한 요소들과 예술성을 장점으로 대구,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무대에 초청받아 활동을 이어오며 전통문화의 변용을 통한 대중적 가능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달구벌 북춤의 움직임 특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 춤이 지닌 독특한 매력과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 분석은 제89회 한국의 명인 명무전의 달구벌 북춤의 영상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해 진행하였다. LMA의 4가지 주요한 카테고리-신체, 에포트, 형태, 공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달구벌 북춤은 군더더기나 지나친 화려함 없이 담백한 움직임과 강렬하지만 단순하고 경쾌하며 큰 산맥으로 둘러싸인 대구지역의 사람들의 호방한 기질이자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강하게 북을 쳐 소리를 만들고, 그 음악적 행위가 다채로운 춤으로 발전되어 형성되는 북소리와 춤사위의 멋드러진 조화는 악(樂)과 무(舞)의 일치를 통한 활달한 한국적 풍류, 멋과 흥, 신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프로시니엄 무대를 고려하여 구성된 춤사위 그리고 북놀음의 모습은 3차원 공간의 입체 구조를 활용한 조형미와 인간의 몸짓을 드러내는 문화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또한, 사상적으로 삼수분화(三數分化), 천지인(天地人) 합일사상(合一思想)과 음(陰) 양(陽)의 조화가 깃든 짜임새 있는 구조와 정(靜), 중(中), 동(動)의 조화로운 움직임 표현을 보인다. 인간사의 갈등과 모순, 대립에서 벗어나 신명으로 소통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희망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춤은 한국춤의 독특한 가치와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동양 사상의 의미성을 현대적 재해석한 작품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Dalgubal drum dance is inherited in a recreated form by incorporating regional symbolism and the dance philosophy and artisticity of Young Hwangbo, the creator, based on the traditional drum dance of the Yeongnam region. This dance having popularity with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has been invited not only to Yeongnam region including Daegu but also to international various venue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is Dalgubal drum dance are and the unique charm and symbolic meaning of this dance. 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zing Dalgubal drum dance video film of the 89th Korean Myeongmujeon's by using Laban Movement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e special features of this dance resulted from the LMA analysis in terms of the four categories-Body, Effort, Shape, and Space-reveal simple yet cheerful personalities and strong yet patient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in Daegu. The harmony of drum sounds(music) and movements(dance) creat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dances and reveals the beauty and excitement of unique Korean dance. In particular, drum play and its related dance movements create curved linear spatial pattern of arm movements, Spiral Shape in body posture, and diverse floor patterns occupying whole stage space. These movements show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beauty and the artistic ideas for recreation of traditional drum dance, which considered with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proscenium stage. In addition, the well-organized structure and harmonious movements of this dance show the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implying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and the wholeness, an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The dance aims at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s and dancers through sharing excitement and the aesthetic beauty of danc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ful expression of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developed with the uniqu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