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표현

Search Result 2,3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mage Matching by First Eigenvector and Histogram Analysis (일차 고유벡터와 히스토그램 분석에 의한 영상 정합)

  • Im, Mun-Cheol;Hwang, Seon-Chul;Kim, Woo-Sae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10
    • /
    • pp.1054-1061
    • /
    • 2000
  • 영상 정합은 물리적으로 유사한 영상 내의 영역들을 기하학적으로 일치시키는 처리이며 지형 정보, 영상검색, 원격탐사, 의료영상 등의 많은 영상처리 응용에서 사용된다. 영상 정합에 관한 연구는 주로 회전, 크기, 위치 등의 인자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정확성에 중점을 두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특징 점들에 대한 일차 고유벡터의 방향 분포를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정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차 고유벡터를 이용함으로써 특징 묘사의 단순성을 제공하고.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정합 인자를 미리 추정함으로써 정합 인자 추출 시 목적함수의 연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하게 줄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제안한 방식을 일반 영상과 ICG(IndoCyanine Green)망막 영상에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고 목적함수의 연산횟수와 시간 복잡도를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다.

  • PDF

Efficient Image-based Rendering of Volume Data (볼륨 데이터의 효율적인 영상 기반 렌더링)

  • Choe, Jae-Jeong;Sin, Yeong-Gil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3
    • /
    • pp.261-270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볼륨 데이터의 효율적인 영상 기반 랜더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중간 영상 공간은 밀림 객체 공간에서 중간 영상이 위치하는 2차원 공간이다. 최종 영상 공간 대신에 중간 영상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매핑이 좀더 간단해지면 점대점 매핑에서 기인하는 구멍을 없앨 수있다. 중간 영상 공간상에서의 매핑은 근원 화소의 깊이 값으로 만들어진 테이블을 가지고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객체의 표현을 위하여 텔타트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진 트리를 제안한다. 트리 구조를 사용할 경우 인접한 영상들에 존재하는 중복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압축 효과를 얻을 수있다. 제안된 트리는 델타트리에 비해서 더 좋은 압축 성능을 보이며 빠르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험한 결과 256 $\times$256$\times$256의 볼륨에서 비교적 좋은 질의 256$\times$256 의 영상을 1초에 25~40개 정도 만들어 낼수 있다.

Point Light Source Estimation from indoor environment from Light Probe (Light Probe를 이용한 제한된 실내 환경에 존재하는 점 광원 추정 기법)

  • Yoo, Jae-Doug;Park, Joung-Wook;Cho, Ji-Ho;Lee, K.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94-499
    • /
    • 2007
  • 실제 영상과 가상의 오브젝트 또는 가상의 환경에 오브젝트를 합성하는 경우 등 사실적인 합성을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과 같은 배경 영상의 정확한 광원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 환경을 배경으로 영상을 합성 하는 과정에 필요한 광원정보를 카메라와 Light Probe를 이용하여 촬영된 단일 영상으로부터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내에 존재하는 광원들은 정확한 위치정보를 알 수 없는 실외환경에서와 달리 제한된 공간의 원점으로부터 3차원 공간에 위치한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광원을 추정하기 위해 먼저 실내 공간에 반사도가 높은 Light Probe를 위치하고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을 이용하여 광원 추정에 사용할 영상을 획득한다. 광원으로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경우 짧은 노출시간에도 카메라의 영상에 획득된다. 그렇기 때문에 단일 영상에서 광원의 영역을 추정하기 위해 영상처리를 통해 노출 시간을 짧게 하여 촬영한 영상과 비슷하게 밝은 영역만 표현되도록 처리를 한다. 전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을 하고 밝은 영역으로부터 광원의 정보를 추정한다. 추정된 광원들은 실제 렌더링에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경에 적합한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Synthesis of Face Exemplars using Support Vector Data Description (서포트 벡터 데이터 서술을 이용한 대표 얼굴 영상 합성)

  • Lee Sang-Woong;Park Jooyoung;Lee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35-837
    • /
    • 2005
  • 최근 얼굴 인식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포함한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생체 인식 시장에서 주요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조명 변화에 기인한 얼굴 인식 성능의 저하는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명 변화에 따른 얼굴의 외형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법들은 다수의 등록 영상이나 조명에 대한 사전 정보가 필요하거나 실시간으로 구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용 시스템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조명 영상들로 구성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명에 대한 정보가 없는 한 장의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SVDD를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의 여러 조면 영상들로부터 입력 영상의 조명과 같은 대표영상을 합성하고 이 대표영상들의 선형 조합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을 표현한다. 제안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얼굴 데이터베이스들을 이용하여, 기존 방법들과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조명 변화가 큰 영상에서도 안정된 조명 변화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Web-Based Representation of Thematic Maps Using GeoWeb Platform (GIS와 지오웹 플랫폼을 활용한 웹기반 주제도 표현에 관한 연구)

  • Kim, Nam-Shin;Jin, Shizh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07-117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inquire into possibilities of the web-based representation of thematic maps by geo-information mashup in the geoweb platform. In the Web2.0, Google platform leads the geoweb by offering effective mashup functions for geo-information. Geo-information mashup is opening a new horizon of map applications in fusion with a great of data in the Internet. Geo-information mashup by the available data method can be classified as two type; one is linkage of sources of platform itself(satellite images) and external data, the other is linkage of platform itself and user created contents. This study made heatmap, proportional map, and choropleth map based on Google satellite images by the linkage of platform itself and external data. As a result, thematic map of Google mashup expected to give us to a flexibility for difference interpretation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by representing overlap with satellite images.

Changes in the Emotion by the Expressive Definition of Visual Contents (영상콘텐츠의 표현밀도에 따른 감정의 변화)

  • Kim, Se-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
    • /
    • pp.192-201
    • /
    • 2010
  • This research deals with expressive definition of visual contents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a subject and a screen resolution, and what changes affect the emotion of those looking at the expressive definition. A visual image captured from a HDTV screen was shown to the 61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the Busan area and SAM evalua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3 different emotions such as pleasant, arousal, and dominance. While comparing different resolution, looking at high resolution contents rather than low resolution resulted in a direction of pleasant, arousal, and dominance. Also showing a different resolution than consistently showing the same resolution had a more volatile emotional effect. Aftermath multiple comparison resulted in a tendency for emotions to become unpleasant and un-arousal when high resolution contents were shown and then switched to a low resolution contents. There was no result of any significance in the control variables. Also on the aftermath multiple comparison on short, medium and long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creen resolution, short distance had a bigger pleasant, arousal, and dominance emotional numbers than the rest. In a multiple variable verification result, a resolution and the distance of happiness and excite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 Integration of Segmentation Based Environment Models from Multiple Images (다중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분할 기반 환경 모델들의 통합)

  • 류승택;윤경현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7
    • /
    • pp.1286-1301
    • /
    • 2003
  • This paper introduces segmentation based environment modeling method and integration method using multiple environment map for constructing the realtime image-based panoramic navigation system. The segmentation-based environment modeling method is easy to implement on the environment map and can be used for environment modeling by extracting the depth value by the segmentation of the environment map. However, an environment model that is constructed using a single environment map has the problem of a blurring effect caused by the fixed resolution, and the stretching effect of the 3D model caused when information that does not exist on the environment map occurs due to the occlusion. In this paper, we suggest environment models integration method using multiple environment map to resolve the above problem. This method can express parallax effect and expand the environment model to express wide range of environment. The segmentation-based environment modeling method using multiple environment map can build a detail model with optimal resolution.

  • PDF

The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Appling Edge Information Weights (에지 정보 가중치를 적용한 에지 강조 오차 확산 방법)

  • 곽내정;양운모;유창연;한재혁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3 no.3
    • /
    • pp.11-18
    • /
    • 2003
  • Error diffusion is a procedure for generating high quality bilevel images from continuous-tone images but blurs the edge inform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improved method appling edge enhanced weight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images. We consider edge information as local characteristic. First, we produce edges by appling 3$\times$3 sobel operator to the original image. The edge is normalized from 0 to 1. Edge information weights are computed by using sinusoidal function and the normalized edge information. The edge enhanced weights are computed by using edge information weights multiplied input pixels.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y measuring the edge correlation and quality of the recovered images from the halftoned image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better qualit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due to the enhanced edge and represents efficiently the detail edge. Also, the proposed method is improved in edge representation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 PDF

Depth Scaling Method of DirectX-based Stereoscopic Game Image (DirectX 기반 입체 게임 영상의 깊이감 조절 기법)

  • Kim, Jin-Mo;Cho, Hyung-Je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0 no.1
    • /
    • pp.135-146
    • /
    • 2010
  • The development of image technologies in such area as broadcasting and movies has recently increased our attention to 3D stereoscopic imag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tereoscopic image representation technologies in 3D contents becomes more active over time due to the representational limitations of 2D images. Without limitation to the above-mentioned area, stereoscopic imag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studied so that they can be widely accessed in diverse areas including medical services and education. Due to the refined production, however, required to represent a three dimensional effects and the fatigue caused by the perception of a three dimensional effects, the stereoscopic image technologies are not combined into real time systems such as games where environments change unforeseeably. In this study we design a technique to adjust the depth scaling that will enable efficient management of a three dimensional effects and to relieve fatigue through automatic view point interval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based on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DirectX SDK graphic pipeline.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idea to activate the production of games combined with stereoscopic image technologies.

A Comparative Study of Spatial Composition in East Asian Hanging Scrolls and Contemporary Digital Vertical Videos (동양의 전통 족자와 현대의 디지털 세로 영상의 공간 구성 비교 연구)

  • Sun Ling;Kim Yoo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289-298
    • /
    • 2024
  • As digital mobile technology has advanced, vertical videos have emerged as a prominent format in the contemporary media field, presenting a new visual language that challenges traditional horizontal-centric aesthetic norms. This study delves into the visual and structural parallels and distinctions between traditional East Asian Hanging scrolls and contemporary vertical videos by applying traditional spatial composition techniques such as the 'Three Distances', 'One River, Two Banks', 'Intended Blank', and 'Unity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o the creation of modern vertical videos.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s how vertical layouts enhance depth and layering of the screen, deepen emotional expression, and offer creators new avenues for expression. By juxtaposing the spatial compositions of traditional East Asian Hanging scrolls with those prevalent in today's digital vertical videos, this study seeks to uncover new visual languages and aesthetic values within the evolving media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