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소처리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4초

50 g 규모의 Zircaloy-4 피복관으로부터 염소화 방법을 이용한 Zr 회수 거동 연구 (Demonstration of Zr Recovery from 50 g Scale Zircaloy-4 Cladding Hulls using a Chlorination Method)

  • 전민구;이창화;이유리;최용택;강권호;박근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염소화 반응을 통해 Zircaloy-4 (Zry-4) 피복관으로부터 Zr의 회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복관의 Zr을 전부 $ZrCl_4$로 전환시키기 위해, Zry-4 피복관을 380도에서 70 cc/min $Cl_2$ + 70 cc/min Ar 기체를 이용하여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피복관의 초기 무게는 51.7 g이었으나, 8 시간 반응 후에는 0.49 g만이 잔류물로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초기 무게의 0.95wt%에 해당하는 값이다. 반응 생성물의 무게는 121.7 g 이었으며, Zr의 순도는 99.80wt%였다. 주요 불순물로는 Fe (0.18wt%)와 Sn (0.02wt%)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한 Zr의 회수율은 96.95wt%였으며, 실험상 손실은 2.34wt%로 확인되었다. 반응 잔류물의 관찰을 통해 염소화 반응이 길이 방향으로 주로 일어나며, 표면의 산화층이 반응 잔류물로 남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Zr의 높은 순도와 회수율은 염소화 공정이 폐 피복관 처리 방법으로 매우 유망한 기술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상수도 공급과정 중 재염소 투입에 따른 잔류염소농도 수체감소계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of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by rechlorin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

  • 정보배;김기범;서지원;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9
    • /
    • 2019
  • This study developed prediction models of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by each condition of water quality, measuring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s of the water and water quality by water purification processes. The second-reaction order of chlorine were selected as the optimal reaction order of research area because the decay of chlorine was best represented.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s of the water in conventional processes, advanced processes before rechlorination was respectively $5.9072(mg/L)^{-1}d^{-1}$ and $3.3974(mg/L)^{-1}d^{-1}$, and $1.2522(mg/L)^{-1}d^{-1}$ and $1.1998(mg/L)^{-1}d^{-1}$ after rechlorination. As a result, the reduction of organic material concentration during the retention time has greatly changed the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All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higher than 0.8 in the developed models of the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considering the drawn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and several parameters of water qual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it was judged that models that could express the actual values, properly were developed. In the meantime, the chlorine bulk decay coefficient was in proportion to the initial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rechlorination; however, it may greatly vary depending on rechlorination. Thus,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et a plan for the management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after experimentally assessing this change, utilizing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in the actual fields. The prediction models in this study would simulate the reduction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operation of water purification plants and the introduction of rechlorination facilities, more reasonably considering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time of chlorination. In addition, utilizing the prediction models, the reduction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the supply areas can be predicted, and it is judged that this can be utilized in setting plans for the management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에 의한 1000 ㎍/g 염소 표준용액 중 브롬 불순물 분석 (Determination of bromine in 1000 ㎍/g Cl standard solution by ID-ICPMS)

  • 박창준;서정기;송현주;이동수
    • 분석과학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06
  • $1000{\mu}g/g$ 염소 표준용액 중 미량 브롬 불순물 분석을 위해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염소 표준용액 제조에는 비교적 불순물이 적은 KCl 염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고농도의 염소 표준용액 중 미량 브롬 불순물 분석은 다량의 K와 Cl 매질로 인한 분광간섭 및 매질효과로 인해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브롬을 고농도의 공존원소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AG2-X8의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였으며, 브롬 측정 시 ICP-MS의 RF power는 1500 W로 올리고 운반기체유량은 0.77 L/min로 내려서 $ArArH^+$분자이온에 의한 바탕값을 낮추었다. $1000{\mu}g/g$ 염소 표준용액 중 불순물 브롬을 표준물 첨가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43.7 ng/g이며, 이온교환수지 처리과정의 재현성 문제로 인한 불확도를 줄이기 위해 동위원소희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41.2 ng/g(RSD 1.6%)로서 잘 일치하였다.

세척방법에 따른 인삼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Ginseng Washed by Different Methods)

  • 이현석;차환수;김병삼;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2-347
    • /
    • 2009
  • 인삼의 저장 유통시키는 기존 방식을 개선키 위한 기초 연구로 표면 세척을 한 인삼의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세척 살균수로 저온 냉각수($2^{\circ}C$), 전해수(pH 8.0-8.5, HClO 80 ppm), 이산화 염소수(5 ppm)를 사용하여 품질특성을 비교 하였다. 경도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연화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처리 후 저장 조건의 CT-10 처리구의 경우 15일 경과 후에 급격히 표면의 경도 저하 현상이 나타났으며, $20^{\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10^{\circ}C$에 비교하여 연화에 의한 경도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저장온도 10, $20^{\circ}C$에서 모든 처리구가 갈변반응이 진행되었다. 상대적으로 저온 냉각수의 세척이 오히려 무처리구 보다 갈변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해수와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갈변억제 또는 지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량 감소율은 처리구의 50일까지 중량 감소폭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15일후 $10^{\circ}C$에서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전해수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산화 염소수, 무처리구 저온 냉각수 순으로 감소폭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장 30일후에는 저장 15일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전해수 처리구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 50일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가 없었다. 저장 10일후 $20^{\circ}C$에서는 $10^{\circ}C$에서와 같이 처리구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이산화염소수 처리가 가장 감소폭이 높게 나타났다. 살균조건별 미생물의 변화는 10, $20^{\circ}C$에서 전해수 80 ppm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척방법에서 이산화 염소수의 경우 전해수 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세척 인삼의 저장 중 수분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인삼은 수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기염소화합물로 오염된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PAC-막분리 공정의 적용 (Application of PAC-Membrane System for Treating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 임중근;강민수;강임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92-899
    • /
    • 2005
  •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이 양호하며 외부로부터의 오염원이 적은 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지하수도 산업화, 도시화에 의하여 많은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PCE와 TCE는 난분해성 염소계 유기화합물로서 그 처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AC-막분리 공정을 적용하여 이들 물질을 보다 효과적이면서 컴팩트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막의 재질에 따른 효율의 차이는 별로 없었으며, PAC가 투과 플럭스의 저하를 유발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PAC의 주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막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줄여줄 수가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제품생산 시 탈가스 장치를 이용한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Degasser for Products Produced Using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 강석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713-4716
    • /
    • 2014
  •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제품의 고급화로 완벽한 알루미늄 용탕의 탈 가스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탈 가스 처리를 위한 기존의 방법을 보면, 알루미늄 용탕 파우더와 약품 공급기로 이젝선하는 방법과 가스 취입 관을 사용하여 아르곤가스와 질소 또는 염소가스를 투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작업도 어렵고, 염소와 불화물질 유해가스가 대단히 많이 발생하여 공해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효과도 일정하지 않고, 과도한 처리시간으로 작업능률이 낮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가장 치명적인 문제점은 알루미늄 용탕과 약품의 반응으로 인한 많은 양의 찌꺼기의 생성과 더불어 금속의 손실 및 내화재의 수명감소를 야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루미늄 연속제조를 위해 6단계 공정을 거처야 생산이 가능했던 부분을 이번에 개발한 3가지 공정만으로도 생산이 가능하게 알루미늄 연속 주조의 용탕과 탈 가스 장치의 일체화에 통한 기술을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도계처리 단계별 도체와 처리수의 세균오염 및 염소처리 효과 (Efficacy of Chlorine for Reducing Bacterial Populations and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n Carcass and Treatment Water at Different Stage of Poultry Processing)

  • 이철현;변유성;황보원;조광제;강호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9-175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the chlorine treatment into water for processing chicken products in each stage of slaughtering, with a special viewpoint related with reducing the viable number of microorganisms by which the water and the chicken body were contaminated. The mean bacterial number on chicken samples after picking process was log5.37$\pm$0.20~5.84$\pm$0.160CFU/$\textrm{cm}^2$. When assessed by standard plate count method, it was the higher one than any other processing stage in which eviscerating, pinning, packaging, and chilling was followed in order of the mean bacterial number. The coliform bacterial numbers on carcasses after sampling from different processing stages were log2.11$\pm$0.63~2.88$\pm$0.25MPN/$\textrm{cm}^2, which show almost similar numbers in each processing stage. But, after chilling process the number was decreased slightly. The bacterial counts in the water for scalding and chilling showed log3.43 $\pm$ 0.59~5.06$\pm$0.21 and log4.30$\pm$0.21~6.62$\pm$0.33CFU/$m\ell$, respectively. In the coliform counts for the water taken out from the 2nd chilling tank, the number was log1.97$\pm$0.35~2.91$\pm$0.22MPN/$m\ell$ which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1st and the 3rd chilling tank water. The effect of chlorination in reducing the bacterial numbers was accepted at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of 1$m\ell$/$\ell$by showing the reduction from $10^8$ to $10^4$CFU level and the numbers were decreased less than 10CFU at the concentration of 5mg/$\ell$, when assessed by viable cell cou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lorination In chilling water with final concentration of 5mg/$\ell$was strongly recommended to reduce the bacterial numbers on final chicken products.

  • PDF

표백에 의한 라디에타소나무의 청변 제거 (Removing Sapstain of Radiata Pine by Bleaching)

  • 김규혁;김형준;나종범;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2003
  • 본 연구는 라디에타소나무 제재목의 균 변색을 제거하기 위한 표백처리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염소계 표백제인 아염소산나트륨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표백조건(약제농도, 처리온도, 처리시간)의 조절에 따라 만족할만한 변색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염소계 표백제인 과산화수소는 표백조건의 조절만으로는 변색제거가 불가능하였으나 규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활성제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표백제보다 탁월한 변색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활성제 첨가에 따라 재색의 녹색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변색제거 방법의 현장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제주지역(濟州地域) 하수처리장(下水處理場) 방류수(放流水) 재이용(再利用) 방안(方案)에 대(對)한 연구(硏究)

  • 고성철;고기원;양태혁;김성윤;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360-363
    • /
    • 2005
  • 제주 Pilot Plant RO 처리수의 수질은 국내는 물론 외국의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처리 사례와 비교하더라도 전혀 손색이 없을 뿐 아니라, 먹는 물로 사용하더라도 수질적으로 문제가 없을 정도로 깨끗하게 처리되고 있었다. 특히, 방류수 재이용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했던 과다한 염소이온과 염분농도 문제 가 완전히 해결됨으로써 농업 용수는 물론 조경 용수, 공업 용수, 지하수 인공함양 용수 등으로 재이용할 수 있는 좋은 대체수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방류수 재이용을 위한 재처리시설 투자를 위해서는 재처리수가 인체, 농작물, 지하수에 부정적 영향의 유무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경제성 분석에 친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 PDF

정수처리에서의 다이옥신 제거 및 2, 3, 7, 8-TeCDF 생성 (The Removal of Dioxins and the Formation of 2, 3, 7, 8-TeCDF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Japan)

  • 김현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8-766
    • /
    • 2008
  • 먹는물 처리 전후 다이옥신류의 동족체 패턴 및 제거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42개의 일본 정수처리장에서 2년간 122개의 시료를 채취해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및 coplanar polychlorinated biphenyls (Co-PCBs)를 분석하였다. 다이옥신류의 평균 농도와 독성등가값 (toxic equivalent, TEQ)은 원수와 처리수에서 각각 60.24 pg/L (0.14 pg-WHO-TEQ/L), 4.15 pg/L (0.016 pg-WHO-TEQ/L)였다. 먹는물의 다이옥신류 기여 농도는 일일섭취량 (tolerable daily intake (TDI), 4 pg-TEQ/kg/day)의 0.016%이었다. 정수처리에 의한 다이옥신류의 평균 TEQ 제거율은 88% 이상이었다. 그러나 112개의 샘플에서 2, 3, 7, 8-TeCDF (tetrachlorodibenzofuran)의 농도는 17% 증가하였다. 따라서, 2, 3, 7, 8-TeCDF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도정수처리 및 일반정수처리에서의 제거율을 조사하였다. 다이옥신 동족체(congener)인 TeCDF와 non-ortho-PCB는 고도처리 및 표준정수처리에서 염소소독처리 후 TEQ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먹는물 중 2, 3, 7, 8-TeCDF 농도는 염소소독처리에 의해 상승한 것으로 밝혀졌다.